목차 일부
목차
제1장 해운정책의 개요
제1절 해운의 개념과 특성 = 1
1. 해운의 개념 = 1
2. 해운의 특성 = 2
제2절 세계해운시장의 구조변화 = 4
1. 세계 교역구조의 변화 = 4
2.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 6
3. 전략적 제휴 그룹의 개편 = 9
4. 정기선사 간의 M&A 확대 = 13
5. 종합물류서비스 지향 = 14
...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해운정책의 개요
제1절 해운의 개념과 특성 = 1
1. 해운의 개념 = 1
2. 해운의 특성 = 2
제2절 세계해운시장의 구조변화 = 4
1. 세계 교역구조의 변화 = 4
2.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 6
3. 전략적 제휴 그룹의 개편 = 9
4. 정기선사 간의 M&A 확대 = 13
5. 종합물류서비스 지향 = 14
6. 선박의 대기오염 규제 강화 = 15
제3절 해운정책의 개념과 유형 = 15
1. 해운정책의 종류 = 16
제2장 항만정책의 개요
제1절 항만정책의 의의 = 21
1. 항만의 역할 = 21
2. 항만정책의 필요성 = 23
제2절 항만의 특성과 산업구조 = 24
1. 항만의 특성 = 24
2. 항만의 기능 = 26
3. 항만과 산업구조 = 33
제3절 세계 항만시장의 구조변화 = 35
1. 세계 항만환경변화 = 35
제4절 항만간 경쟁과 경쟁력 변화 = 46
1. 항만경쟁의 의의 = 46
2. 항만경쟁의 유형 = 47
3. 동북아 항만경쟁의 현황 = 50
4. 항만의 경쟁력 = 54
제3장 유럽의 해운정책
제1절 유럽연합의 해운정책에 대한 일반원칙 = 59
제2절 유럽 공통해운정책의 배경 = 60
1. 정기선동맹과 브릿셀 패키지 = 62
2. 1차 공통해운정책(1986년) = 63
3. 2차 공통해운정책(1989년) = 66
제3절 연안해운의 자유화(1993년) = 67
제4절 유럽연합의 해운동맹정책 = 69
1. EC 설립조약(로마조약)의 경쟁규칙 = 69
2. EU 이사회 규칙 4056/4058 = 70
3. 정기선 해운동맹의 폐지 검토 = 72
4. OECD 정기선해운 경쟁정책 보고서 = 73
제5절 유럽연합의 톤세제도 = 73
1. 톤세제도 도입의 배경 = 73
2. 톤세제도의 정의와 특정 = 74
제6절 유럽연합의 통합물류정책 = 79
1. 통합물류정책의 개요 = 79
2. 통합물류정책의 발전 = 79
3. 주요 해운물류 추진정책 = 80
제4장 미국의 해운정책
제1절 주요 해운정책 = 85
1. 보조금 지급제도 = 85
2. 금융지원제도: 융자보증(Loan Guarantee) = 88
3. 세제지원제도 = 89
4. 화물우선적취권(Cargo Preference)제도 = 91
5. 연안운송의 보호 = 93
6. 관련산업ㆍ기타 지원제도 = 94
제2절 미국의 해운정책과 관련 법규 = 95
1. 대외해운정책과 주요 관련법규 = 96
제5장 동북아의 해운정책
제1절 일본의 해운정책 = 109
1. 일본해운조성정책의 범위 = 109
2. 미군점령기 = 110
3. 한국전쟁시기 = 114
4. 한국전쟁 이후의 불황기 = 117
5. 수에즈 운하와 그 후의 불황기 = 121
6. 계획조선제도 = 131
제2절 중국의 해운정책 = 138
1. 중국의 해운산업 현황 = 138
2. 해운정책의 전개과정 = 141
3. 중국의 주요 해운정책 = 142
4. 중국 해운정책 관련 규정 = 149
제6장 우리나라 해운정책
제1절 우리나라 해운의 성장과정 = 155
1. 우리나라 해운업의 준비기(1945∼1960) = 155
2. 우리나라 해운업의 고도성장기(1961∼1980) = 158
3. 우리나라 해운업의 조정기(1981∼1995) = 160
4. 세계화 시대의 우리나라 해운(1996~2006) = 162
제2절 해운산업합리화 = 164
1. 해운산업합리화의 추진 배경 = 164
2. 해운산업합리화의 추진 목표 = 166
3. 해운산업합리화의 추진 내용 = 167
4. 해운산업합리화 조치의 평가 = 173
제3절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생산성 추이 = 176
1. 해운산업의 일반 현황 = 176
2. 해운산업의 생산성 추이 = 180
제4절 우리나라 해운정책의 발전 방향 = 184
1. 해운경영환경의 조성 = 184
2. 선박금융 활성화 = 185
3. 국가필수선대의 규모 확대 = 186
4. 해기교육 시스템의 강화와 해기교육의 메카화 = 187
5. 해운시장의 확대 = 189
6. 안전과 환경을 고려하는 해운경영 = 191
7. 해사클러스터화 추진 = 193
8. 해운협력의 확대 = 193
제7장 유럽의 항만정책
제1절 EU 항만정책의 추이 = 195
제2절 EU의 주요 항만정책 = 203
1. EU 수송정책과 복합운송 연계 지점으로써의 항만 = 203
2. 연안운송정책과 복합운송서비스를 위한 항만 = 207
3. EU 해운정책과 항만정책 = 211
4. 항만서비스의 시장 진입 자유화 = 212
5. 투자 및 요금책정정책 = 213
6. 항만안전, 보안, 환경적 문제를 고려한 정책 = 215
제3절 EU 주요 국가들의 항만정책 = 219
1. 벨기에 = 223
2. 네덜란드 = 226
3. 독일 = 229
4. 프랑스 = 232
5. 영국 = 235
제8장 북미의 항만정책
제1절 북미 항만정책의 추이 = 241
제2절 NAFTA 성립과 항만정책 = 245
제3절 NAFTA 국가들의 항만정책 = 247
1. 미국 = 249
2. 캐나다 = 267
3. 멕시코 = 273
제9장 동북아의 항만정책
제1절 동북아 항만정책의 추이 = 281
제2절 일본의 항만물류정책 = 285
1. 일본의 항만정책: 추이 = 285
2. 일본의 항만정책: 슈퍼중추항만 육성정책 = 289
3. 일본의 슈퍼중추항만 = 296
제3절 중국의 항만물류정책 = 299
1. 중국의 항만정책 추이 = 299
2. 중국의 항만정책: 국제항운중심지 전략 = 302
3. 중국의 주요 항만정책 = 304
제10장 우리나라 항만정책
제1절 우리나라 항만의 성장과정 = 313
1. 우리나라 항만의 재건기(1945∼1961) = 313
2. 우리나라 항만의 도약기(1962∼1986) = 315
3. 우리나라 항만의 성장기(1987∼1996) = 316
4. 우리나라 항만의 개방과 발전기(1997∼2006) = 318
제2절 우리나라 항만의 기능 변화 = 319
1. 반출 및 수출입화물 처리 항만기능(과거∼1970년대) = 322
2. 수출입화물 및 화물의존형 항만기능(1980∼1990년대 초) = 323
3. 수출입화물 및 동북아 환적화물 유치 항만기능(1990년대 초∼200년대 초) = 323
4. 수출입화물+동북아 환적화물+재가공화물(2006∼향후) = 324
제3절 컨테이너 화물 수요의 대응 = 326
1. 컨테이너선의 발전 추이 = 326
2. 컨테이너 부두 확충 = 329
3. 양항체제(Two Port System) = 331
4. 환적화물 유치 = 332
5. 항만배후부지의 개발 = 333
6. 복합운송체계의 구축 = 334
7. 민자유치와 외국기업 투자 유치 = 335
8.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건설 추진 = 336
제4절 선박대형화의 대응 = 331
1.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추이 = 338
2. 선박대형화가 항만에 미치는 영향 = 344
3. 선박대형화에 대응한 항만정책 = 351
제5절 우리나라 항만정책의 발전 방향 = 360
1. 항만정책의 기본 목표 = 360
2. 동북아 허브항만 육성 = 362
3. 항만의 클러스터 구축을 통한 항만의 고부가가치화 = 365
4. 항만운영의 효율화 = 361
5. 항만마케팅 및 세일즈 강화 = 370
6. 해외시장 진출 = 372
참고문헌 = 375
찾아보기 = 37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