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제1부 서론
연구의 목적과 방법 ... 3
제2부 단군릉수축운동의 전개
제1장 『강동지』의 편찬과 단군릉수축운동
1. 머리말 ... 13
2. 『강동지』의 편찬 ... 15
3. 『강동지』의 구성과 내용 ... 20
4. 「현대인물」조와 단군릉수축기성회 ... 27
5. 맺음말 ... 57
제2장 단군릉수축운동의 주도단체
1. 머리말 ... ...
목차 전체
책머리에
제1부 서론
연구의 목적과 방법 ... 3
제2부 단군릉수축운동의 전개
제1장 『강동지』의 편찬과 단군릉수축운동
1. 머리말 ... 13
2. 『강동지』의 편찬 ... 15
3. 『강동지』의 구성과 내용 ... 20
4. 「현대인물」조와 단군릉수축기성회 ... 27
5. 맺음말 ... 57
제2장 단군릉수축운동의 주도단체
1. 머리말 ... 61
2. 1910년대 초반의 강동명륜회 ... 64
3. 1920년대 중반의 단군묘수호계 ... 70
4. 1939년대의 단군릉수축기성회 ... 75
5. 맺음말 ... 94
제3장 단군릉수축운동의 전개
1. 머리말 ... 101
2. 단군릉과 다수의 왕검묘 ... 103
3. 단군릉수축운동의 과정 ... 115
4. 동아일보의 모금운동 전개 ... 133
5. 맺음말 ... 143
제3부 단군릉수축운동의 성격
제1장 「단군릉기적비」와 단군전승
1. 머리말 ... 167
2. 「단군릉기적비」의 건립과정 ... 169
3. 「단군릉기적비」의 구성과 내용 ... 177
4. 강동의 단군전승과 「단군릉기적비」... 185
5. 맺음말 ... 195
제2장 단군릉수축운동과 김상준 일가
1. 머리말 ... 199
2. 강동군에서의 김상준 일가 ... 201
3. 조선총독부의 단군론과 단군릉수축운동 ... 224
4. 맺음말 ... 237
제3장 단군릉수축운동의 성격 - 단군릉수축기성회를 중심으로
1. 머리말 ... 243
2. 단군릉수축기성회의 조직과 역원 ... 245
3. 단군릉수축운동의 성격 ... 268
4. 맺음말 ... 283
제4부 결론 - 단군릉수축운동의 전개와 성격
1. 단군릉수축운동의 전개 ... 289
2. 단군릉수축운동의 성격 ... 296
부록
1. 단군릉수축운동 성금기부자 명단 ... 307
2. 일제강점기 단군 관련 자료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 419
참고문헌 ... 459
Abstract. ... 471
찾아보기 ... 47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