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박광 편
자료유형 | 단행본 |
---|---|
서명/저자사항 | 동아시아의 문화표상 / 최박광 편 |
개인저자 | 최박광 최박광. 엄기주. 이학주. 김병국. 한매. 우림걸. 허남춘. 김창현. 이상희. 허성일. 이노미. 박수미. 김효중. 김영남. 김현숙. 박성태. 김현지. 엄현섭. 김문태. 박종명. 허석. 신인섭. 김주영. 황호덕. 김경호. |
발행사항 | 서울 : 박이정, 2007 |
형태사항 | 682 p. : 삽화 ; 23 cm |
ISBN | 9788978789165 |
내용주기 | 개항도시화(開港都市化)에 있어서의 인천의 문화적 표상 / 최박광. - 동아시아 삼국에서의 『정등신화(前燈新話)』 존재 양상 / 엄기주. - 동아시아 전기소설에 나타난 생사관의 미학 / 이학주. - 한중 시론의 미학 / 김병국. - 조선조 평점본소설에 있어서의 김성탄 문학비평 수용 향상 / 한매. - 개화기 시가에 끼친 양계초의 영행 / 우림걸. - 한·일 신혼가요(新婚歌謠)의 특성 비교 / 허남춘. - 중세후기, 이념적 위기에 대한 한·일의 대응 양상 / 김창현. - 신소설 속에 나타난 근대문물의 수용 양상 / 이상희. - 유길준(兪吉濬) 한시문집에 나타난 대외(對外) 의식 / 허성일. - 19세기 조선의 서구 문화변용에 관한 비교 문화적 고찰 / 이노미 - 개화기 「경향신문」 연재소설과 프랑스 문학 수용 / 박수미. - 한국 교회건축 양식의 변천과 다중(多衆)적 의식 / 김효중. - 신화 기술(記述)의 다양성과 신화의 의미 / 김영남. - 최해(崔瀣) 산문의 서술적 특성 / 김현숙. - 근대 독자의 형성과 재화(再話)소설 / 김현지. - 근대 미디어 전파와 공동청취(共同聽取) / 엄현섭. - 북한에서의 구비문학 장르의 인식과 관점 / 김문태. - 한ㆍ일의 경계에 선 재일 작가 / 박종명. - 근대 한국 이주 일본인들의 한국문학 번역고 유교적 지의 변용 / 허석. - 일본의 '예술대중화 논쟁'과 '대중' / 신인섭. - 일본 근대 문학에 있어서의 '여성'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 김주영. - 천황제 일본 국가에 있어서의 증여의 사상 / 황호덕. - 정보지식으로서의 일본어 / 김경호 |
분류기호 | 809 |
언어 | 한국어 |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