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한국어판 서문 = ⅴ
역자 서문 = ⅸ
목차 = xii
서론 : '금융권력'이란 시점 = 1
제1장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문제가 시사하는 것 : 금융 시스템의 위기 = 15
1.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문제의 충격도 = 17
2. 일거에 확대된 금융 위기 = 26
3. 안이한 대출을 부추긴 배경 = 33
4. 금융권력의 위력 - 신용평가기관과 기업 ...
목차 전체
목차
한국어판 서문 = ⅴ
역자 서문 = ⅸ
목차 = xii
서론 : '금융권력'이란 시점 = 1
제1장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문제가 시사하는 것 : 금융 시스템의 위기 = 15
1.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문제의 충격도 = 17
2. 일거에 확대된 금융 위기 = 26
3. 안이한 대출을 부추긴 배경 = 33
4. 금융권력의 위력 - 신용평가기관과 기업 = 37
제2장 금융의 변질 - '금융 기술'의 구조 = 43
1. 갬블의 사회화 = 45
2. 헤지펀드는 '부자 클럽' = 49
3. 헤지펀드의 수익원 = 56
4. 불확실성과 경제학 - 케인즈와 힉스의 회의(懷疑) = 59
제3장 리스크 테이킹 이론 - 시카고학파의 논객들 = 69
1. 수학자와 금융상품 - 퀀츠 = 71
2. 리스크의 이전 - 블랙ㆍ숄즈 모델 = 75
3. 달러의 미국 환류 - 엔 캐리 트레이드 = 84
4. 기업의 자금조달에 관해서 - 모딜리아니ㆍ밀러 명제 = 88
제4장 신 금융시대의 설계자들 - 밀턴 프리드먼을 중심으로 = 101
1. 통화선물 시장의 창설 - 리오 멜라메드의 의도 = 103
2. 몽페랑협회 - 반(反) 마르크스, 반(反) 케인즈의 조류 속에서 = 110
3. 프리드먼의 자유관 = 114
4. 크루그먼의 프리드먼 비판 = 119
5. '노벨경제학상'의 가장된 중립성 = 125
제5장 리스크 비즈니스의 말로 - 취약한 금융 = 133
1. 과잉금융과 채권의 증권화 = 135
2. 글로벌한 위기의 배당 = 141
3. 단기화 되어 가는 금융 = 148
4. 달러 신화의 종말 - 통화체제의 다극화 = 156
제6장 금융권력에 대항하기 위하여 : 새로운 질서의 모색 = 165
1. 생산을 경시하는 금융 = 167
2. '지역' 밀착 사고(思考) = 174
3. ESOP의 권유 - 금융게임의 종식을 위해 = 188
후기 = 198
주요참고문헌 = 201
관련연표 = 21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