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일제강점기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사
제1장 서론 = 11
제2장 형성기의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 = 18
1. 조선프로극협회 = 19
2. 조선프로예맹 동경지부 연극부 = 24
3. 무산자극장 = 41
4. 일본극단에서 활동한 조선인 - 홍해성과 유치진 = 54
5. 활동상의 특징과 연극사적 의의 = 63
...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일제강점기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사
제1장 서론 = 11
제2장 형성기의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 = 18
1. 조선프로극협회 = 19
2. 조선프로예맹 동경지부 연극부 = 24
3. 무산자극장 = 41
4. 일본극단에서 활동한 조선인 - 홍해성과 유치진 = 54
5. 활동상의 특징과 연극사적 의의 = 63
제3장 전성기 1: 일본 프로연극단체로서의 활동 = 66
1. 재일본 조선인 문화운동 = 66
2. 동경조선어극단 = 84
3. 3ㆍ1극장 = 86
4. 고려극단 = 98
제4장 전성기 2: 일본 신극단체로서의 활동 = 105
1. 동경신연극연구회 = 105
2. 조선예술좌 = 107
3. 통합 조선예술좌 = 114
제5장 재일본 조선인 학생극운동 = 120
1. 동경학생예술좌 = 120
2. 형상좌 = 133
제6장 결론 = 136
제2부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과 국내 연극
조선예술좌의 국내 진출과 극단 조선연극협회 = 143
1. 머리말 = 143
2. 조선예술좌 '귀국파'와 조선연극협회의 창립 = 146
3. 연협 활동의 전개과정 = 156
4. 재동경 프롤레타리아 연극계 조선 진출 사건 = 171
5. 맺음말 = 176
슈프레히콜 양식의 국내 수용과 정착 = 180
1. 머리말 = 180
2. 개념 및 양식적 특성 = 183
3. 수용 및 정착 과정 = 186
4. 작품 개관 = 190
5. 맺음말 = 198
'『연극운동』 사건'과 한ㆍ일 프로연극의 관계 = 200
1. 머리말 = 200
2. 신문기사로 재구성해 본 '『연극운동』사건' = 202
3. 한ㆍ일 프로연극의 교류와 연대 = 213
4. 맺음말 = 218
카프 연극부의 조직 변천에 관한 연구 = 220
1. 머리말 = 220
2. 카프 영화부와 신흥영화예술가동맹 = 223
3. 카프 연극부의 조직 변천 과정 = 231
4. 맺음말 = 254
부록
1. 일제강점기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 연표 = 259
2. 재일본 조선인 연극단체 규약 모음 = 27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