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내며 = 5
Ⅰ. 머리말 = 23
Ⅱ. 길림 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 = 33
1. 길림 서부 지역 = 35
2. 길림 중부 지역 = 36
3. 길림 남부 지역 = 133
4. 길림 북부 지역 = 141
5. 길림 동부 지역 = 143
Ⅲ. 공반 단계의 획기와 편년 = 157
1. 주요 유물 유적 분석 = 159
1) 청동기 = 15...
목차 전체
목차
책을 내며 = 5
Ⅰ. 머리말 = 23
Ⅱ. 길림 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 = 33
1. 길림 서부 지역 = 35
2. 길림 중부 지역 = 36
3. 길림 남부 지역 = 133
4. 길림 북부 지역 = 141
5. 길림 동부 지역 = 143
Ⅲ. 공반 단계의 획기와 편년 = 157
1. 주요 유물 유적 분석 = 159
1) 청동기 = 159
2) 토기 = 172
3) 무덤 = 193
2. 공반 단계의 획기 = 217
3. 편년 = 253
Ⅳ. 길림 일대의 지역군 분류와 서단산문화 = 263
1. 주요 유물 유적의 공간성 = 265
1) 토기의 공간성 = 265
2) 청동기의 공간성 = 275
3) 무덤의 공간성 = 281
2. 길림 일대의 지역군 분류 = 291
3. 서단산문화의 판별 기준과 범위 = 305
Ⅴ. 서단산문화의 형성과 전개 과정 = 313
1. 기원과 형성 = 315
2. 획기별 전개 과정 = 324
1) 초기 = 324
2) 전기 = 329
3) 중기 = 340
4) 후기 = 348
Ⅵ. 서단산문화와 주변 청동기문화의 상호 작용 = 357
1. 서단산문화와 이도하자유형 = 359
2. 서단산문화와 길림 남부의 지역 문화 = 364
3. 서단산문화와 길림 동부의 지역 문화 = 368
4 서단산문화와 한서문화 = 371
5. 서단산문화와 흑룡강 남부의 지역 문화 = 377
Ⅶ. 서단산문화와 길림 중부 지역의 초기 철기문화 = 381
1. 길림 중부 지역의 초기 철기문화 = 384
1) 대해맹유형 = 384
2) 형가점식 유적군 = 388
3) 전가타자식 유적군 = 393
4) 관마산식 유적군 = 396
5) 서황산둔유형 = 399
6) 주산 유적 = 407
2. 길림 중부 지역 초기 철기문화와 서단산문화의 관계 = 412
1) 대해맹유형 = 412
2) 형가점식 유적군 = 416
3) 전가타자식 유적군 = 419
4) 관마산식 유적군 = 419
5) 서황산둔유형 = 420
6) 주산 유적 = 421
Ⅷ. 서단산문화의 사회 경제와 족속 = 423
1. 서단산문화의 생업 경제 = 425
1) 초기 = 426
2) 전기 = 436
3) 중기 = 441
4) 후기 = 447
2. 서단산문화의 사회 = 455
1) 초기 = 455
2) 전기 = 460
3) 중기 = 463
4) 후기 = 465
3. 서단산문화의 족속 = 471
Ⅸ. 맺음말 = 487
[일문적요] = 504
[부록 : 서단산문화 관련 주요 연구물] = 519
[찾아보기] = 52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