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PART Ⅰ 쟁점들
Chapter 1 서론: 언어심리학의 주제 = 3
서론 = 4
언어심리학의 범위 = 5
언어 과정과 언어 지식 = 6
네 개의 사례 = 6
요약 = 11
역사적 맥락 = 11
초기 언어심리학 = 11
행동주의와 언어 행동 = 13
후기 언어심리학 = 14
현재의 방향 = 19
...
목차 전체
목차
PART Ⅰ 쟁점들
Chapter 1 서론: 언어심리학의 주제 = 3
서론 = 4
언어심리학의 범위 = 5
언어 과정과 언어 지식 = 6
네 개의 사례 = 6
요약 = 11
역사적 맥락 = 11
초기 언어심리학 = 11
행동주의와 언어 행동 = 13
후기 언어심리학 = 14
현재의 방향 = 19
요약 = 19
복습 문제 = 20
생각해 볼 문제 = 20
Chapter 2 언어학적 원리들 = 23
서론 = 24
기본 문법 개념 = 25
이중 형식 = 27
형태론 = 29
구 구조 = 30
언어 생산성 = 33
요약 = 35
수화로부터의 통찰 = 35
수화와 입말의 차이점 = 36
수화와 입말의 유사성 = 38
수화의 의의 = 42
요약 = 42
변형 문법 = 43
언어와 문법 = 43
심층 구조와 표층 구조 = 44
변형 규칙 = 46
요약 = 48
문법 이론의 쟁점들 = 48
문법의 심리적 실재성 = 48
통사의 중심성 = 50
언어는 생득적인가? = 54
요약 = 55
복습 문제 = 56
생각해 볼 문제 = 56
Chapter 3 심리적 기제 = 57
서론 = 58
정보 처리 체계 = 59
작업 기억 = 59
장기 기억 = 64
언어 처리와의 관련성 = 67
요약 = 67
언어 처리의 주요 쟁점 = 68
계열 처리와 병렬 처리 = 68
하향 처리와 상향 처리 = 70
자동 처리와 통제 처리 = 71
단원성 = 72
언어 처리의 예 = 73
요약 = 75
처리 체계의 발달 = 75
작업 기억의 발달 = 76
장기 기억의 발달 = 77
요약 = 82
복습 문제 = 82
생각해 볼 문제 = 83
PART Ⅱ 언어 이해
Chapter 4 언어의 지각 = 87
서론 = 88
말소리의 구조 = 89
운율 요인 = 89
조음 음성학 = 91
음향 음성학 = 94
요약 = 98
고립된 분절음의 지각 = 99
말소리 처리의 수준 = 99
단원 체계로서의 말소리 = 100
말소리 지각의 운동 이론 = 105
요약 = 107
연속 말소리의 지각 = 107
말소리 재인에서 운율 요인 = 108
말소리 지각에서 의미적, 통사적 요인들 = 110
말소리 지각의 TRACE 모형 = 113
요약 = 114
글의 지각 = 115
상이한 표기 체계 = 115
글 처리의 수준 = 117
읽기 중 안구 운동 = 117
개별 글자의 지각 = 120
단어 맥락에서 글자의 지각 = 122
두 가지 읽기 모형 = 124
요약 = 127
복습 문제 = 127
생각해 볼 문제 = 128
Chapter 5 심성 어휘집 = 129
서론 = 130
어휘 지식의 차원들 = 131
음운 지식 = 132
통사 지식 = 132
형태 지식 = 133
의미 지식 = 135
요약 = 140
심성 어휘집의 조직 = 140
의미망 개념 = 140
위계망 모형 = 141
활성화 확산모형 = 146
요약 = 149
어휘 접속 = 150
어휘 접속 모형들 = 150
어휘 접속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 153
어휘 접속 모형들에 대한 평가 = 161
요약 = 162
복습 문제 = 163
생각해 볼 문제 = 163
Chapter 6 문장 이해와 기억 = 165
서론 = 166
즉시적 문장 처리 = 167
구문 분석 = 167
구문 분석 방략들 = 170
단원 대 상호작용 모형 = 171
작업 기억과 이해 = 174
불완전하거나 부정확한 표상들 = 176
요약 = 178
비유 언어의 이해 = 179
비유 언어의 유형들 = 180
비유 언어 이해에 관한 연구 = 183
요약 = 191
문장 기억 = 191
의미 대 표면형에 대한 기억 = 191
추론과 의미 기억 = 195
명제와 문장 기억 = 196
요약 = 198
복습 문제 = 198
생각해 볼 문제 = 199
Chapter 7 담화 이해와 기억 = 201
서론 = 202
담화의 이해 = 203
국소적 담화 구조와 전역적 담화 구조 = 203
응집성 = 205
일관성 수립에 사용되는 방략들 = 207
작업 기억의 역할 = 212
요약 = 214
담화 기억 = 214
표층 표상 = 215
명제 표상 = 216
상황 모형 = 220
세 수준 전체에 대한 동시 연구 내용 = 223
요약 = 225
도식과 담화 처리 = 225
도식 = 225
장르 = 227
이야기 담화 처리 = 229
지식의 비접근성 = 234
요약 = 236
교육적 함의 = 236
능동적으로 담화 처리하기 = 238
담화 내 명제 연결하기 = 239
요점 파악하기 = 240
전역 구조 만들기 = 241
검사를 위한 이해활동 다듬기 = 241
요약 = 242
복습 문제 = 242
생각해 볼 문제 = 243
PART Ⅲ 언어 산출과 대화의 상호작용
Chapter 8 언어의 지각 = 247
서론 = 248
발화 실수 = 249
말소리 오류의 유형 = 250
말소리 오류의 공통적인 특징들 = 251
말소리 오류에 대한 설명 = 252
요약 = 254
언어적 계획의 형식화 = 254
언어적 계획의 계열 모형 = 255
편집 과정 = 259
언어적 계획의 병렬 모형 = 262
요약 = 265
언어적 계획의 구현 = 266
조음하기 = 266
자기 감시 = 271
요약 = 277
수화로부터의 통찰 = 278
손의 실수 = 278
산출 속도 = 283
요약 = 284
복습 문제 = 285
생각해 볼 문제 = 285
Chapter 9 대화의 상호작용 = 287
서론 = 288
대화의 구조 = 289
대화 시작하기 = 290
대화 끝내기 = 292
차례 주고받기 = 293
대화 주제 절충하기 = 295
참여자와 비참여자 파악하기 = 298
요약 = 300
대화 참여자 = 301
친구 그리고 안면이 있는 사람 = 301
대화에서의 성차 = 304
요약 = 309
대화 장면 = 309
사적 및 공적 장면 = 310
치료적 담화 = 310
공적 담화의 다른 형식들 = 315
요약 = 317
복습 문제 = 317
생각해 볼 문제 = 318
PART Ⅳ 언어 습득
Chapter 10 초기 언어 습득 = 321
서론 = 322
말하기 전의 의사소통 = 323
말하기 전 유아의 사회적 상황 = 323
말하기 전의 몸짓들 = 325
요약 = 330
초기 음운 = 331
말소리 지각의 발달 = 332
말소리 산출의 발달 = 337
요약 = 341
한 번에 한 단어 = 341
어휘 발달 = 342
일어문 = 347
요약 = 349
초기 문법 = 349
통사 발달의 측정치 = 350
문법적 범주의 출현 = 352
이해와 산출 = 355
개인차 = 356
요약 = 358
수화의 습득 = 358
요약 = 362
복습 문제 = 362
생각해 볼 문제 = 363
Chapter 11 후기 언어 습득 = 365
서론 = 366
후기 문법 = 368
형태론의 습득 = 369
후기 통사 발달 = 374
후기 문법에서 언어간 차이 = 378
요약 = 380
메타언어학과 담화 = 381
언어적 자각의 출현 = 381
아동의 담화 처리 = 384
요약 = 391
학교에서의 언어 = 391
교실에서의 의사소통 = 391
읽기와 언어 발달 = 395
요약 = 398
이중언어사용과 이차언어 습득 = 399
아동기 이중언어사용의 맥락 = 399
이중적 일차언어 습득 = 401
이차언어 습득 = 406
이중언어사용의 인지적 결과 = 409
요약 = 414
복습 문제 = 415
생각해 볼 문제 = 415
Chapter 12 언어 습득 과정 = 417
서론 = 418
언어 환경 = 419
야생 아동과 격리 아동 = 419
결정적 시기 가설 = 423
모성어 = 426
요약 = 430
인지 과정 = 430
조작 원리 = 431
감각운동 도식 = 432
인지적 제약 = 434
언어와 인지의 손상 = 436
요약 = 438
생득적 기제 = 439
언어 바이오프로그램 가설 = 439
매개변인 설정 = 443
부적 증거의 문제 = 446
생득적 기제에 대한 반론들 = 448
요약 = 452
복습 문제 = 452
생각해 볼 문제 = 453
PART Ⅴ 언어를 보는 다양한 조망
Chapter 13 언어의 생물학적 기초 = 457
서론 = 458
뇌 기제와 언어 = 459
실어증에 대한 임상적 기술 = 459
Geschwind의 언어 처리 모형 = 467
실어증에 관한 실험 연구들 = 468
정상 언어 처리의 이해에 대한 함의 = 471
요약 = 473
언어 처리의 편재화 = 473
분할뇌 연구 = 474
정상적인 뇌의 편재화 = 478
우반구의 기여 = 481
편재화의 발달 = 483
다른 종에서의 편재화 = 486
요약 = 487
언어의 진화 = 488
현생 영장류들의 의사소통 = 490
영장류에게 언어 가르치기 = 491
연속성 논쟁 = 496
가능한 진화의 연속 = 499
요약 = 503
복습 문제 = 504
생각해 볼 문제 = 504
Chapter 14 언어, 문화 그리고 인지 = 507
서론 = 508
Whorf 가설 = 509
언어 결정론과 언어 상대성 = 509
Whorf 가설의 예들 = 510
요약 = 515
인지에 대한 어휘의 영향 = 515
Whorf 가설의 검증 = 515
색채어 = 517
숫자어 = 521
대상어 = 523
공간어 = 523
요약 = 528
인지에 대한 문법의 영향 = 529
가정법 연구 = 529
형태의 문법적 표지 = 533
물체와 물질의 문법적 표지 = 534
성별의 문법적 표지 = 537
최종 의견 = 539
요약 = 540
복습 문제 = 540
생각해 볼 문제 = 540
용어 해설 = 543
찾아보기 = 56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