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11
프롤로그: 다인종 다문화 관점으로 미국 문화 읽기
1. 다인종 다문화 관점과 그 방법론
1) 왜 미국 문화인가? = 18
2) '서사' 읽기의 문화정치학 = 21
3)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30
4) 비판적인 다인종 다문화 관점 = 38
2. 세 가지 해석적 패러다임
1) 자급 = 43
2) 영성 = 50
3)...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11
프롤로그: 다인종 다문화 관점으로 미국 문화 읽기
1. 다인종 다문화 관점과 그 방법론
1) 왜 미국 문화인가? = 18
2) '서사' 읽기의 문화정치학 = 21
3)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30
4) 비판적인 다인종 다문화 관점 = 38
2. 세 가지 해석적 패러다임
1) 자급 = 43
2) 영성 = 50
3) 몸 = 58
1부 미국의 역사
1부 들어가며: 백인 남성 중심의 미국 역사를 넘어서 = 70
1장 전통적 미국(1600∼1820)
01 건국의 백인 아버지들을 의심하라 = 80
02 건국 초기, 백인 여성들의 위치 = 95
03 이질적 문화를 이어 준 유색 여성들 = 108
2장 미국 프런티어들의 산업화 시대(1820~1900)
01 끝없이 팽창하는 미국, 신음하는 노동자와 유색인종 = 118
02 "우리는 땅과 인간의 권리를 주장한다" = 134
03 유색 여성들에게 더 가혹했던 미국 개척사 = 152
3장 강력한 산업 국가의 건설(1900~1945)
01 해외 프런티어로 눈 돌리는 백인 남성들의 행진 = 162
02 미국 하위 주체 남녀들의 수난 = 169
03 백인 남성 체제에 대응하는 유색 여성들 = 188
4장 불의에 대한 투쟁(1945~2000)
01 제국의 기세에 편승하거나 맞서며 = 204
02 마이너리티 운동의 불꽃 = 217
03 유색 여성들의 해방 선언들 = 232
1부 나가며: 내부 혁명이 외부 혁명으로 확산되는 그날까지 = 245
1부 부록
인디언이 아니라 '토착 미국인'이다! = 248
여성들을 기억하세요 - 애비게일 애덤스의 편지 = 249
오하이오 주에 사는 여성들이 보내는 청원서 = 251
여성의 재산권을 인정한 법률 = 253
레드스타킹들의 선언서 = 254
급진적 레즈비언들의 선언서 = 257
흑인 페미니스트 선언서 = 260
2부 미국 문학
2부 들어가며: 미국 문학의 중심과 주변들을 연결하며 읽기 = 266
5장 백인 문화와 토착 미국 문화의 소설 속 만남
01 백인 남성의 토착 미국 문화 왜곡:『최후의 모하칸 족』 = 280
02 토착 미국인들의 축출과 유럽계 이민 여성의 미국:『나의 안토니아』 = 289
03 토착 미국 여성이 그려 낸 공동체 문화의 변형:『의식』 = 296
6장 미국 문학에 구현된 흑백 인종 문제와 남녀 관계
01 가부장적 백인 남성이 야기한 남부 삶의 비극:『압살롬, 압살롬!』 = 306
02 주인공이 된 흑인 남성 주체의 번민:『보이지 않는 인간』 = 316
03 이중으로 소외된 흑인 여성들의 이야기:『칼라 퍼플』 = 328
7장 국가를 거부하고 대륙을 횡단하는 미국 문학
01 중서부 백인 농부와 땅을 통해 본 미국 사회의 모순:『분노의 포도』 = 338
02 억압을 뚫고 대륙을 횡단하는 백인 하위 주체 여성:『대지의 딸』 = 346
03 경계 지대로서 치카나 문학의 새로운 지평:『나의 등이라고 하는 이 다리』 = 354
8장 미국 문학 속에 등장하는 아시아계 미국인의 형상들
01 남북 전쟁 탈영병과 하위 주체들의 만남:『콜드 마운틴』 = 366
02 세계대전 참전을 거부한 일본계 미국 남성의 고뇌:『노 노 보이』 = 377
03 언어로 싸우는 중국계 미국 여성의 태평양 횡단 서사:『여성 전사』 = 381
2부 나가며: 꽃처럼 피어나는 미국 문학의 지형도를 위해 = 393
3부 미국 영화
3부 들어가며: 백인 남성 중심의 고전 할리우드에서 다인종 다문화의 뉴 할리우드로 = 402
9장 스크린에 구현된 토착 미국인들
01 비인간에서 인간으로:〈솔저 블루〉 = 416
02 인간으로 다루어지지만 피상적인 재현:〈제로니모〉,〈늑대와 춤을〉,〈가을의 전설〉 = 418
03 토착 미국 남성 감독의 손으로 만든 영화:〈봉화〉 = 429
10장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재현
01 상투형에 갇힌 검은 몸들의 풍경:〈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438
02 주인공으로 부상한 흑인 남녀와 백인 사회의 관계:〈칼라 퍼플〉,〈정글 피버〉,〈맬컴 엑스〉 = 442
03 흑인 여성이 감독한 영화의 새로움:〈먼지의 딸들〉 = 455
11장 치카노ㆍ치카나 영화들
01 회화화ㆍ상업화되어 온 치카나와 치카나:〈황야의 무법자〉,〈엘 마리아치〉 = 464
02 백인 중심 역사의 건망증과 가부장적 시선:〈론스타〉 = 471
03 치카나 감독이 재조명한 멕시코 문화:〈라 오프렌다〉 = 179
12장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재현
01 백인들의 영화에서 아시아계 배우들의 영화로:〈찬이 실종되다〉 = 490
02 중국계 미국 여성들의 동화된 삶:〈조이 럭 클럽〉 = 499
03 다인종 남녀들의 새로운 배치와 아시아계:〈로미오 머스트 다이〉,〈페스트 앤 퓨리어스〉 = 505
3부 나가며: 백인 우월주의적 가부장적 시선에 대항하는 다인종 다문화 관객 = 509
4부 미국의 대중음악
4부 들어가며: 미국 문화와 호흡하고 대화하는 대중음악 = 516
13장 미국 대중음악의 역사적 뿌리와 전개 과정
01 아프리카에서 직접 유래된 흑인 음악: 노동요와 영가 = 530
02 자발성, 긴장감, 세련된 즉흥성: 재즈 = 538
03 아무리 비참해도 음악과 함께 이겨 내자: 블루스 = 548
04 흑인들의 자존심과 위엄이 담긴 음악: 리듬 앤 블루스 = 557
14장 1960년∼1980년대까지의 미국 대중음악
01 히피와 신좌파, 흑인에게 생명력을 불어넣은 음악: 록과 포크, 소울 = 564
02 록의 변주들: 헤비메탈, 하드코어, 펑크/훵크 = 572
03 록의 새로운 성 정치: 록에서의 여성들 = 576
15장 1980년대와 1990년대의 힙합 문화와 랩 음악
01 힙합 문화의 시작과 문화사적 의미 = 586
02 힙합과 랩의 상업화 = 591
03 랩 음악의 뿌리와 탄생 = 594
04 남성 랩 음악의 발전: 록 랩, 하드코어 랩, 갱스터 랩, 지 훵크 = 597
16장 흑인 여성 래퍼들의 문화정치
01 인종, 계급, 젠더, 섹슈얼리티를 협상하는 공공 영역 = 616
02 흑인 여성 랩의 네 가지 담론 전략 = 619
03 힙합 페미니즘과 액티비즘: 여성 래퍼들, 세상과 맞짱 뜨다! = 637
4부 나가며: 미국 대중음악 - 액티비즘 - 교실 = 644
에필로그 = 654
참고 문헌 = 663
찾아보기 = 67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