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한문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한문 교육의 이론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의 영역과 내용 체계의 문제
1. 들어가는 말 = 15
2. '영역' 분류의 문제 = 17
2-1. '한자, 한자어, 한문'의 '영역' 문제 = 17
2-2. '한자, 한자어, 한문'의 '위계성' 문제 = 20
3. '내용 체계...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한문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한문 교육의 이론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의 영역과 내용 체계의 문제
1. 들어가는 말 = 15
2. '영역' 분류의 문제 = 17
2-1. '한자, 한자어, 한문'의 '영역' 문제 = 17
2-2. '한자, 한자어, 한문'의 '위계성' 문제 = 20
3. '내용 체계'의 문제 = 23
4. 나오는 말 = 26
바람직한 한문과(漢文科) 교수ㆍ학습 방법의 모색
1. 들어가는 말 = 33
2. 교수ㆍ학습 방법의 개선은 교사의 권한 = 36
3. 바람직한 교수ㆍ학습 경험의 교류와 다양한 방법 모색 = 41
3-1 바람직한 교수ㆍ학습 경험 교류의 요구 = 41
3-2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 모색의 필요 = 44
4. 나오는 말 = 58
한문과(漢文科) 교과 교육에 있어서 교과서 문제
1. 들어가는 말 = 65
2. 한문과 교육의 교과서 = 66
3. 교과서 심의 제도와 한문 교과서 = 69
3-1. 교과서 심의와 한문 교과서 = 69
3-2. 교과서 정책의 문제 = 77
4. '한문 교과서'의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 79
4-1. 1,800자와 한문 교과서 내용 = 79
4-2. 교과서 자료에서 1,800자 규정 제한 해제의 필요성 = 84
5. 나오는 말 = 85
한문과(漢文科) 교사 연수의 현황과 해결 방안
1. 들어가는 말 = 91
2. 한문과 자격 연수 교육과정의 분석 = 93
3. 한문과 자격 연수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 = 102
3-1. 경험 교류의 교육과정 부재(不在) = 102
3-2. 특강식 교육과정의 문제 = 104
4. 연수 교육의 대안 = 106
4-1. 교수 방법 이론의 다양한 모색 = 106
4-2. 현장 경험의 공유 = 110
5. 나오는 말 = 116
바람직한 문장 구조 및 성분론
1. 들어가는 말 = 123
2. 불명확한 개념과 교과서의 문제 = 124
2-1. 주어 성분의 개념과 실제 = 125
2-2. 보어의 개념과 범위 = 126
3. 다양한 해석과 이중적 문장 구조 = 130
4. 문장 구조와 성분 분류의 최소화 = 134
5. 나오는 말 = 138
한문 교과 교육에서 '한자의 짜임' 지도 방법의 일고찰
1. 들어가는 말 = 143
2. 상형자ㆍ지사자 원리에 대한 교과서 서술과 학습 지도의 문제 = 145
3. 이미지 컷 활용을 통한 상형자ㆍ지사자 제자 원리 지도 = 152
3-1. 상형자와 지사자의 이미지화 원리 = 152
3-2. 이미지 컷을 활용한 상형자ㆍ지사자 지도 = 159
4. 나오는 말 = 164
현토(懸吐) 교육의 유용성과 토의 문법적 성격
1. 들어가는 말 = 171
2. 현토 학습의 유용성 = 172
3. 현토의 문법적 기능 = 179
3-1. 명사(명사절) 토의 문법적 기능 = 180
3-2. 연결 토의 문법적 기능 = 186
3-3. 종결 토의 문법적 기능 = 189
3-4. 존칭 토의 문법적 기능 = 190
4. 나오는 말 = 192
한문과(漢文科) 수행 평가의 현황과 개선 방향
1. 들어가는 말 = 195
2. 기존 평가의 반성과 수행 평가 = 196
2-1. 기존 평가의 반성 = 196
2-2. 새로운 대안, 수행 평가 = 198
3. 한문과 수행 평가의 현황 = 202
3-1. 기존의 과제형 수행 평가 = 202
3-2. 한문과 수행 평가의 사례 = 204
3-3. 한문과 수행 평가의 문제 = 213
4. 한문과 수행 평가의 개선 방향 = 215
5. 나오는 말 = 221
한문 교육의 한자어 교육 문제
1. 들어가는 말 = 229
2. 한자어가 중심인 한문 교과서의 문제 = 230
3. '언어 생활에 필요한 한자 교육' 규정의 문제 = 237
4. 한자어 교육 문제의 해결 방안 = 242
4-1. 한문 중심의 교과서 구성의 필요 = 243
4-2. 한자어 조어(造語) 학습 내용의 구성 = 244
5. 나오는 말 = 246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 설정 및 내용 조직의 원리 모색
1. 들어가는 말 = 251
2. 영역 설정의 문제와 방안 = 252
2-1. 한자, 한자어의 성격과 내용 = 252
2-2. 한문과 교육과정의 영역 설정 = 258
3. 내용 조직의 원리 모색의 방향 = 261
3-1. 현행 한문과 내용 조직 원리의 문제 = 261
3-2. 한문과 내용 조직 원리 모색 = 263
4. 나오는 말 = 266
한국의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 문제와 해결의 방향
1. 들어가는 말 = 273
2. 한문과 교육과정의 문제 = 275
2-1. 정체성을 잃은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 = 276
2-2. 위계성의 문제와 계열성의 결여 = 280
2-3. 불충분한 한문과 학습 활동과 요소 = 284
3. 한문과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방향 제시 = 287
3-1. 한문과 정체성이 반영되는 한문과 '성격'과 '목표' = 287
3-2. 위계성과 계열성 확보 = 289
3-3. 학습 요소와 학습 활동의 개발 = 292
4. 나오는 말 = 293
한문 교육의 위계성과 연계성 문제
1. 들어가는 말 = 299
2.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위계성과 연계성 문제 = 301
2-1. 중학교 한문 교과서 내용의 위계성 = 301
2-2. 중학교 한문 교과서 내용의 연계성 = 312
2-3. 위계성과 연계성이 결여되는 이유 = 319
3. 나오는 말 = 322
제2부 재미있는 한문 교육 : 한문 교육의 실제
1. 지사자(指事字)의 지도 = 331
2. 회의자(會意字)의 지도 = 341
3. 형성자(形聲字)의 지도 = 347
4. 육서(六書)에 관한 수업 = 354
5. 상대자를 이용한 이야기 만들기 = 361
6. 라디오 극본을 통한 성어(成語) 수업 = 367
7. 이야기를 통한 고사성어 학습 = 374
8. 이야기를 통한 단문 학습 = 382
9. 진정한 효(孝)란 무엇인가? = 387
10. 현대시와 비교를 통한 한시 감상 = 400
11. 역사속의 한문 탐구 - 형제투금(兄弟投金) = 41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