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제국의 변경으로 전락한 고려 = 5
프롤로그 - 세조 쿠빌라이는 왜 일본을 정복하려고 했을까? = 12
1. 팍스 몽골리카
쿠빌라이 이전의 황제들 = 23
1대, 태조 칭기스칸(1206∼1227)
2대, 태종 우구데이(1229∼1241)
3대, 정종 구육(1246∼1248)
4대, 헌종 뭉케(1251∼1259)
세조 쿠빌라...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제국의 변경으로 전락한 고려 = 5
프롤로그 - 세조 쿠빌라이는 왜 일본을 정복하려고 했을까? = 12
1. 팍스 몽골리카
쿠빌라이 이전의 황제들 = 23
1대, 태조 칭기스칸(1206∼1227)
2대, 태종 우구데이(1229∼1241)
3대, 정종 구육(1246∼1248)
4대, 헌종 뭉케(1251∼1259)
세조 쿠빌라이(1260∼1294) = 48
쿠빌라이의 장강 회군
내전, 황제위 다툼
제국의 형세
제국의 분립
쿠빌라이의 대원 제국
쿠빌라이의 남방 원정
끝이 없는 정복 활동, 이유 없는 필연
쿠빌라이의 대원 제국과 고려 = 80
고려 태자와 쿠빌라이의 만남
군대의 철수, 종전
출륙 문제
쿠빌라이, 고려의 독자성은 보장하겠다
2. 1차 일본 원정
김준 정권과 여원 관계 = 99
무산된 왕정복고
다시 친조 문제
친조 문제와 김준 정권
국왕, 쿠빌라이와 두 번째 만남
일본 문제, 외교냐 전쟁이냐 = 111
고려의 군사 수를 묻다
첫 번째 일본행 사신, 통교하라
일본과 남송
이장용, 전쟁만은 피하자
두 번째 일본행 사신, 문전박대당하다
고려에 대한 압박
이장용과 쿠빌라이의 논쟁
세 번째 일본행 사신, 일본인을 잡아 오다
일본 원정의 걸림돌, 고려 삼별초 = 139
진퇴양난의 마지막 무인정권
개경환도
일본 원정에 동원될 위기의 삼별초
삼별초 정부와 원 제국
마지막 사신 조양필, 일본 정벌을 반대하다
삼별초 정부와 일본
일본 원정을 방해하는 삼별초
전시 동원 체제 = 169
고려에 주둔한 원의 군대
일본 원정을 위한 구수 기지, 고려 둔전
군량 문제
휘몰아치는 일본 원정 총동원령
출정
일본 본토 상륙
퇴각, 태풍을 만나다
3. 2차 일본원정
충렬왕, 원 공주와의 결혼 = 207
최초의 혼담
결혼 유보
두 번째 청혼
세자의 결혼과 일본 원정
사위의 나라
제국의 변경, 속국, 부마국 = 222
관제 격하
원 공주와 그 수행원
잡다한 공물
군사적 통제
응방, 혹은 국왕 친위대
김방경의 호두금패
김방경 무고 사건
충렬왕과 쿠빌라이, 장인과 사위의 대면
주둔군 철수, 원정 예고
2차 일본 원정 = 261
일본행 사신 피살, 이국출격
원정 준비, 급진전
충렬왕, 일본 원정은 내가 주도한다
추밀원의 훈령
고려 원정군
출정
상륙도 못하고
또 태풍을 만나다
탈출한 패잔병이 전한 이야기
4. 원정 실패, 그 후
마크로 폴로의 일본 원정 이야기 = 301
일본, 황금의 섬 치핑구
사이가 나쁜 두 사령관
고립된 3만 명, 일본 수도를 점령하다
쿠빌라이의 심판, 지휘관 처벌
왜, 실패했을까? = 313
태풍, 가미카제
강남군의 구성
일본, 가마쿠라 바쿠후의 대응
쿠빌라이가 생각한 일본 원정
포기할 수 없는 일본 원정
일본 원정의 영향과 그 의미 = 333
해양 제국의 좌절, 제국의 쇠퇴
나얀의 반란
가마쿠라 바쿠후의 멸망
일본행성과 고려의 정동행성
둔전, 고려 농업의 선진 지역
군역의 변화, 국민개병제의 시작
일본 원정 후, 고려 = 354
충렬왕의 전성기
고려 주둔군 사령부
충렬왕의 군사권과 만호
합단의 침략, 강화도 피란
에필로그 - 세조 쿠빌라이의 임종, 사위와 딸 그리고 외손자
참고문헌 = 374
찾아보기 = 37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