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서론 = 1
1.1 미생물 세포의 산업적 이용 = 1
1.2 미생물 세포 응용연구 흐름 = 2
1.3 미생물 세포 응용연구 발전 방향 = 4
1편 유용 미생물 균주 개발 = 7
제2장 미생물 유전자 자원 개발 = 9
2.1 도입 = 9
2.2 자연환경으로부터 미생물 세포 분리 = 10
2.3 환경유전체 자원의 활용 = 12
...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서론 = 1
1.1 미생물 세포의 산업적 이용 = 1
1.2 미생물 세포 응용연구 흐름 = 2
1.3 미생물 세포 응용연구 발전 방향 = 4
1편 유용 미생물 균주 개발 = 7
제2장 미생물 유전자 자원 개발 = 9
2.1 도입 = 9
2.2 자연환경으로부터 미생물 세포 분리 = 10
2.3 환경유전체 자원의 활용 = 12
2.4 산업적으로 유용한 미생물 세포의 평가 = 14
2.5 미생물 세포의 유지 및 보존 = 15
2.6 요약 = 17
제3장 유전 정보의 전달 및 유전자 돌연변이 = 19
3.1 도입 = 19
3.2 유전 정보의 전달 = 20
3.3 유전자 돌연변이 = 22
3.4 돌연변이 유발 및 우수 균주 선택 = 27
3.5 요약 = 29
제4장 유전자 교환 및 재조합 = 31
4.1 도입 = 31
4.2 세포 내 유전자 교환 = 31
4.3 원형질체 융합을 통한 유전자 교환 = 33
4.4 시험관 내 유전자 재조합 = 37
4.5 요약 = 44
제5장 유전체 분석 및 생물 정보 = 45
5.1 도입 = 45
5.2 유전체 구성과 구조 = 45
5.3 유전자은행 제작 및 physical mapping = 46
5.4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유전체 주석 = 46
5.5 생물정보 수집 및 관리 = 48
5.6 비교 유전체학 = 49
5.7 대역 유전자 발현 분석 = 49
5.8 유전체 분석 및 생물정보의 활용 = 51
5.9 요약 = 52
제6장 유전자 발현 및 단백질 생산 = 53
6.1 도입 = 53
6.2 유전자 전사 = 53
6.3 유전자 번역 및 단백질 생합성 = 58
6.4 단백질 과대 생합성 조절 = 60
6.5 재조합 유전자의 발현 및 단백질 생산 = 61
6.6 유전자 특정 위치 변이 및 신 단백질 창출 = 68
6.7 요약 = 71
제7장 세포 대사산물의 과대 생합성 조절 = 73
7.1 도입 = 73
7.2 대사 조절 = 74
7.3 증식 필수영양물질 결핍에 대한 세포의 반응 = 76
7.4 일차 대사산물 과대 생합성 조절 = 77
7.5 이차 대사산물 과대 생합성 유도 = 80
7.6 요약 = 83
2편 대사와 증식의 정량적 이해 = 85
제8장 실험 결과의 정량적 분석 및 표현 = 87
8.1 도입 = 87
8.2 물리변수와 차원 및 측정 단위 = 87
8.3 실험 자료의 정량적 분석 = 92
8.4 실험 자료의 표현 = 95
8.5 요약 = 98
제9장 세포 증식 및 대사의 정량적 이해 = 99
9.1 도입 = 99
9.2 세포 증식의 분석 = 100
9.3 세포 대사 및 증식에서 질량, 원소 및 전자 균형 = 103
9.4 세포 증식 및 산물 생성 수율 = 106
9.5 요약 = 109
제10장 대사 및 세포 증식의 카이네틱스 = 111
10.1 도입 = 111
10.2 대사 및 세포 증식의 열역학적 고려 = 111
10.3 대사 및 세포 증식속도 = 112
10.4 대사 및 세포 증식속도의 변화 = 115
10.5 기질의 이화율 및 동화율 = 117
10.6 세포 내 ATP 생산과 소모 = 118
10.7 배양 환경과 유지에너지 대사율 = 120
10.8 유지에너지 대사율과 세포 증식 = 121
10.9 요약 = 122
제11장 세포 배양 환경과 세포 반응 = 125
11.1 도입 = 125
11.2 탄소 및 에너지원에 대한 세포의 정량적 반응 = 126
11.3 질소원에 대한 세포의 정량적 반응 = 129
11.4 용존산소 농도에 대한 세포의 정량적 반응 = 130
11.5 산화ㆍ환원 전위에 대한 세포의 정량 반응 = 134
11.6 물의 활성에 대한 세포 반응 = 138
11.7 수소 이온 농도에 대한 세포의 정량적 반응 = 141
11.8 배양 온도에 대한 세포의 정량적 반응 = 143
11.9 요약 = 145
제12장 세포 배양 배지 조성 및 제조 = 147
12.1 도입 = 147
12.2 배지 구성 성분 = 147
12.3 배지 멸균의 원리 및 실제 방법 = 154
12.4 요약 = 161
3편 미생물 세포 배양 systems = 163
제13장 표면 배양ㆍ심층 배양 = 165
13.1 도입 = 165
13.2 평판배지에서 집락 증식 = 165
13.3 고형물 표면에서 생체 박막층 형성 증식 = 169
13.4 심층 배양에서 응집 증식 = 170
13.5 요약 = 172
제14장 회분배양 = 173
14.1 도입 = 173
14.2 진탕 회분배양에서의 세포 증식 = 174
14.3 증식 정체 및 사멸기에서의 세포 적응 = 177
14.4 진탕 회분배양에서 세포 증식 및 산물의 생산성 = 179
14.5 요약 = 182
제15장 연속배양 = 183
15.1 도입 = 183
15.2 기질제어 연속배양 = 183
15.3 탁도제어 연속배양 = 192
15.4 세포 재순환 연속배양 = 193
15.5 요약 = 198
제16장 기질 주입 특수 회분배양 = 199
16.1 도입 = 199
16.2 기질 주입 회분배양 = 199
16.3 투석 회분배양 = 202
16.4 기질 확산 회분배양 = 204
16.5 원통관 흐름배양 = 205
16.6 요약 = 207
제17장 혼합배양 = 209
17.1 도입 = 209
17.2 두 종의 세포가 동일한 기질을 경쟁적으로 소모하는 경우: 자유경쟁 = 209
17.3 한 종의 산물이 자체의 증식을 억제하나 다른 종의 기질이 되는 경우: 제한적 경쟁 = 210
17.4 한 종의 산물이 자체의 증식을 억제하나 다른 종의 증식을 촉진하는 경우 = 211
17.5 한 종의 산물이 다른 종의 기질로 사용되는 경우 = 212
17.6 먹이-포집자의 혼합배양 = 212
17.7 변이주의 증식속도의 측정 = 214
17.8 요약 = 215
4편 산물 생산 공정 = 217
제18장 세포 증식의 수식 모형 = 219
18.1 도입 = 219
18.2 수식 모형의 유형 = 219
18.3 기질 농도 제한에 의한 세포 증식 제한 = 220
18.4 고농도 기질에 의한 세포 증식 저해 = 222
18.5 세포 증식 억제물질에 의한 세포 증식 저해 = 223
18.6 자체 산물에 의한 세포 증식 저해 = 228
18.7 요약 = 229
제19장 세포배양기 구조, 운전 및 산업화 = 231
19.1 도입 = 231
19.2 세포배양기의 기능 및 구조 = 231
19.3 세포배양기의 형태 및 특성 = 232
19.4 세포배양기의 조절 및 운전 = 234
19.5 세포 공정의 산업화 = 236
19.6 요약 = 238
제20장 생물 반응기에서 물질, 열, 힘 전달 = 239
20.1 도입 = 239
20.2 물질 이동 현상 = 240
20.3 세포배양기 내 산소 전달 = 241
20.4 반응계의 에너지 균형 및 전달 = 247
20.5 세포 배양기에서 열 발생 및 교환 = 250
20.6 세포 배양액의 유변성 = 254
20.7 생물 반응기에서 운동량 균형 및 전달 = 256
20.8 요약 = 258
제21장 산물의 회수 및 정제 = 259
21.1 도입 = 259
21.2 생물 산업에서 산물 정제 = 259
21.3 고상/액상 분리 = 261
21.4 세포체 파쇄 = 264
21.5 액상으로부터 목적산물 회수 = 266
21.6 정제 산물의 농축 = 270
21.7 요약 = 272
찾아보기 = 27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