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5
제1부 덕계 오건
제1장 덕계 오건의 인간상 / 오규환 = 17
1. 서언 = 17
2. 가계와 생애 = 19
3. 인물과 사상 = 24
4. 공헌과 업적 = 33
5. 결어 = 41
제2장 덕계 오건의 학문과 경세론 / 유미림 = 45
1. 서론 = 45
2. 수학과정과 학문 경향 = 47
3. 경세론 =...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5
제1부 덕계 오건
제1장 덕계 오건의 인간상 / 오규환 = 17
1. 서언 = 17
2. 가계와 생애 = 19
3. 인물과 사상 = 24
4. 공헌과 업적 = 33
5. 결어 = 41
제2장 덕계 오건의 학문과 경세론 / 유미림 = 45
1. 서론 = 45
2. 수학과정과 학문 경향 = 47
3. 경세론 = 57
1) 성학의 강조 = 57
2) 왕가와 사회질서 = 63
3) 직분과 공직자 윤리 = 68
4) '권시처중'의 정책론 = 71
4. 결론: 학행일치의 실천가 = 76
제3장 덕계 오건의 시문학 연구 / 김남기 = 81
1. 머리말 = 81
2. 생애와 학문의 지향 = 83
3. 시문학의 양상과 특징 = 88
1) 사물의 인식과 존양의 자세 = 90
2) 세사의 불평과 귀거래의 지향 = 92
3) 이합의 현장과 지인에의 권면 = 95
4. 결론 = 98
제4장 덕계 오건의 철학사상 고찰 / 이희평 = 101
1. 서론 = 101
2. 인간: 천지간 존재 = 104
3. 학문: 개경과 궁리 = 110
4. 정치: 손지와 허심 = 114
5. 결론 = 122
제5장 덕계 오건과 도학의 이해 / 이범직 = 125
1. 머리말 = 125
2. 중종 말 명종조 정국과 사림의 성장 = 126
3. 오건의 가계와 사우ㆍ문인관계 = 133
4. 수기와 성학지치적 도학론 = 144
5. 맺음말 = 157
제6장 덕계 오건의 선비사상에 나타나는 '의로움'의 개념과 '의'의 형이상학적 특성 / 이명곤 = 161
1. 서문 = 161
2. '지행합일'로 대변되는 덕계 오건의 선비정신: 생애와 언행을 통한 이해 = 162
3. '의'의 개념과 역동성 = 169
1) 경과 의의 관계 = 169
2) '의'의 3단계와 역동성 = 174
4. 근원에 대한 지향성과 '의'의 형이상학적 특성 = 183
5. 결론 = 190
제7장 조선 중기 덕계 문인의 형성과 강학 / 사재명 = 193
1. 머리말 = 193
2. 시대ㆍ지역적 배경과 덕계 오건의 교육 = 196
1) 시대 및 지역적 배경 = 196
2) 덕계 오건의 교육 = 201
(1) 수학 및 급문 = 201
(2) 교육이론 = 203
(3) 덕계오건의 강학활동 = 210
3. 덕계 문인의 형성과 강학활동 = 216
1) 문인의 급문동기 및 형성 = 216
(1) 급문동기 = 216
(2) 덕계 문인의 형성 = 218
2) 덕계 문인의 강학활동 = 224
4. 교육사적 의의 = 225
5. 맺음말 = 228
제2부 수우당 최영경
제1장 최영경의 생애와 사상 / 최해갑 = 233
1. 서언 = 233
2. 가계와 출졸 = 235
3. 생애와 사상 = 235
1) 효성과 우애 = 235
2) 전정경의의 학 = 237
3) 수정의 고절 = 239
4) 징소와 출처 = 244
5) 존사(尊師)와 서원창건 = 246
4. 기축원사 = 249
1) 이항복의『기축록』 = 249
2) 허목『기언』의「최수우사실」 = 252
3) 양천익의『수우선생실록』 = 254
4) 가축옥사의 전말 = 255
5) 신원과 추모 = 258
6) 제현이 본 최영경의 위인 = 265
5. 결어 = 268
제2장 수우당 최영경의 생애와 학문사상 연구 / 권인호 = 271
1. 머리말 = 271
2. 시대적 상황 = 272
1) 사림파의 정국주도 = 272
2) 기축사화와 사림파의 분열 = 279
3. 가계와 생애 = 281
4. 학문사상의 특성 = 294
1) 실천윤리와 출처의리사상 = 294
2) 민본과 실학적 사상 = 298
5. 후세의 포창과 영향 = 301
6. 맺음말 = 303
제3장 최영경 삶의 특징과 그 문학의 미적 체계 / 정우락 = 305
1. 머리말 = 305
2. 현실인식과 삶의 특징 = 309
1) 비판적 현실인식 = 309
2) 삶의 세 가지 특징 = 315
3. 문학관과 작품의 미적 체계 = 321
1) 사약리도(辭約理到)의 문학관 = 321
2) 지(智)ㆍ우(遇)의 미적 체계 = 327
4. 맺음말 = 334
제4장 선조 연간 최영경의 옥사와 정치사적 의미 / 김강식 = 339
1. 머리말 = 339
2. 옥사의 검토 = 341
3. 최영경의 위상과 경상우도의 대응 = 347
4. 향촌사회의 분열과 정치사적 의미 = 358
5. 맺음말 = 366
제5장 수우당 최영경의 학문적 연원과 지향의식 / 김경호 = 369
1. 머리말 = 369
2. 16세기 중엽 조선사회의 동향 = 372
3. 최영경의 생애와 인간상 = 375
1) 선비적 자품과 학인으로서의 태도 = 375
2) 엄격한 출처의 의리와 절조 = 377
4. 경의를 기반으로 한 최영경의 학문적 연원과 지향 = 381
1) 조식의 경의지학과 그 영향 = 381
2) 최영경과 이이와의 관계 = 386
5. 맺음말 = 39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