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7세기 전반 관료문인과 명대 의고파의 연관 ... 7
김창협의 비평과 구양수의 비지서사 창작법 ... 24
연경에 나타난 '문오'취향과 절목식 글쓰기 ... 46
이옥과 풍몽룡의 산문에서 통속성과 진정의 관계 ... 64
이옥의 김성탄 수용 ... 92
18세기 한중 문학 교류와 유득공의 이십일도회고시 ... 114
다산과 다산학단의 국여사 창작과 그 의...
목차 전체
17세기 전반 관료문인과 명대 의고파의 연관 ... 7
김창협의 비평과 구양수의 비지서사 창작법 ... 24
연경에 나타난 '문오'취향과 절목식 글쓰기 ... 46
이옥과 풍몽룡의 산문에서 통속성과 진정의 관계 ... 64
이옥의 김성탄 수용 ... 92
18세기 한중 문학 교류와 유득공의 이십일도회고시 ... 114
다산과 다산학단의 국여사 창작과 그 의미 ... 141
중국 시 선집에 수록된 19세기 조선의 한시 ... 166
김택영과 중국번의 문장론 비교 ... 202
황매천의 중국시에 대한 시각 ... 230
1910년을 전후한 시기 변영만의 근대적 사유와 그 맥락 ... 27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