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편 정원(庭苑)의 뜻〔意味〕과 용어(用語) = 1
1 정원(庭園, 庭苑)의 뜻 = 4
2 용어(用語) = 9
제2편 정원(庭苑)의 역사(歷史) = 13
1. 삼국시대(三國時代) = 15
1 고구려(高句麗) = 15
1.1 안학궁(安鶴宮)의 정원(庭苑) = 16
1.2 대성산성(大城山城) = 18
...
목차 전체
목차
제1편 정원(庭苑)의 뜻〔意味〕과 용어(用語) = 1
1 정원(庭園, 庭苑)의 뜻 = 4
2 용어(用語) = 9
제2편 정원(庭苑)의 역사(歷史) = 13
1. 삼국시대(三國時代) = 15
1 고구려(高句麗) = 15
1.1 안학궁(安鶴宮)의 정원(庭苑) = 16
1.2 대성산성(大城山城) = 18
2 백제(百濟) = 18
2.1 웅진성(雄津城)과 임류각(臨流閣) = 19
2.2 사비성(泗l??과 궁궐 = 21
3 신라(新羅) = 22
2.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 = 24
1 통일신라(統一新羅) = 24
1.1 안압지(雁鴨池)와 임해전(臨海殿) = 25
1.2 포석정(鮑石亭) = 30
1.3 궁궐(宮闕) 밖의 정원 유적 = 30
1.3.1 구품연지 유적(九品蓮池遺蹟) = 30
1.3.2 용강동 원지 유적(龍江洞 園池遺蹟) = 33
1.3.3 선암사 삼인당(仙巖寺三印塘) = 33
1.3.4 사절 유택(四節遊宅) = 33
2 발해(渤海) = 34
3. 고려시대(高麗時代) = 38
1 순천관(順天館) 정원 = 49
2 문수원(文殊院) 정원 = 49
3 회암사(檜巖寺) 정원 = 52
4 관란사(觀瀾寺) 정원 = 55
5 진강공(晋康公)의 모정(茅亭) = 55
6 유가당(有嘉堂) = 56
7 사가재(四可齋) = 56
8 통재(通齋) 동산 = 56
9 태재(泰齋) 동산 = 57
10 냉천정(冷泉亭) 동산 = 58
11 최승제 대루(崔承制大樓) = 58
12 이규보(李奎報)의 사륜정(四輪亭) = 59
13 기홍수(寄洪壽)의 별서(別墅) = 60
제3편 정원(庭苑)의 구성(構成) = 61
1. 구성 원리(構成原理) = 63
2. 구성 요소(構成要素)ㆍ구성 방법(構成方法) = 72
1 터 잡기〔相地〕 = 72
2 건축(建築) = 75
2.1 정(亭), 정자(亭子) = 76
2.2 누(樓) = 78
2.3 각(閣) = 80
2.4 당(堂) = 81
2.5 헌(軒) = 81
2.6 대(臺) = 81
2.7 사(i? = 82
3 마당 = 83
4 동산〔苑〕ㆍ조산(造山)과 가산(假山) = 84
5 석축(石築), 석단(石段), 화계(花階), 석계(石階), 식단(植壇) = 86
6 징검돌, 돌길〔石道〕, 전돌길〔x樸끝?= 87
7 물〔水〕 = 88
7.1 샘터〔泉〕, 우물〔井〕 = 89
7.2 못〔池〕, 지당(池塘), 연못〔蓮池〕과 섬〔島〕 = 91
7.3 물길〔水路〕 = 95
7.4 다리〔橋〕 = 96
8 석물(石物) = 97
8.1 물확〔水確〕 = 97
8.2 석지(石池)ㆍ석련지(石蓮池) = 98
8.3 석함(石函) = 98
8.4 석상(石床), 석탑(石榻) = 99
8.5 대석(臺石) = 100
8.6 노둣돌〔下馬石〕 = 101
8.7 석조(石槽) = 101
8.8 석루조(石漏槽) = 101
8.9 식석(飾石) = 103
9 굴뚝〔煙突, 煙X〕 = 103
10 울타리, 생울, 담장〔墻, 垣墻〕과 문(門) = 105
11 식재(植栽) = 108
제4편 정원의 여러 모습〔庭苑各論〕 = 113
1. 궁궐(宮闕)의 정원〔宮苑〕 = 115
1 법궁(法宮) - 경복궁(景福宮) = 116
1.1 창건과 중건(重建) = 116
1.2 공간 구성 = 119
1.2.1 치조〔(治朝), 내조(內朝)〕 = 119
1.2.2 외조(外朝) = 124
1.2.3 연조(燕朝) = 126
1.2.4 동궁(東宮) = 134
1.3 후원(後苑) = 136
1.3.1 융문당(隆文堂)과 융무당(隆武堂) = 136
1.3.2 경농재(慶農齋), 대제제(大齊齊), 지선당(至善堂)과 그 주변 영역 = 137
1.3.3 오운각(五雲閣), 벽화당(碧華堂), 천하제일복지(天下第一福地) = 137
2 이궁(離宮) = 137
2.1 창덕궁(昌德宮) = 137
2.1.1 돈화문(敦化門), 금천교(錦川橋)와 진선문(進善門) = 142
2.1.2 진선문(進善門), 숙장문(肅章門)과 인정전(仁政殿) 외행각(外行閣) = 142
2.1.3 인정문(仁政門), 내행각(內行閣)과 인정전(仁政殿) = 143
2.1.4 선정전(宣政殿) = 144
2.1.5 희정당(凞政堂)과 대조전(大造殿) = 144
2.1.6 성정각(誠正閣), 중희당(重熙堂), 유덕당(維德堂), 낙선재(樂善齋) = 145
2.2 창경궁(昌慶宮) = 149
2.2.1 홍화문(弘化門), 명정문(明政門)과 명정전(明政殿) 영역 = 149
2.2.2 경춘전(景春殿)과 화계(花階) = 153
2.2.3 통명전(通明殿)과 지당(池塘) = 153
2.3 후원(後苑) = 154
2.3.1 후원의 구성 = 157
2.3.2 후원의 식생(植生) = 175
2.4 덕수궁〔德壽宮, 경운궁(慶雲宮)〕 = 177
2.4.1 대한문(大漢門), 금천교(錦川橋). 중화문(中和門)과 중화전(中和殿) = 178
2.4.2 덕홍전(德弘殿), 정관헌(靜觀軒)과 유현문(惟賢門) = 180
2.4.3 석조전(石造殿) = 181
2. 관아(官衙)와 객사(客舍)의 정원 = 182
1 관아(官衙) = 182
1.1 중앙 관아(中央官衙) = 182
1.1.1 호조(戶曹) = 183
1.1.2 형조(刑曹) = 184
1.1.3 의금부(義禁府) = 185
1.2 지방 관아(地方官衙) = 187
1.2.1 감영(監營) = 187
1.2.2 동헌(東軒) = 189
2 객사(客舍) = 190
2.1 모화관(慕華館) = 192
2.2 성천 동명관(東明館) = 193
2.3 풍패지관(豊沛之館) = 194
2.4 문산관(文山館) = 194
2.5 밀양 영남루(嶺南樓) = 195
2.6 남원 도호부(都護府)와 광한루(廣寒樓) = 197
3. 학교 건축(學校建築)과 정원 = 200
1 관학(官學) = 201
1.1 성균관과 문묘 = 201
1.1.1 문묘(文廟) = 201
1.1.2 성균관(成均館) = 203
1.2 사부 학당(四部學堂) = 205
1.3 향교(鄕校) = 205
1.3.1 강릉 향교(江陵鄕校) = 206
1.3.2 영천 향교(永川鄕校) = 208
1.3.3 나주 향교(羅州鄕校) = 210
1.3.4 밀양 향교(密陽鄕校) = 211
2 사학 기관(私學機關) = 213
2.1 소수서원(紹修書院) = 214
2.2 도동서원(道東書院) = 216
2.3 옥산서원(玉山書院) = 218
2.4 필암서원(筆巖書院) = 221
2.5 도산서원(陶山書院) = 223
2.6 남간정사(南澗精舍) = 227
4. 묘(廟)ㆍ단(壇)ㆍ사(祠)의 정원 = 231
1 종묘(宗廟) = 231
2 사직단(社稷壇) = 237
3 원구단(圓丘壇) = 240
5. 사찰(寺刹)의 정원 = 242
1 해인사(海印寺) = 243
2 화엄사(華嚴寺) = 246
3 통도사(通度寺) = 249
4 선암사(仙巖寺) = 255
6. 민가(民家)의 정원 = 261
1 궁집〔宮家〕 = 261
1.1 인평대군 궁집〔麟平大君宮家〕 = 261
1.2 용흥궁(龍興宮) - 봉림대군 궁집〔鳳林大君宮家〕 = 267
1.3 덕온공주 궁집〔德溫公主宮家〕 = 268
1.4 운현궁(雲峴宮) - 대원군 이하응 궁집〔大院君李昰應宮家〕 = 271
1.4.1 노안당(老安堂)과 서행각(西行閣) = 275
1.4.2 안대문간채, 노락당(老樂堂)과 남행각(南行閣), 북행각(北行閣) = 275
1.4.3 이로당(二老堂) = 276
1.4.4 영로당(永老堂) = 276
2 사대부집〔士大夫家〕 = 277
2.1 옥호정(玉壺亭) - 김조순(金祖淳) 제택(第宅) = 277
2.1.1 대문간 마당 = 280
2.1.2 사랑채와 사랑마당 = 280
2.1.3 안채와 안마당 = 281
2.1.4 옥호동천(玉壺洞天) 동산 = 281
2.2 어재연 장군(魚在淵將軍) 생가(生家) = 283
2.3 강릉 선교장(船橋莊) = 285
2.4 아산 건재 고택(建齋古宅) = 289
2.5 홍성 조응식가옥(趙應植家屋) = 292
2.6 묘동 박황씨가옥(朴滉氏家屋) = 295
2.7 월성 손동만씨가옥(孫東滿氏家屋) = 298
2.8 옥산 독락당(獨樂堂) = 300
2.9 경주 교동 최식가옥(崔植家屋) = 304
2.10 함양 정병호가옥(鄭炳鎬家屋) = 308
2.11 정온선생가옥(先生家屋) = 310
2.12 남원 몽심재(夢心齋) = 312
2.13 정읍 김동수가옥(金東洙家屋) = 314
2.14 구례 운조루(雲鳥樓) = 317
2.15 해남 윤고산고택 녹우당(尹孤山古宅綠雨堂) = 321
2.16 해남 윤탁가옥(尹鐸家屋) = 325
3 상사람집〔庶民家〕 = 327
3.1 만리동 박씨가(朴氏家) = 327
3.2 삼척 대이리 너와집 = 329
3.3 속초 김근수가옥(金根洙家屋) = 331
3.4 서천 이하복가옥(李夏馥家屋) = 333
3.5 제주 성읍 이영숙가옥(李英淑家屋) = 334
7. 별서(別墅) = 336
1 서울 부암동 백석동천 유적(付岩洞石雲洞天遺蹟) = 336
2 석파정(石坡亭) = 339
3 성락원(城樂園) = 344
4 담양 소쇄원(瀟灑園) = 349
5 영양 서석지(瑞石池) = 355
6 보길도 윤고산별서 유적(尹孤山別墅遺蹟) = 358
6.1 세연정(洗然亭)과 세연지(洗然池) 유적 = 358
6.2 낙서재(樂書齋)와 무민당(無悶堂) 유적 = 362
6.3 혁희대(赫羲臺)와 낭음계(朗吟溪) 유적 = 363
6.4 동천 석실(洞天石室) 유적 = 364
7 담양 명옥헌(鳴玉軒) = 365
8 봉화 청암정(靑巖亭) = 367
9 함안 무기 국담(菊潭) = 370
10 임대정(臨對亭) = 372
8. 정(亭), 당(堂), 헌(軒), 각(閣), 누(樓), 대(臺), 사(i? = 376
1 풍산 체화정(徇禾亭) = 376
2 식영정(息影亭) = 377
3 삼구정(三龜亭) = 378
4 초간정(草澗亭) = 379
5 경주 서출지 이요당(書出池二樂堂) = 380
6 삼척 죽서루(竹西樓) = 381
7 강릉 경포대(鏡浦臺) = 383
참고문헌 = 386
찾아보기 = 39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