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심령과학도감 간행사 = ⅲ
정신의 원리 간행사 = ⅳ
보정판 간행사 = ⅴ
서언 = 1
총론 = 3
Ⅰ. 정신과학 = 3
1. 정신과학 = 3
2. 정신 = 4
1) 종래의 견해 = 4
2) 근래 과학자들의 견해 = 5
3) 나의 견해 = 12
4) 범신론 = 14
5) 정신의 구분 = 16
6) 정신해석의 주...
목차 전체
목차
심령과학도감 간행사 = ⅲ
정신의 원리 간행사 = ⅳ
보정판 간행사 = ⅴ
서언 = 1
총론 = 3
Ⅰ. 정신과학 = 3
1. 정신과학 = 3
2. 정신 = 4
1) 종래의 견해 = 4
2) 근래 과학자들의 견해 = 5
3) 나의 견해 = 12
4) 범신론 = 14
5) 정신의 구분 = 16
6) 정신해석의 주류 = 19
7) 정신개체관 = 20
8) 정신과학의 긴요성 = 24
Ⅱ. 심령과학 = 26
1. 심령과학의 발단 = 26
2. 심령 연구 연표 = 28
3. 근대 심령과학의 연구 = 31
4. 현대 물리학의 방향 = 31
5. 심령과학의 연구대상 = 33
1) 초상현상의 종류 = 33
원리론 = 36
Ⅰ. 정신학의 공리 = 36
Ⅱ. 정신학의 정리 = 40
1. 정신학의 제1정리 = 40
1) 인체의 구조 = 40
2) 오오라(靈光) = 41
3) 물질의 구조 = 45
4) 유상(幽像) 잎 = 46
5) 물ㆍ신2의 관계 = 48
2. 정신학의 제2정리 = 51
1) 상념(想念) = 51
2) 상념의 현시(顯示) = 52
3) 심령의 물질적 해석 = 56
3. 정신학의 제3정리 = 60
1) 상념의 시공 초월성 = 60
2) 식성(識性)과 뇌수(腦髓) = 61
Ⅲ. 정신의 법칙 = 63
1. 정신 제1법칙 = 63
1) 생각하면 생각하는 대로 이루어진다 = 63
2) 신념의 성사 = 65
3) 신념의 기적 = 66
4) 믿음 = 67
5) 정신력의 마력 = 72
2. 장신 제2법칙 = 73
1) 자아(自我)의 변화 = 75
2) ESP 실험 = 75
3) 타아(他我)의 변화 = 77
4) 최면효과 = 78
5) 상념(인지)효과(플라시보) = 81
6) 공중부양 = 85
7) 의식(義式) = 86
8) 원격치료 = 88
9) 박스터효과 = 90
10) 정신력과 에너지 = 93
11) 물품이동 = 95
12) 허치슨효과 = 97
13) 겔러효과 = 97
14) 염사(念寫) = 100
15) 염사이론과 영(靈) = 108
16) 신념이 운명을 바꾼다 = 108
3. 정신 제3법칙 = 117
1) 염력강화법 = 117
2) 상념의 실효성 = 120
영혼론 = 122
Ⅰ. 영혼의 실존 = 122
1. 영혼실존관 = 122
2. 영혼이란 = 123
3. 영혼불멸설 = 128
4. 영혼실존에 관한 연구들 = 129
5. 죽음 = 130
6. 영계 = 134
7. 전생요법 = 140
8. 환생(還生) = 142
9. 영매(靈媒) = 146
10. 심령사진 = 150
Ⅱ. 영의 물질화 = 157
1. 물질화의 실제 = 157
2. 엑토프라즘 = 162
A. 라이트씨의 연구성과 = 164
B. 라이트씨의 연구가 가리키는 것 = 173
결어 = 175
참고문헌 = 177
肩?= 174
1.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지속의 개념 = 174
2.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생태체계 이론 = 179
제4장 연구방법 = 184
1. 조사대상 및 표본추출 = 184
2. 변수의 구성 및 측정도구 = 187
3. 자료 분석 방법 = 195
4. 연구가설 및 분석모형 = 195
제5장 연구결과 분석 = 198
1. 연구대상자의 특성 = 198
2. 미시체계 개인요인과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지속과의 관계 = 200
3. 미시체계 가정요인과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지속과의 관계 = 204
4. 중간체계 학교요인과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지속과의 관계 = 208
5. 거시체계 기관요인과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지속과의 관계 = 212
제6장 결론과 함의 = 219
제3부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지도론 = 223
제1장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운영 = 224
1.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지도 절차 = 224
2. 학교중심(학교 교육과정에 의한) 자원봉사활동 = 225
3. 지역사회중심(학교 교육과정 이외) 자원봉사활동 = 228
4. 봉사활동의 운영 계획 수립 방안 = 232
5. 교육청 수준의 자원봉사활동 운영 방안 = 241
6. 학교 수준의 자원봉사활동 운영 방안 = 244
7. 개인 수준의 자원봉사활동 운영 방안 = 259
8. 자원봉사활동 유관 집단의 협조 = 262
제2장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관리 = 266
1.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추진위원회 구성ㆍ운영 = 266
2. 청소년자원봉사자의 관리과정 = 268
3. 지도교사의 역할과 교육연수 = 277
4. 자원봉사자 교육 = 280
제3장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지원체계 = 287
1. 외국의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지원체계 = 287
2. 우리나라의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지원체계 = 290
제4장 청소년자원봉사활동 관련법안 = 295
1. 청소년 기본법 = 296
2. 교육개혁안 = 296
3. 자원봉사활동 지원의 법적 근거 = 297
제5장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학교생활기록부 기록 및 반영 = 298
1. 학교생활기록부의 봉사활동 상황란 신설 배경 = 298
2. 자원봉사활동상황 기록 절차 및 방법 = 299
3. 자원봉사활동상황 기록상의 유의점 = 302
4. 자원봉사활동 기록양식 = 315
5. 자원봉사활동 평가 결과의 활용 = 317
제6장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보상과 평가 = 320
1. 인정(recognition)과 보상(rewards) = 320
2. 청소년자원봉사활동 평가 = 321
제4부 청소년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도지침 = 335
제1장 학부모를 위한 지침 = 337
1. 부모와 청소년이 함께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프로그램 마련 = 337
2. 사회복지 관련 전공이나 관심 있는 학부모 자원 개발 = 337
3.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학부모 및 청소년에 대한 정기적 홍보 = 338
제2장 학교에서의 지도지침 = 338
1. 학교 내 자원봉사활동 분위기 조성 = 338
2.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우수 사례에 대한 발표 및 포상 = 339
3. 학급 단위로 담임교사가 자원봉사를 함께 실천 = 339
4. 교내 자원봉사활동계획과 지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지침 마련 = 340
5. 주 5일 수업제 휴업일을 위한 다양한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개발 = 340
6. 학교 - 학생 - 자원봉사센터 및 기관 간의 지원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정보 제공 = 341
7. 청소년들의 특기와 능력, 흥미 등을 고려한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341
8. 학교의 상설 동아리 중에 자원봉사활동반 개설 = 341
제3장 기관에서의 지도지침 = 342
1. 자원봉사활동 거리나 단체 및 영역에 대한 사전 교육 = 342
2. 기관의 서비스 특성을 최대한 반영한 봉사 프로그램 개발 = 342
3. 자원봉사활동 업무 수행에 대한 교육 = 343
4. 자원봉사활동에 따른 인정과 보상 = 343
참고문헌 = 344
부록 1. 교차표 = 353
부록 2. 종속변수의 기술 통계 분석표 = 361
부록 3.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지속요인에 대한 설문지 = 36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