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부 해설
제2부 해설
종합 후기
제1부 좋은왕 : 현명한 왕들의 아름다운 모범
1. 임현도치(任賢圖治) 현명한 인재들을 중용하여 훌륭한 통치를 도모하다 = 18
2. 간고방목(諫鼓謗木) 간언을 알리는 북과 군주의 잘못을 비판하는 글을 붙이는 게시판 = 20
3. 효덕승문(孝德承聞) 효성스러운 덕행은 널리 퍼지게 마련이다 = 22
...
목차 전체
목차
제1부 해설
제2부 해설
종합 후기
제1부 좋은왕 : 현명한 왕들의 아름다운 모범
1. 임현도치(任賢圖治) 현명한 인재들을 중용하여 훌륭한 통치를 도모하다 = 18
2. 간고방목(諫鼓謗木) 간언을 알리는 북과 군주의 잘못을 비판하는 글을 붙이는 게시판 = 20
3. 효덕승문(孝德承聞) 효성스러운 덕행은 널리 퍼지게 마련이다 = 22
4. 게기구언(揭器求言) 악기들을 걸어두고 충언을 구하다 = 24
5. 하거읍죄(下車泣罪) 수레에서 내려 죄인들을 위해 울다 = 26
6. 계주방미(戒酒防微) 술을 삼가 화근을 미리 자르다 = 28
7. 해망시인(解網施仁) 그물을 열어서 자비를 베풀다 = 30
8. 상림도우(桑林禱雨) 뽕나무 숲에서 기우제를 바치다 = 32
9. 덕멸상상(德滅祥桑) 덕행을 실천하여 요상한 뽕나무를 죽이다 = 34
10. 몽뢰앙필(夢賚良弼) 군주를 보필할 탁월한 인물을 하늘이 꿈속에서 내려주다 = 36
11. 택급고골(澤及枯骨) 군주의 은덕이 낡은 해골에까지 미치다 = 39
12. 단서수계(丹書受戒) 단서로부터 경고하는 가르침을 받다 = 41
13. 감간근정(感諫勤政) 왕비의 간언을 듣고 깨달아 정무를 열심히 돌보다 = 44
14. 입관악법(入關約法) 함곡관에 들어간 다음 약법삼장을 선포하다 = 46
15. 임용삼걸(任用三傑) 탁월한 인재 세 명을 잘 활용하다 = 49
16. 과로사성(過魯祀聖) 노나라를 지나갈 때 공자의 묘 앞에서 제사를 지내다 = 52
17. 각천리마(却千里馬) 천리마도 선물로 받지 않다 = 53
18. 지연수언(止輦受言) 수레를 멈추고 간언과 충언을 들어주다 = 55
19. 납간사금(納諫賜金) 간언을 받아들이고 하사금을 주다 = 57
20. 불용이구(不用利口) 말재주만 좋은 자는 중용하지 않는다 = 60
21. 노대석비(露臺惜費) 누각의 신축비용을 아깝게 여기다 = 62
22. 견행사상(遣幸謝相) 총신을 승상에게 보내서 직접 사죄토록 하다 = 64
23. 굴존노장(屈尊勞將) 존귀한 지위를 굽히고 장수를 위로하다 = 66
24. 포륜정현(蒲輪征賢) 부들로 수레바퀴를 싸고 현자를 모셔오다 = 69
25. 명변사서(明辨詐書) 허위로 모함하는 상소문을 명백하게 가려내다 = 71
26. 포장수령(褒sN守令) 지방행정 책임자들을 포상하고 장려하다 = 74
27. 조유강경(詔儒講經) 유학자들에게 오경을 연구 검토하여 정본을 마련하게 하다 = 76
28. 즙함정직(葺檻旌直) 난간에 매달린 채 강직하게 충언하다 = 77
29. 빈례고인(賓禮故人) 손님을 모시는 예의를 갖추어서 옛 친구를 초빙하다 = 79
30. 거관사포(拒關賜布) 관문을 닫고 열어주지 않는 관리에게 비단을 하사하다 = 81
31. 야분강경(夜分講經) 밤늦게까지 경서를 논의하다 = 83
32. 삼강항령(賞强項令) 목이 뻣뻣한 낙양 시장을 포성하다 = 84
33. 임옹배로(臨雍拜老) 태학을 방문하여 원로에게 존경의 뜻을 표하는 예식을 거행하다 = 86
34. 애석낭관(愛惜郎官) 낭관의 지위를 아끼어서 허락하지 않다 = 88
35. 군신어수(君臣魚水)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물과 물고기의 관계와 같다 = 89
36. 분구시검(焚?示儉) 무피 옷을 불태워 검소함을 보이다 = 92
37. 유납계사(留衲戒奢) 누더기 옷을 보존하여 사치를 경계하도록 하다 = 94
38. 홍문개관(弘文開館) 홍문전 옆에 홍문관을 설치하다 = 96
39. 상서첨벽(上書粘壁) 건의문을 벽에 붙여두고 수시로 읽어보다 = 98
40. 납잠사백(納箴賜帛) 경계해야만 할 사항들에 관한 글을 받아들이고 비단을 하사하다 = 99
41. 종작훼소(縱鵲毁巢) 까치들을 쫓아버리고 까치집을 헐다 = 102
42. 경현회요(敬賢懷?) 현명한 신하를 존경하여 새매를 품속에 감추다 = 104
43. 남도금장(覽圖禁杖) 의학 서적을 읽은 뒤 척추에 대한 매질을 금지하다 = 105
44. 주명신직(主明臣直) 군주가 현명하면 신하는 강직하다 = 106
45. 종수귀옥(縱囚歸獄) 풀려난 사형수들이 자진해서 감옥에 돌아오다 = 107
46. 망릉훼관(望陵毁觀) 소릉을 바라보고 나서 누대를 철거하다 = 108
47. 철전영거(撤殿營居) 궁궐의 전각 신축을 취소하여 신하의 집을 지어주다 = 110
48. 면척영신(面斥O^臣) 아첨하는 신하를 정면으로 배척하다 = 112
49. 전수화약(剪須和藥) 수염을 잘라서 약을 조제하여 하사하다 = 113
50. 우물교저(遇物敎儲) 일이 있을 때마다 태자를 가르치다 = 114
51. 견귀방사(遣歸方士) 영터리 술사를 돌려보내다 = 116
52. 분금쇄금(焚錦鎖金) 비단을 불태우고 금과 은을 철거하다 = 118
53. 위임현상(委任賢相) 현명한 재상에게 모든 정무를 위임하다 = 119
54. 형제우애(兄弟友愛) 형제 사이에 우애가 극진하다 = 121
55. 소시현령(召試縣令) 현령들을 불러 모아 어전에서 시험을 보게하다 = 122
56. 청간산조(聽諫散鳥) 건의를 받아들여 새들을 야산으로 돌려보내다 = 123
57. 담병석복(啖餠惜福) 빵을 먹고 복을 아끼다 = 125
58. 소리연구(燒梨聯句) 구운 배를 하사하고 시의 구절들을 지어서 바치다 = 127
59. 불수공헌(不受貢獻) 어느 누구의 진상도 받아들이지 않다 = 130
60. 견사진휼(遣使賑恤) 사절들을 파견하여 기근에 시달리는 백성을 구제하다 = 132
61. 연영망권(延英忘倦) 연영전에서 정무를 논의하며 피로를 잊어버리다 = 133
62. 회채성공(淮蔡成功) 회서의 채주를 평정한 공로는 현명한 결단의 결과다 = 134
63. 논자지간(論字知諫) 붓글씨를 논하는 신하가 간언한다는 사실을 깨닫다 = 136
64. 병서정요(屛書政要) 금경서와 정관정요의 내용을 병풍에 적어 언제나 읽었다 = 137
65. 분향독소(焚香讀疏) 향을 피운 뒤에 건의문을 읽어보다 = 139
66. 경수모교(敬受母敎) 어머니의 가르침을 삼가 받아들이다 = 140
67. 해구사장(解?賜將) 모피 옷을 벗어서 장수에게 하사하다 = 142
68. 쇄칠보기(碎七寶器) 칠보로 장식된 식기를 부수어버리다 = 144
69. 수언서병(受言書屛) 가르침을 받아들여 병풍에 기록하다 = 145
70. 계주의취(戒主衣翠) 공주가 물총새 깃털 옷을 입은 것을 꾸짖다 = 146
71. 경일관서(竟日觀書) 하루 종일 독서를 하다 = 148
72. 인의용직(引衣容直) 군주의 옷자락을 잡아끄는 강직한 신하의 말을 받아들이다 = 150
73. 개용청강(改容聽講) 자세를 바로잡은 뒤에 강의를 계속해서 듣다 = 152
74. 수무일도(受無逸圖) 무일도라는 그림을 받다 = 154
75. 불희주식(不喜珠飾) 진주로 머리를 장식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다 = 155
76. 납간견녀(納諫遣女) 간언을 받아들여 여자들을 돌려보내다 = 157
77. 천장소견(天章召見) 천장각에서 모든 관리들의 의견을 직접 듣다 = 159
78. 야지소양(夜止燒羊) 밤에 양고기를 굽는 일을 하지 못하게 막다 = 160
79. 후원관맥(後苑觀麥) 궁정 뒷마당에서 밀농사를 관람하다 = 161
80. 진념유민(軫念流民) 유민들의 참상을 천자가 가슴 아파하다 = 162
81. 촉송사신(燭送詞臣) 가마를 내주고 등불을 밝혀 신하를 돌려보내다 = 164
제2부 나쁜 왕 : 미치고 어리석은 왕들의 추태
1. 유전실위(游uK失位) 사냥에 빠져서 놀다가 천자의 지위를 잃다 = 172
2. 포림주지(脯林酒池) 육포로 수풀을 만들고 술로 연못을 만들다 = 173
3. 혁낭사천(革囊射天) 가죽 주머니를 피로 채우고 화살을 쏘면서 그것을 사천이라고 불렀다 = 175
4. 달기해정(Y꽥沆わ?) 미녀 달기가 나라를 망치다 = 176
5. 팔준조유(八駿巡游) 준마 여덟 필의 마차로 멀리 순회하다 = 178
6. 희거봉화(戱擧烽火) 장난으로 봉화를 올리다 = 179
7. 견사구선(遣使求仙) 신선들의 장생 불사약을 구하러 사절을 파견하다 = 181
8. 갱유분서(坑儒焚書) 유학자들을 구덩이에 생매장하고 책을 불태우다 = 183
9. 대영궁실(大營宮室) 거창한 규모의 궁궐을 신축하다 = 185
10. 여무출입(女巫出入) 여자 무당들이 궁중을 멋대로 출입하다 = 187
11. 오후천권(五侯擅權) 다섯 제후가 대권을 농락하다 = 189
12. 시리미행(市裏微行) 사복 차림으로 시내를 돌아다니다 = 191
13. 총닐비연(寵f5飛燕) 한나라 성제가 조비연을 매우 총애하다 = 192
14. 폐녕살현(嬖O^殺賢) 간사한 소인을 총애하고 충신을 죽이다 = 194
15. 십시난정(十侍亂政) 열 명의 환관이 정치질서를 무너뜨리다 = 196
16. 서저육작(西邸?;爵) 궁궐 서쪽 정원의 저택에서 관직을 팔다 = 198
17. 열사후궁(列肆後宮) 후궁에 각종 상점을 짓게 하다 = 199
18. 방림영건(芳林營建) 궁궐 안 방림원에 흙으로 산을 만들다 = 200
19. 양거유연(羊車游宴) 양들이 끄는 수레를 타고 가서 주연을 즐기다 = 202
20. 소조검덕(笑祖儉德) 선조의 검소한 덕행을 조롱하다 = 204
21. 금련포지(金蓮布地) 황금으로 만든 연꽃들을 땅에 깔다 = 206
22. 사신불사(捨身佛寺) 승복을 입고 절에 몸을 의탁하다 = 207
23. 종주망살(縱酒妄殺) 술에 취한 뒤에 사람을 마구 죽이다 = 208
24. 화림종일(華林縱逸) 화림원에서 방종과 쾌락에 빠지다 = 210
25. 옥수신성(玉樹新聲) 옥수후정화 등의 새로운 곡조를 지어 노래 부르다 = 212
26. 전채위화(剪彩爲花) 비단을 잘라서 꽃을 만들었다 = 214
27. 유행강도(游行江都) 배를 타고 강도에 놀러가다 = 216
28. 사봉제관(斜封除官) 관직을 팔고 충직한 관리들을 죽이다 = 218
29. 관등시리(觀燈市裏) 변장을 하고 시가지에서 등불 행렬을 구경하다 = 220
30. 총행번장(寵幸番將) 변방의 오랑캐 출신 장수를 총애하다 = 221
31. 염재치비(斂財侈費) 백성들의 재물을 착취하여 사치를 부리다 = 223
32. 편전격구(便殿擊毬) 내전에서 환관들과 함께 공놀이 격구를 즐기다 = 225
33. 총신영인(寵信伶人) 배우들을 총애하고 그들의 말을 믿다 = 226
34. 상청도회(上淸道會) 궁중에 도교의 상청궁을 설치하고 법회를 열다 = 228
35. 응봉화석(應奉花石) 진기한 암석들을 모아 바치다 = 230
36. 임용육적(任用六賊) 여섯 명의 간신들을 중용하다 = 23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