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다시 만나야 할 남북의 엇가린 길 = 11
政 박정희와 김일성 : 한국적 근대화의 두 가지 길
역사의 대푯값은 존재하는가? = 21
만주, 식민시기 박정희와 김일성의 공통의 자양 = 25
한국전쟁, 그리고 김일성-박정희의 '구출과 지원' = 31
박정희의 김일성 추월과 남북의 역전 = 38
대결을 넘어 대안으로 = 46
語 최현배와 ...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다시 만나야 할 남북의 엇가린 길 = 11
政 박정희와 김일성 : 한국적 근대화의 두 가지 길
역사의 대푯값은 존재하는가? = 21
만주, 식민시기 박정희와 김일성의 공통의 자양 = 25
한국전쟁, 그리고 김일성-박정희의 '구출과 지원' = 31
박정희의 김일성 추월과 남북의 역전 = 38
대결을 넘어 대안으로 = 46
語 최현배와 김두봉 : 언어의 분단을 막은 두 한글학자
주시경의 두 후계자, 김두봉과 최현배 = 54
일제강점하의 첫 번째 갈림길 = 56
해방 공간에서의 두 번째 갈림길 = 63
언어 정책의 주도권 상실 = 72
한글의 세계에서 다시 만나기 위해 = 76
文 염상섭과 한설야 : 식민지와 분단을 거부한 남북의 문학적 상상력
염상섭 vs 한설야, 좌우 대립의 자의성 = 81
식민지시대 민족현실의 자각 = 85
해방 공간에서 분단을 경고하다 = 93
전쟁과 남북 중심주의: 염상섭의 『취우』와 한설야의 『대동강』 = 98
냉전적 분단구조하 민주주의, 자율성, 그리고 통일 = 103
맺음말 = 106
法 유진오와 최용달 : 두 개의 민주헌법, 그 비극적 탄생
들어가며 = 111
유진오와 최용달의 20세기와 식민지 조선 = 113
해방과 두 개의 민주헌법 = 135
나오며 = 153
科 이태규와 리승기 : 세계성과 지역성의 공존을 모색한 두 과학자
프롤로그: 과학분단 = 159
'과학조선'의 부푼 꿈 = 160
개인적 선택의 갈림길 = 165
과학의 상반된 모델 = 169
국가 과학영웅으로서의 추대 = 175
에필로그 = 178
史 이병도와 김석형 : 실증사학과 주체사학의 분립
일제시대: 성장기와 역사 공부 = 184
해방과 남북 선택, 그리고 역사연구 = 191
역사인식과 한국사연구 = 201
맺음말 = 209
映 윤봉춘과 문예봉 : 이데올로기의 주도자, 또는 영화판의 개척자
왜 윤봉춘과 문예봉인가 = 215
비슷한 출발, 다른 결말-일제강점기 = 221
엇갈린 선택, 피할 수 없는 대결-분단과 한국전쟁 = 230
안정된 체제 내의 정해진 활동-한국전쟁 이후 = 238
어쩔 수 없는 안타까움 = 242
舞 조택원과 최승희 : 근대춤의 이란성 쌍생아
분단의 트라우마 = 247
근대춤 개척과 신무용의 두 주역 = 249
엇갈린 선택, 만남 없는 이별 = 267
남과 북에서 = 269
갈등과 이별의 추론적 재해석 = 273
부록
주석 = 284
이 책에 쓰인 사진의 출처 = 29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