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제1부 고려말 조선초 시가와 음악형식
Ⅰ. 서론 = 19
1. 연구목적 = 19
2. 연구범위 및 방법 = 23
1) 연구범위 = 23
2) 연구방법 = 25
3. 선행연구의 검토 = 28
4. 용어의 정의 = 37
Ⅱ. 악구종지의 분석적 고찰 = 41
1. 악구종지의 분석 = 43
1) 악보에 가사가 있...
목차 전체
머리말 = 3
제1부 고려말 조선초 시가와 음악형식
Ⅰ. 서론 = 19
1. 연구목적 = 19
2. 연구범위 및 방법 = 23
1) 연구범위 = 23
2) 연구방법 = 25
3. 선행연구의 검토 = 28
4. 용어의 정의 = 37
Ⅱ. 악구종지의 분석적 고찰 = 41
1. 악구종지의 분석 = 43
1) 악보에 가사가 있는 악곡 = 44
(1) 가사의 구와 악구가 일치하는 악곡 = 44
(2) 가사의 구와 악구가 일치하지 않는 악곡 = 101
2) 악보에 가사가 없는 악곡 = 151
① 동동(動動) = 151
② 정읍(井邑) = 155
③ 만전춘(滿殿春) = 164
④ 북전(北殿) = 173
⑤ 자하동1(紫霞洞1) = 181
2. 악구종지의 유형 = 184
1) 반종지형 = 184
(1) 한 음을 지속하는 형 = 185
① 宮을 요성하며 지속하는 형 = 185
② 한 음만 지속하는 형 = 187
③ 한 음을 지속하는 중 간음(間音)이 있는 형 = 190
(2) (宮)-上一-宮-下一-下二 형 = 193
(3) 下三-下四형 = 196
2) 완전종지형 = 197
3) 기타 = 204
(1) 여음에 의해 악구가 종지되는 경우 = 205
(2) 다음 악구의 시작 선율에 의해 악구가 종지되는 경우 = 208
Ⅲ. 악구단위로 본 음악형식의 유형 = 213
1. 진작류 형식(眞勺類 形式) = 215
1) 악곡의 형식 비교 = 217
(1) 진작의 음악형식 = 217
(2) 북전의 음악형식 = 225
(3) 이상곡의 음악형식 = 228
(4) 쌍화점의 음악형식 = 231
(5) 쌍화곡의 음악형식 = 233
(6) 사모곡의 음악형식 = 235
(7) 동동의 음악형식 = 236
2) '전강ㆍ중강ㆍ후강 및 엽'의 형식 = 238
2. 봉황음류 형식(鳳凰吟類 形式) = 242
1) 악곡의 형식 비교 = 242
2) '전강ㆍ후강 및 엽'의 형식 = 253
3. 감군은류 형식(感君恩類 形式) = 255
1) 악곡의 형식 비교 = 256
2) '강ㆍ엽'의 형식 = 265
4. 서경별곡류 형식(西京別曲類 形式) = 267
5. 만전춘류 형식(滿殿春類 形式) = 283
Ⅳ. 결론 = 293
참고문헌 = 297
제2부 정읍과 수제천의 음악적인 관계에 대한 고찰
Ⅰ. 머리말 = 303
Ⅱ. 정읍과 수제천의 형식비교 = 309
1. 정읍의 음악형식 = 309
2. 수제천의 음악형식 = 313
3. 정읍과 수제천의 형식 비교 = 316
Ⅲ. 수제천과 정읍의 선율 비교 = 319
1. 머리부분 = 320
2. 환입부분 = 324
3. 종결부분 = 331
4. 수제천과 정읍의 선율적인 관계 = 335
Ⅳ. 맺는말 = 337
참고문헌 = 340
부록악보 = 34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