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문학교육의 구조와 실천논리
1. 문학교육의 실용성을 추구하는 이유 = 15
1) 문학교육의 실용성 재점검 = 15
2) 문학의 자율성과 교육의 목적성 = 17
3) 문학을 가르치는 사람들의 요구 = 19
4) 문학교육 지식의 창출과 그 실천 = 22
5) 독자 양성 과정으로서의 문학교육 = 23
6) 잠재적 작가의 실천력...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문학교육의 구조와 실천논리
1. 문학교육의 실용성을 추구하는 이유 = 15
1) 문학교육의 실용성 재점검 = 15
2) 문학의 자율성과 교육의 목적성 = 17
3) 문학을 가르치는 사람들의 요구 = 19
4) 문학교육 지식의 창출과 그 실천 = 22
5) 독자 양성 과정으로서의 문학교육 = 23
6) 잠재적 작가의 실천력 고양 = 25
2. 문학교육 현장의 구조 : 학교/교실의 문학 수행 = 26
1) 문학교육 현장으로서의 교실 = 26
2) 교실의 구성요소 = 27
3) 문학교실의 실험성 = 31
4) 문학교실에서 문학교사의 역할 = 32
5) 문학교실에서 수행되는 문학 교수-학습 = 32
3. 교육과정의 실용성 : 교육과정 운영의 측면 = 33
1) 문학교육에서의 교육과정의 실용성 = 33
2) 교육과정이 만들어지는 과정 = 37
3) 문학교육에서 문학교사의 교육과정 해석 = 38
4) 교육과정과 문학교과서 = 40
4. 문학교재의 실용성 : 교과서 운용 측면 = 41
1) 문학 교재의 성격 = 41
2) 교재와 부교재의 성격 = 42
3)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범위 = 44
5. 교수방법의 구체화 : 문학 교수-학습의 설계 = 45
1) 학습목표의 설정 문제 = 45
2) 문학교수학습에서 학습모형 = 47
3) 문학지식의 위상 = 48
4) 문학능력의 통합적 향상 - 문학의 수용과 창작 = 50
5) 협동학습 = 52
6. 문학 평가의 구조와 실용성 = 53
제2장 문학 이해 교육의 목표와 내용
1. 문학의 존립 근거로서의 읽기/감상 = 59
2. 문학 이해 교육의 목표 = 61
1) 공감을 바탕으로 한 비판적 수용 = 61
2) 정서적 변화를 통한 앎의 추구 = 65
3) 주관적 감상의 논리화 = 69
3. 문학 이해 교육의 중심 내용 = 72
1) 개인적 감상의 구체화 = 72
2) 작품의 형식에 대한 탐구 = 76
3) 작품에 담긴 가치의 자기화 = 79
4. 문학 이해 교육의 지향 = 83
제3장 문학 표현 교육의 이론과 내용
1. 문학 표현의 의미 = 87
2. 문학 표현의 논리 = 90
1) 제도 = 90
2) 구상력 = 91
3) 기술 = 93
4) 경험 = 94
3. 문학 표현의 의유 = 96
4. 문학 표현의 내용 = 103
5. 문학 표현의 방법 = 105
제4장 서정 세계의 공감과 해석
1. 서정 세계의 수용과 시 교육 = 113
1) 서정의 본질은 시적 형상화와 관계가 있다 = 113
2) 시 해석 교육에서 공감은 중요하다 = 115
2. 시 해석의 원리와 교육적 성찰 = 117
1) 학습자가 시를 해석한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 = 117
2) 시 해석 모형의 일반적인 구조는 어떠한가? = 119
3) 존재 성장으로서 시 해석 활동을 향하여 = 121
3. 공감을 통한 시 해석의 구체적 방법 =123
1) 두드러진 형식적 특징을 찾아라 = 124
2) 형식과 함께 텍스트 내부의 맥락을 구조화하라 = 125
3)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은 없나? = 127
4) 텍스트 전체의 주제를 정리하라 = 130
5) 시의 의미를 학습자 자신의 의미로 전이하고 이를 공유하라 = 131
4. 공감을 통한 시 해석 활동의 교수 요목 몇 가지 = 133
1) 낭독을 토한 운율의 음미와 서정의 이해 = 133
2) 발상과 사고로서 비유에 대한 이해 = 134
3) 서사성을 통한 시 이해와 해석 활동 = 135
4) 시 이해 교육의 지평 확장 = 138
5. 서정, 공감, 말의 힘, 그리고 시 교육 = 139
제5장 서사 세계 이해하기
1. 서사 이해의 본질 = 143
1) 사건으로 이루어진 세계 = 143
2) 서사의 소통적 특징 = 148
2. 서사 이해의 조건 : 서사적 추론 = 151
3. 서사 읽기의 방법 = 157
1) 행동, 사유의 주체로서의 인물 = 157
2) 사건의 결합 원리 : 플롯 = 162
3) 서술자와 서술 방식 = 166
4) 사회적 맥락과 서사의 형식 = 171
4. 서사 이해의 교수-학습 방법 = 175
제6장 수필 읽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
1. 수필 읽기 교육의 목표 = 181
1) 수필의 본질과 수필 교육의 관계 = 181
2) 수필 읽기 교육의 목표와 의의 = 183
2. 수필 읽기 교육의 내용 = 186
1) 텍스트에 나타난 작가의 의도 확인하기 = 186
2) 대화를 통한 삶의 태도 이해하기 = 189
3) 경험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하기 = 192
3. 수필 읽기 교육의 방법 = 194
4. 수필 읽기 교육의 지향점 = 196
제7장 서정 세계 창조하기
1. 서정 표현 교육의 목표 = 201
1) 서정 양식의 본질과 서정 교육의 관계 = 201
2) 서정 표현 교육의 목표와 의의 = 202
2. 서정 표현 교육의 원리 = 204
1) 서정 이해 교육과 서정 표현 교육의 통합 = 204
2) 활동 중심의 서정 표현 교육 = 205
3. 서정 표현 교육의 방법 = 206
1) 시의 속성 및 표현 = 206
2) 시적 인식 및 표현 = 215
3) 시 창작 수업의 실제 = 222
제8장 서사 표현 교육의 내용과 방법
1. 서사 표현 교육의 목표 = 227
1) 서사 표현의 본질과 서사 교육의 관계 = 227
2) 서사 표현 교육의 목표와 의의 = 230
2. 서사 표현 교육의 내용 = 231
1) 서사 표현 능력의 개념 = 231
2) 서사 표현 활동의 구조 = 232
3) 서사 표현 활동의 과정적 원리 = 232
3. 서사 표현 교육 방법 = 240
1) 다양한 서사 표현 활동 = 240
2) 스토리 창작 교육 방법 = 243
4. 서사 표현 교육의 지향 = 250
제9장 드라마 세계 창조하기
1. 드라마의 현재성 = 253
2. 텍스트로서의 드라마 세계 창조하기 = 254
1) 갈등 창조하기 = 255
2) 인물의 성격 창조하기 = 258
3) 시ㆍ공간 창조하기 = 261
4) 인물의 행위 창조하기 = 262
3. 연행으로서의 드마라 세계 창조하기 = 263
1) 인물의 발화 창조하기 = 264
2) 타인과 상호작용하기 = 266
3) 행위 공간 창조하기 = 268
4. 드라마 평가 = 269
제10장 문학 수용과 창작의 평가
1. 문학교육 평가의 원리 = 273
1) 문학능력의 성숙과 발달을 도모하는 평가 = 275
2) 인지적 요소와 정의적 요소를 통합한 평가 = 277
3) 다양한 반응을 인정하는 평가 = 278
2. 문학교육 평가의 실제 = 280
1) 평가 문항의 개발 = 282
2) 평가 결과의 해석과 활용 = 292
3. 문학교육과정평가의 전망 = 296
참고문헌 = 30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