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9
요하유역 고대문명의 변천과 주민집단 / 송호정
Ⅰ. 머리말 = 15
Ⅱ. 요하문명과 요하문명론 = 19
Ⅲ. 요서지역에서 고대문명의 변천과 주민집단 = 25
1. 요서지역 신석기문화와 홍산문화 = 25
2. 하가점하층문화와 요서지역 청동기문명의 시작 = 32
3. 대릉하유역 상ㆍ주시기 청동기 저장갱과 위영자문화 = 39...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9
요하유역 고대문명의 변천과 주민집단 / 송호정
Ⅰ. 머리말 = 15
Ⅱ. 요하문명과 요하문명론 = 19
Ⅲ. 요서지역에서 고대문명의 변천과 주민집단 = 25
1. 요서지역 신석기문화와 홍산문화 = 25
2. 하가점하층문화와 요서지역 청동기문명의 시작 = 32
3. 대릉하유역 상ㆍ주시기 청동기 저장갱과 위영자문화 = 39
4. 요서지역 청동기문화와 하가점상층문화 = 45
5. 요서지역의 청동단검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 = 54
Ⅳ. 요동지역의 청동기문화 변천과 주민집단 = 57
Ⅴ. 맺음말 = 63
홍산문화의 연구현황과 문제점 - 토기와 목기를 중심으로 / 이해련
Ⅰ. 머리말 = 71
Ⅱ. 홍산문화 연구사 = 72
1. 홍산문화란 = 72
2. 홍산문화 옥기의 발견과 연구단계 = 75
Ⅲ. 홍산문화의 중요 유적 및 유물 = 79
1. 토기 출토 중요 유적 = 79
2. 옥기 출토 주요 유적 = 90
Ⅳ. 홍산문화 토기ㆍ옥기 연구현황과 문제점 = 100
1. 토기의 연구현황과 문제점 = 100
2. 옥기의 연구현황과 문제점 = 117
Ⅴ. 맺음말 = 125
요서지역의 문명 및 초기국가 형성에 관한 연구현황과 문제점 / 이재현
Ⅰ. 머리말 = 133
Ⅱ. 중화문명 기원지로서의 홍산문화 연구 = 134
1. 주요유적의 기원지로서의 홍산문화 연구 = 134
2. 중화문명 기원과 고문화고성고국론 = 147
Ⅲ. 방국으로서의 하가점하층문화 연구 = 154
1. 주요유적의 발굴과 연구현황 = 154
2. 하가점하층문화와 방국론 = 163
Ⅳ. 맺음말 = 170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 청동기문화 연구의 성과 / 이청규
Ⅰ. 머리말 = 193
Ⅱ. 청동기의 종류와 형식 = 196
Ⅲ. 청동기문화의 유형 분류와 그 변천 = 203
1. Ⅰ기 = 205
2. Ⅱ기 = 214
3. Ⅲ기 = 232
4. Ⅳ기 = 239
Ⅳ. 청동기문화의 상호교류와 그 중심 = 246
Ⅴ. 맺음말 = 253
Abstract = 263
찾아보기 = 27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