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한국 근대사회와 문화. 3, 1920·1930년대 '식민지적 근대'와 한국인의 대응

권태억 [외저] ; 서울大學校 奎章閣韓國學硏究院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한국 근대사회와 문화. 3, 1920·1930년대 '식민지적 근대'와 한국인의 대응 / 권태억 [외저] ; 서울大學校 奎章閣韓國學硏究院 [편]
개인저자권태억
정규영
전우용
김경일
김영미
정숭교
윤대원
김상태
지수걸
단체저자명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편
발행사항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형태사항xiii, 412 p. ; 24 cm
총서사항서울大學敎 奎章閣韓國學硏究院 韓國學共同硏究叢書 ;12
대등표제Modern society and culture in Korea Ⅲ : Colonial modernity and Korean reaction in the 1920s and 1930s
ISBN9788952108760
일반주기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기초학문육성 우수학술도서 선정
공저자 : 정규영, 전우용, 김경일, 김영미, 정숭교, 윤대원, 김상태, 지수걸
색인 : p.397-408
서지주기참고문헌 및 서지적 각주 수록
기금정보주기이 저서는 2003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분류기호951.59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06099 951.59 한국근 서v3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65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volume. vol.Ⅲ]----------
목차
韓國學共同硏究叢書를 간행하면서 = ⅴ
머리말 = ⅶ
제1부 식민지적 근대의 양상
1920ㆍ1930년대 일제의 동화정책론 / 권태억
1. 머리말 = 5
2. 1920년대 日鮮融和論ㆍ'社會敎化'와 동화 = 7
3. 1930년대 농촌진흥운동의 '생활개선'과 동화 = 26
4. 맺음말 = 35
'공립보통학교 1면...

목차 전체

[volume. vol.Ⅲ]----------
목차
韓國學共同硏究叢書를 간행하면서 = ⅴ
머리말 = ⅶ
제1부 식민지적 근대의 양상
1920ㆍ1930년대 일제의 동화정책론 / 권태억
1. 머리말 = 5
2. 1920년대 日鮮融和論ㆍ'社會敎化'와 동화 = 7
3. 1930년대 농촌진흥운동의 '생활개선'과 동화 = 26
4. 맺음말 = 35
'공립보통학교 1면1교 계획'과 조선인 초등교육(1928~1936) / 정규영
1. 머리말 = 41
2. 공립보통학교 1면1교 계획 = 44
3. 공립보통학교의 증설 = 68
4. 맺음말 = 96
일제하 경성 주민의 직업세계(1910~1930) / 전우용
1. 머리말 = 101
2. 직업 분류의 변화와 직업 규제 = 103
3. 취업과 실업 = 120
4. 직업사정과 직업단체 = 134
5. 맺음말 = 155
1920ㆍ1930년대 한국의 신여성과 사회주의 / 김경일
1. 신여성과 사회주의 여성 = 161
2. 사회주의와 대안적 근대의 실천 = 166
3. 전통과 한국적 특수성 = 174
4. 근대적 서구 이론과 여성운동 = 190
5. 맺음말 = 203
일제시기 도시문제와 지역주민운동 - 京城지역 성북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 / 김영미
1. 머리말 = 213
2. 도시문제와 주민진정 = 215
3. 주민운동과 지역공동체 - 성북동 사례 분석 - = 231
4. 맺음말 = 243
제2부 한국인의 대응 - 저항과 협력 -
1920년대 초 유교지식인의 제국주의와 근대문명 인식-개신유학자 박은식과 설태희를 중심으로- / 정숭교
1. 머리말 = 251
2. 시대상황과 행적 = 254
3. 제국주의에 대한 인식 = 259
4. 근대문명에 대한 인식 = 265
5. 맺음말 = 275
1920년대 신지식인의 '식민지'와 '근대' 인식 - 자치운동을 중심으로 - / 윤대원
1. 머리말 = 279
2. 1920년대 자치운동의 전개과정과 자치논쟁 = 281
3. 1920년대 신지식인의 식민지 인식과 근대적 정치의식 = 296
4. 맺음말 = 308
1920ㆍ1930년대 개신교 지식인층의 사상적 동향 - 신흥우와 적극신앙단 단원들의 사상을 중심으로 - / 김상태
1. 머리말 = 313
2. 1920년대 신흥우의 '정의ㆍ인도론'과 대미 외교운동 = 316
3. 1930년대 적극신앙단의 민주주의ㆍ자본주의 비판 = 321
4. 1937~1945년 적극신앙단계열 인사들의 반미ㆍ친일 논리 = 326
5. 맺음말 = 330
일제시기 충남 부여ㆍ논산군의 유지집단과 혁신청년집단 / 지수걸
1. 머리말 = 337
2. 연구사 정리 및 문제 제기 = 340
3. 유지집단과 혁신청년집단의 형성 = 348
4. 유지집단과 혁신청년집단의 정치활동 = 358
5. 해방공간의 유지집단과 혁신청년집단 = 380
6. 맺음말 = 392
찾아보기 = 397
Abstract = 409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