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발간사 5
총론 13
제1부 이승만 정권과 4월혁명
제1장 이승만 정권의 민주주의 유린
1 민주 헌정질서 파괴와 혁신정당의 등장 = 33
부산정치파동과 4사5입개헌파동 | 호헌동지회 결성과 야당의 분화
2 이승만 정권의 반대세력 탄압 = 55
야당탄압 | 진보당사건 | 언론탄압과 2·4파동
제2장 4월혁명
1 4월혁명의...
목차 전체
발간사 5
총론 13
제1부 이승만 정권과 4월혁명
제1장 이승만 정권의 민주주의 유린
1 민주 헌정질서 파괴와 혁신정당의 등장 = 33
부산정치파동과 4사5입개헌파동 | 호헌동지회 결성과 야당의 분화
2 이승만 정권의 반대세력 탄압 = 55
야당탄압 | 진보당사건 | 언론탄압과 2·4파동
제2장 4월혁명
1 4월혁명의 배경 = 89
사회경제적 상황과 5·2 총선 | 3·15부정선거 획책
2 2·28의거에서 마산시위까지 = 104
2·28의거의 발발과 부정선거항의투쟁의 전국적 확산 | 3·15부정선거 | 제1·2차 마산시위
3 4·19봉기 = 122
4·18 고려대생 시위 | 피의 화요일
4 이승만 정권의 붕괴 = 135
4·25 대학교수단 데모 | 승리의 화요일
5 4월혁명의 성격과 의의 = 148
4월혁명의 성격 | 4월혁명의 의의
제2부 4월혁명 직후의 민주화운동
제1장 4월혁명 직후 민주화 이행
1 허정 과도정권의 성격과 내각책임제 개헌 = 161
허정 과도정권의 기본 정책과 이승만·자유당 체제 청산 문제 | 내각책임제 개헌과 기본권 확대
2 7·29 총선과 장면 정권의 출범 = 172
7·29 총선 | 장면 내각 탄생과 민주당 내분 | 지방자치 선거
3 혁명입법 추진 = 185
1960년 10월 8일 6대사건 판결 | 혁명입법 | 특별검찰부와 특별재판소의 활동 | 경찰 숙정
4 장면 정권의 통일정책과 대미·대일 관계 = 199
통일정책 | 군부의 동요와 한미관계 | 한일관계 | 장면 정권에 대한 평가
제2장 4월혁명 직후 대중운동의 성장
1 학원민주화운동과 계몽운동 = 215
학원민주화운동 | 국민계몽대의 활동
2 노동운동의 분출 = 234
4월혁명과 노동운동 | 교원노동조합의 조직과 활동
3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과 김구암살사건 진상규명운동 = 270
피학살자유족회의 조직과 활동 | 제주4·3사건 진상규명운동 | 김구암살사건 진상규명운동
제3장 4월혁명 직후 통일운동과 진보적 사회운동의 전개
1 통일운동단체의 결성과 활동 = 285
통일논의와 통일운동의 대두 | 학생 민족통일연맹의 조직과 활동 | 통일운동 관련 정당·사 회단체의 활동 | 민족자주통일협의회의 조직과 활동
2 진보적 사회운동의 분출 =318
한미경제협정반대투쟁 | 2대악법반대투쟁 | 남북학생회담 제안과 지지집회
제3부 박정희 정권과 유신 이전의 민주화운동
제1장 5·16쿠데타와 박정희 정권의 수립
1 5·16쿠데타와 군부직접통치 = 347
5·16쿠데타의 발발 | 군부직접통치 | 군사 정권에 대한 지식인의 대응
2 민정이양과 박정희 정권의 수립 = 372
민정이양을 둘러싼 논란 | 1963년 대통령 선거와 사상논쟁
제2장 한일협정반대투쟁
1 한일협정반대투쟁의 배경 = 391
미국의 동아시아 지역통합전략과 한일회담 | 5·16쿠데타 이후 한일회담의 진전
2 1964년 한일회담반대투쟁 =406
한일회담반대투쟁의 전개 | 박정희 정권과 학생들의 갈등 고조 | 6·3시위의 전개와 좌절
3 1965년 한일협정 조인·비준 반대투쟁 =439
한일협정조인반대투쟁 | 한일협정비준반대투쟁 | 한일협정비준무효화투쟁
4 한일협정반대투쟁의 성격과 의의 = 469
민족주의의 고양 | 민주화운동의 성장
제3장 6·8부정선거규탄투쟁과 3선개헌반대투쟁
1 베트남파병반대와 사카린밀수규탄투쟁 = 481
베트남파병반대투쟁 | 사카린밀수사건과 정경유착·재벌 규탄 | 학원자유화투쟁
2 1967년 선거와 부정선거규탄투쟁 = 493
1967년의 정치 상황과 6·8부정선거 | 6·8부정선거규탄투쟁의 시작과 확산 | 동백림·민비 연 사건과 이후의 6·8부정선거규탄투쟁
3 3선개헌반대투쟁 = 516
박정희 정권의 장기 집권 시도 | 3선개헌반대투쟁의 전개
제4장 학원병영화반대투쟁과 민주수호투쟁
1 학원병영화 추진과 교련철폐투쟁 전개 =541
박정희 정권의 사회·학원 통제 강화 | 대학교련 강화 추진과 교련철폐투쟁 전개
2 1971년 양대 선거와 민주화운동세력의 대응 = 560
대통령 선거와 민주화운동세력의 대응 | 양대 선거 이후 학생운동세력의 대응
3 박정희 정권의 지식인 통제와 사법부파동 =573
언론·학문·사상의 자유 억압과 지식인의 저항 | 사법부파동과 사법권 독립 모색
4 교련철폐투쟁 재개와 국가비상사태 선포 = 588
교련철폐투쟁 재개와 부정부패규탄시위 확산 | 학생운동 초강경 탄압과 국가비상사태 선포
제5장 민중생존권투쟁의 분출―전태일의 분신과 광주대단지사건
1 도시 노동빈곤층의 형성과 생존의 위기 = 601
산업화와 이농의 물결 | 노동빈곤층의 생존 위기 | 정부의 노동빈곤층 대책
2 전태일의 분신과 노동운동의 전환 = 614
1960년대 노동운동의 전개 과정 | 청년 노동자 전태일의 분신
3 광주대단지사건 = 633
1960년대 무허가판잣집철거반대투쟁 | 광주대단지 건설과 철거민의 생활실태 | 광주대단지 주민의 집단적 저항
4 민주화운동으로서 생존권투쟁의 위상 = 654
전태일 분신의 사회적 파장 | 광주대단지사건의 의미와 영향 | 생존권투쟁에서 민주화운동 으로
참고문헌 661
찾아보기 67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