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동양의 자연과 인간 이해 : 중국의 천인관계론

풍우 지음 ; 김갑수 옮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동양의 자연과 인간 이해 : 중국의 천인관계론 / 풍우 지음 ; 김갑수 옮김
개인저자◆U51AF◆禹,1961-
김갑수(金甲秀), 1961-.
발행사항서울 : 논형, 2008
형태사항356 p. ; 23 cm
총서사항논형학술 ;38
원서명天◆U4E0E◆人
ISBN9788990618863
일반주기찾아보기: p.353-356
이 책은 1993년에 신지서원에서 출판된 『천인관계론』을 개역·개정한 것임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수록
비통제주제어동양철학,중국철학,천인관계
분류기호181.12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15177 181.12 풍우 동-김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15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개역·개정판에 부쳐 = 5

한국어판 저자 서문 = 9

1장 서론

 1. 가장 오래된 철학 범주 = 19

 2. 가장 대중화된 철학 문제 = 21

  (1) 종교 분야 = 22

  (2) 역사 분야 = 23

  (3) 문학·예술 분야 = 23

  (4) 자연과학 분야 = 24

  (5) 민속 분야 = 26

 3. 연구의 필요성과 현황...

목차 전체

목차

개역·개정판에 부쳐 = 5

한국어판 저자 서문 = 9

1장 서론

 1. 가장 오래된 철학 범주 = 19

 2. 가장 대중화된 철학 문제 = 21

  (1) 종교 분야 = 22

  (2) 역사 분야 = 23

  (3) 문학·예술 분야 = 23

  (4) 자연과학 분야 = 24

  (5) 민속 분야 = 26

 3. 연구의 필요성과 현황 = 27

2장 하늘(天)과 인간(人)의 개념

 1. 도깨비 같은 것 = 32

 2. 하늘과 인간 개념의 역사적 변천 = 34

 3. 개별성과 공통성 = 46

 4. 몇 가지 기본 문제, 혹은 기본 방향 = 49

3장 천인감응

 1. 서주 초기의 신인감응론 = 55

 2. 서주말과 전국시대의 ‘자연화’된 천인감응론 = 61

 3. 묵자와 동중서의 천인감응론 = 67

 4. 한유의 천인감응론 = 74

 5. 리학의 천인감응론 = 82

 6. 천인감응에 반대한 이론들 = 90

 7. 천인감응론과 중국 문학 = 101

 8. 천인감응과 봉건청치 = 108

4장 천명과 인력

 1. 명정론 = 115

  (1) 종교적 천명결정론 = 115

  (2) 도가의 명정론 = 120

  (3) 왕충의자연적 명정론 = 130

 2. 유가의 천명과 인력의 조화론 = 135

 3. 천명과 중국의 사학 이론 = 148

 4. 반천명결정론 = 156

  (1) 묵가의 비명론 = 156

  (2) 유종원과 유우석의 반명정론 = 159

  (3) 명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조명설 = 161

 5. 감응론과 명정론의 관계 및 영향 = 167

 6. 역사적 평가와 현실적 분석 = 182

5장 천도와 인도

 1. 법천론 = 192

 2. 천도와 인도의 분리설 = 216

 3. 천도관념과 변증법적 사유의 발전 = 223

 4. 법천과 전통사상의 특징 = 230

6장 천성과 인위

 1. 선진시대의 전형적인 견해 = 236

  (1) 맹자의 천작론 = 237

  (2) 장자의 무위론 = 240

  (3) 순자의 적위론 = 244

 2. 한대 이후의 지배적 견해 = 247

 3. 천성과 인위의 영향 = 252

  (1) 인성의 선천성 = 253

  (2) 천리와 양심 = 255

7장 천리와 인욕

 1. 주자학파의 천리와 인욕설 = 260

 2. 천리는 인욕 속에 있다는 학설 = 266

 3. 인심은 사심이라는 이지의 학설 = 272

 4. 천리인욕설에 대한 근대철학의 비판 = 275

 5. 천리와 인욕설의 영향 = 277

8장 하늘과 인간 중 어느 것이 지배적인가?

 1. 하늘이 인간을 지배한다는 주장 = 284

 2. 하늘과 인간은 서로를 지배한다는 주장 = 292

 3. 인간은 하늘을 지배한다는 주장 = 298

 4. 인간은 반드시 하늘은 지배한다는 몇 가지 주장 = 301

9장 결론

 1. ‘천일합일설’에 대한 회의 = 306

  (1) 천인합일의 정확한 의미 = 307

  (2) 합일설과 일량설 = 309

  (3) 서양과의 비교 = 320

 2. 천인관계론과 중국철학의 특징 = 326

  (1) 소박한 변증법과 엄격하지 않은 추리 = 326

  (2) 전통의 존중과 개념의 모호성 = 329

  (3) 종교에 대한 지양 형식 = 332

  (4) 인간의 능동성에 대한 중시 = 335

 3. 중국 전통철학 특징의 형성 원인 = 339

맺는말 = 342

역자 후기 = 346

찾아보기 = 353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