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e시대의 절대사상을 펴내며 = 4
들어가는 글 = 6
1부 시대ㆍ작가ㆍ사상
1장 한비(韓非)에 대한 오해
마키아벨리즘이 아니라 법치주의다 = 16
2장 법의 역사, 사회ㆍ문화ㆍ학문적 분위기
종법(宗法) 질서 = 24
예(禮)에서 법(法)으로 = 31
법의 정착 = 39
3장 한비, 법가를 종합하고 체계화하다
한비의 생애 = 48
한비와 시황제 = 53...
목차 전체
목차
e시대의 절대사상을 펴내며 = 4
들어가는 글 = 6
1부 시대ㆍ작가ㆍ사상
1장 한비(韓非)에 대한 오해
마키아벨리즘이 아니라 법치주의다 = 16
2장 법의 역사, 사회ㆍ문화ㆍ학문적 분위기
종법(宗法) 질서 = 24
예(禮)에서 법(法)으로 = 31
법의 정착 = 39
3장 한비, 법가를 종합하고 체계화하다
한비의 생애 = 48
한비와 시황제 = 53
『한비자』라는 책 = 57
4장 『한비자』의 사상적 배경
사상은 시대의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 = 62
인간의 본성은 사실상 악하다 = 68
5장 법(法), 술(術), 세(勢)의 법치주의적 통합
법(法), 술(術), 세(勢) = 76
군주의 위상 = 95
6장 국가주의적 입장에서 도덕주의를 타파하다
유가적 통치관에 대한 한비의 비판 = 102
7장 법의 객관성은 도(道)에서 나온다
법(法)의 도(道)적 근거 = 114
8장 『한비자』의 『노자』 해석
한비의 『노자』 이해 = 124
도(道)와 덕(德) = 129
무위(無爲)와 허정(虛靜) = 135
도(道)와 법(法)의 개념적 결합의 의미 = 138
9장 의의와 영향
바른 법치의 정립을 위하여 = 144
2부 본문
1장 한비 이전 법가들에 대한 평가
상앙ㆍ신불해ㆍ신도 = 156
2장 한비의 법치사상
법치의 근거 = 182
법(法) = 192
술(術) = 209
세(勢) = 223
3장 올바른 군신관계
공(公)과 사(私) = 232
군주와 신하 = 240
이상적인 통치 = 265
4장 제자백가 비판
유가, 법가 그리고 제가 = 278
5장 『한비자』 55편의 요약
각 편의 내용 = 304
3부 관련서 및 연보
관련서 = 316
연보 = 31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