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이 책이 필요한 이유 = 4
Chapter 1 합격이 확실한 아이
가장 중요한 질문 = 22
가장 좋은 대학과 가장 적합한 대학 = 27
최고의 기회를 제공하는 대학 = 36
'신데렐라 증후군'을 피하는 비법 = 38
경시대회의 중요성 = 40
내 아이에게 맞는 상 찾아내기 = 44
명문대에도 상대적으로 입학하기 쉬운 학과가 있...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이 책이 필요한 이유 = 4
Chapter 1 합격이 확실한 아이
가장 중요한 질문 = 22
가장 좋은 대학과 가장 적합한 대학 = 27
최고의 기회를 제공하는 대학 = 36
'신데렐라 증후군'을 피하는 비법 = 38
경시대회의 중요성 = 40
내 아이에게 맞는 상 찾아내기 = 44
명문대에도 상대적으로 입학하기 쉬운 학과가 있다 = 45
고등학교 대표 선수가 아닌데도 운동 특기자로 대학에 들어가기 = 51
내 아이에게 딱 맞는 대학이 눈에 띄지 않을 때 = 52
Chapter 2 기회 탐색과 지원을 위한 부모의 역할
여름방학 - 다양한 학교 외부 활동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 = 63
부모 역할의 윤곽 그리기 = 66
체계적으로 지원서 작성하기 = 71
아이에게 카리스마 만들어주기 = 73
아무 열정 없이 졸업반이 되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75
눈덩이 효과 = 76
'가장 바람직한 열정'이라는 것이 있는가? = 77
마지막 순간에 경력 보강하기 = 79
Chapter 3 학교 성적이 좋은 아이를 만드는 부모의 역할
성적 관리의 기본 = 90
점수 관리 = 92
악마의 역할 피하기 = 93
학교 성적 관리하기 = 101
점수 상한선 = 103
선생님마다 크게 다른 성적 평가 = 104
정보의 공유와 가족의 책임 = 105
정리정돈 잘하는 아이로 지도하기 = 111
학교와 협상하기 = 112
팀으로 문제 해결하기 = 117
과도한 숙제 = 120
숙제 감독하기 = 121
수석 졸업자와 차석 졸업자 = 122
학교 외부에서 수업 듣고 등수 조정하기 = 124
등수를 성적표에 기록하지 않는 학교 = 125
월반하는 것이 대학에 깊은 인상을 줄 수 있을까? = 127
여러 수업을 두루 '쇼핑'하기 그리고 취소하기 = 128
추가 수강 또는 뒤늦게 수강하기 = 131
선생님이 성적을 대강 줄 때 = 132
A 학점 맡아놓기 = 135
대학에 지원하고 난 후 수강 취소를 하고 싶을 때 = 137
출석 점수 = 139
일반 과목에서 A를 받는 것이 좋은가, AP 과목의 B나 C가 좋은가? = 140
졸업반 증후군 = 141
Chapter 4 표준시험에서 뛰어난 성적 받기
SAT와 ACT 시험을 미리 준비해야 할까? = 145
독자적인 준비 = 146
입시 학원 = 147
적절한 입시 학원 선택하기 = 149
여름방학 SAT 준비 프로그램 = 150
개인 과외 = 151
벼락공부 = 153
벼락공부 하는 날 = 154
부모의 공감 = 160
SAT나 ACT 점수를 요구하지 않는 대학도 있는가? = 161
SAT에서 좋은 점수란 어떤 점수인가? = 163
내 아이의 성적은 어느 정도인가? = 164
입학 허가를 받기 위한 SAT와 ACT 최저 점수가 있는가? = 164
SAT 점수와 학교 성적의 불균형 = 166
정말 대학들은 제일 높은 점수만 보는가? = 168
표준시험은 몇 번이나 보아야 할까? = 169
시험을 위한 연습 = 170
어떤 SAT Ⅱ 수학이 더 나을까? = 172
시험 일자 대체 = 173
왜 PSAT 시험을 보는가? = 174
전국 성적우수 장학금 수상자 선정 = 176
'추천'되었다는 것이 얼마나 좋은 인상을 줄까? = 178
PSAT 시험 장소 변경 = 179
PSAT 연습 = 180
PSAT 시험 공부하기 = 181
학교 성적과 표준시험 외의 것들 = 182
Chapter 5 대학 방문 준비하기
대학 방문 계획하기 = 185
캠퍼스 투어와 설명회 = 189
대학을 방문할 때 주의 깊게 보아야 할 것 = 193
대학 방문 시기 = 203
교수를 만나고 토론할 수 있는 기회 = 205
교수와의 만남 = 206
교수에 대해 알아두기 = 209
강의 들어보기 = 210
재학생들의 복장으로 판단하기 = 211
Chapter 6 누가 내 아이를 심사하는가?
인종 할당제 = 219
지역 할당제 = 221
전반적인 입학 사정 절차 = 224
지원자에 대해 어떻게 논의하는가 = 225
Chapter 7 입학지원서 작성하기
언제 지원 과정을 시작하는가? = 230
아이의 업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 231
온라인으로 지원서를 작성해서 보내는 것이 더 좋은가? = 233
얼리디시전에 지원하지 않으면 입학 가능성이 낮아지는가? = 235
손으로 쓸 것인가, 타이핑할 것인가? = 238
사진이 아이에게 유리할 것인가? = 239
신문기사 모음 = 241
타자기가 없다면 어떻게 할까? = 244
지원서 종이는 무엇으로 할 것인가? = 246
문제가 되는 이메일 주소와 별명 = 246
"우리 대학 외에 어느 대학에 지원하느냐"라고 묻는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 248
자신의 종교를 언급하는 것은 괜찮은가? = 249
논란이 되는 정치 때문에 아이가 피해를 보게 될 것인가? = 251
아이의 과거 범법 사실에 대해 솔직해야 하는가? = 252
경제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언급해도 좋을까? = 253
빈칸 채우기 = 254
Chapter 8 에세이를 잘 쓰는 방법
에세이는 언제부터 쓰기 시작해야 할까? = 259
에세이 쓰는 과정을 즐겁게 만들기 = 263
전문 컨설턴트를 고용할 필요가 있을까? = 266
진부한 내용의 에세이 = 271
기억에 남는 에세이 쓰기 = 273
타당성과 전후관계 설명하기 = 279
입학사정관들이 싫어하는 에세이 = 280
가장 좋은 에세이 = 293
선택사항으로 쓸 수 있는 에세이 = 311
아무런 내용이 없는 에세이 = 312
여가시간에 대한 질문 = 315
Chapter 9 좋은 추천서를 받는 방법
추천서를 미리 읽어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들 = 323
추천서는 누가 써주는 것이 좋을까? = 325
추천서를 부탁할 때 부모로서 할 일 = 327
한 선생님에게 몇 개의 추천서를 부탁할 수 있을까? = 328
미국에서 교육받은 선생님의 추천서와 그렇지 않은 선생님의 추천서 = 330
부실한 추천서 = 332
부실한 추천서를 미리 알아볼 수 있는 힌트 = 335
추천서는 몇 개까지 받는 것이 좋을까? = 336
어떤 추천서가 좋은 추천서일까? = 338
추천서에 사용되는 비밀스러운 표현들 = 341
유명인사의 추천서 = 342
지원 대학 동문의 추천서 = 344
친구의 추천서 = 345
부모의 추천서 = 347
대신 쓴 추천서 = 349
언제 추천서를 부탁해야 할까? = 354
추천서를 부탁할 때 꼭 기억할 것 = 356
진학 상담 선생님의 추천서 = 360
Chapter 10 인상 깊고 효과적인 인터뷰 준비하기
인터뷰 약속 잡기 = 367
인터뷰는 중요한가? = 368
불안감 줄이기 = 370
질문할 내용 준비해 가기 = 372
가장 가고 싶은 대학 = 376
인터뷰 담당자가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면? = 377
대화를 시작하기에 좋은 말들 = 378
해서는 안 될 이야기들 = 379
대답하기 난처하고 까다로운 질문들 = 380
종교나 정치에 관한 질문 = 383
합격을 위한 옷차림 = 384
인터뷰 연습하기 = 387
인터뷰를 잘했는지 아이에게 물어보기 = 389
아이의 인터뷰에 따라가야 할까? = 394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이 인터뷰를 맡게 되면 어떻게 할까? = 395
인터뷰는 선택사항일까? = 397
인터뷰를 하면서 음식을 먹어도 될까? = 397
인터뷰 담당자가 원하는 것 = 399
감사 편지를 보내야 할까? = 400
Chapter 11 입학대기자 명단에서 합격자 명단으로 옮겨가기
입학대기자 명단에 든 것을 모욕적으로 느끼지 말라 = 404
참고 기다리는 것은 최선이 아니다 = 406
첫 번째 업데이트 팩스 보내기 = 408
두 번째 팩스 보내기 = 412
세 번째 팩스를 보내야 할까? = 414
마지막 순간의 회생방안 = 415
입학대기자 명단에는 순위가 없다 = 416
그린 펜 어프로치 = 418
입학대기자 카드 중 제일 위에 머물기 = 419
올바른 관점 = 421
새로운 자격을 만드는 것이 윤리적으로 괜찮은가? = 422
입학사무실에 확신 주기 = 424
Chapter 12 합격 결정 보류나 불합격 통보를 받은 후의 대처방안
합격 결정 보류는 사실상 불합격을 의미하는가? = 429
불합격 통보에 대처하기 = 429
1차 수시모집에서 불합격이나 합격 결정 보류 통보를 받았을 경우, 2차 수시모집에 지원할 수 있나? = 431
합격 결정 보류 뒤집기 = 433
불합격 뒤집기 = 434
대학이 합격 결정을 뒤집는 경우도 있나? = 436
얼리디시전에 합격하고도 그 대학에 안 갈 수 있나? = 440
어떤 대학에도 합격하지 못하면 어떻게 하나? = 441
부록 : 입학지원서 이력서의 예 = 447
찾아보기 = 45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