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서론 = 1
제1장 牛禁의 시행과 그 성격 = 13
Ⅰ. 머리말 = 15
Ⅱ. 우금 시행의 배경과 시기 = 16
1. 우금 시행의 배경 = 16
2. 우금 시행 시기 = 28
Ⅲ. 우금 解弛와 私屠의 확산 = 33
1. 우금 해이의 주요인 = 33
2. 장시의 발달과 屠肆설치의 증가 = 41
3. 牛皮수요의 증가와 犯屠...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서론 = 1
제1장 牛禁의 시행과 그 성격 = 13
Ⅰ. 머리말 = 15
Ⅱ. 우금 시행의 배경과 시기 = 16
1. 우금 시행의 배경 = 16
2. 우금 시행 시기 = 28
Ⅲ. 우금 解弛와 私屠의 확산 = 33
1. 우금 해이의 주요인 = 33
2. 장시의 발달과 屠肆설치의 증가 = 41
3. 牛皮수요의 증가와 犯屠 = 48
Ⅳ. 牛疫의 발생과 정부의 대처 = 54
Ⅴ. 私屠의 증가와 우금정책의 변화 = 67
Ⅵ. 맺음말 = 77
제2장 酒禁의 시행과 그 성격 = 83
Ⅰ. 머리말 = 85
Ⅱ. 주금 시행의 목적 = 86
1. 곡물소비 억제와 물가안정 = 86
2. 윤리강상의 확립과 民人安集 = 93
Ⅲ. 주금 시행 시기와 방법 = 102
Ⅳ. 釀造 규모의 확대와 賣酒활동의 전개 양상 = 111
Ⅴ. 주금 解弛의 요인 = 125
1. 士夫ㆍ班戶에 의한 犯釀과 매주 = 125
2. 吏胥輩ㆍ禁吏들에 의한 作奸 = 129
Ⅵ. 犯釀의 확산과 정부의 대응 = 132
Ⅶ. 맺음말 = 142
제3장 松禁의 시행과 그 성격 = 147
Ⅰ. 머리말 = 149
Ⅱ. 송목 보호를 위한 규제와 관리 = 150
Ⅲ. 목재 수요의 증가 요인과 송목 작벌의 실태 = 158
1. 船材 수요 증가와 송목의 벌채 = 158
2. 鹽場 설치의 증가와 봉산 송목의 작벌 = 164
3. 도시로의 인구집중과 목재 수요의 증가 = 172
Ⅳ. 목재상인의 활동과 속전 징수의 폐단 = 175
1. 목재상인의 활동과 송목의 상품화 = 175
2. 속전 징수와 송금의 해이 = 184
Ⅴ. 송금의 시행과 성과 = 189
Ⅵ. 맺음말 = 201
제4장 서울에서 三禁의 시행과 그 추이 = 205
Ⅰ. 머리말 = 207
Ⅱ. 조선후기 서울의 사회ㆍ경제적 변화상 = 208
Ⅲ. 私屠의 성행과 우금 시행 = 213
1. 우금 시행의 배경 = 213
2. 사도의 확산과 우금 해이의 요인 = 216
3. 우금 시행과 그 추이 = 227
Ⅳ. 犯釀의 확산과 주금 시행 = 234
1. 주금 시행의 배경 = 234
2. 주금 해이의 원인과 犯釀의 양상 = 238
3. 주금 시행과 그 추이 = 243
Ⅴ. 송목 작벌의 확대와 송금 시행 = 248
1. 송금 시행의 배경 = 248
2. 송목 작벌의 양상과 원인 = 253
3. 송금 시행과 그 추이 = 259
Ⅵ. 맺음말 = 266
부록
三禁 관련 節目ㆍ事目類 = 273
都城內外松木禁伐事目
松禁節目
黃海道沿海禁松節目
邊山禁松節目
三南巡撫使賚去應行節目
兩西兩湖巡撫使賚去應行節目
坡州禁山守護節目
外監 國用木物數爻磨鍊節目
諸道松禁事目
酒禁照律事目
懸房救弊節目
참고문헌 = 299
찾아보기 = 30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