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한국어판을 위한 서문 = ⅰ
서문 = ⅲ
序論 = 1
1. 이 책의 목적 = 1
2. 문제의 소재 = 3
3. 사료와 방법 = 6
4. 연구 동향 = 9
제1장 "介入"과 "撤收"의 相剋 = 13
1. 단독 행동의 개시 = 14
가. 신정책의 모색 = 14
나. NSC8-타협의 구조 = 25
2. 점령군의 철수 = 29
가. "...
목차 전체
목차
한국어판을 위한 서문 = ⅰ
서문 = ⅲ
序論 = 1
1. 이 책의 목적 = 1
2. 문제의 소재 = 3
3. 사료와 방법 = 6
4. 연구 동향 = 9
제1장 "介入"과 "撤收"의 相剋 = 13
1. 단독 행동의 개시 = 14
가. 신정책의 모색 = 14
나. NSC8-타협의 구조 = 25
2. 점령군의 철수 = 29
가. "크랩애플"작전 = 30
나. NSC8/2-재확인 = 34
다. 철수 완료 = 42
제2장 "封鎖"의 模索 = 51
1. 전쟁 전의 1년간 = 52
가. 제한적 "봉쇄" = 52
나. 애치슨 연설 = 58
다. 최후의 노력 = 63
2. 전쟁 전야의 정세 평가 = 75
제3장 戰爭의 勃發-地上軍의 再派遣 = 83
1. 최초의 반응-기정 방침의 유지 = 84
가. 무초의 전보 = 85
나. 제1회 블레어하우스 회의 = 92
2. 해-공군의 투입-부분적 변경 = 98
가. 제2회 블레어하우스 회의 = 100
3. 작전의 확대-변경의 확대 = 106
가. 국가안전보장회의 = 108
4. 지상군의 투입-전면적 변경 = 113
가. 맥아더의 현지사찰 = 115
나. 백악관 회의 = 120
제4장 戰爭目的의 擴大-"北進"의 決定 = 125
1. "북진"을 둘러싼 논의 = 126
가. 국제주의자 = 126
나. 신고립주의자 = 131
다. 태평양주의자 = 135
2. 새로운 전쟁목적 = 141
가. 대통령, 국무장관, 합동참모본부 = 141
3. "북진"의 결정 = 149
가. "북진"의 입안 = 149
나. NSC81/1 = 157
제5장 中共의 參戰-"無爲"의 冒險 = 167
1. "북진" 뒤의 정세 평가 = 169
가. 중공의 경고 = 170
나. 미국의 판단 = 176
다. 웨이크도 회담 = 180
2. 중공군의 출현 = 186
가. 중공군의 제1차 공세 = 188
나. 맥아더의 평가 = 192
다. 워싱턴의 동요 = 194
3. 재검토의 기회 = 200
가. 국가안전보장회의 = 201
나. 무위의 모험 = 207
4. 중공군의 전면적 개입 = 210
가. 자신과 불안 = 211
나. 총퇴각에의 길 = 219
제6장 停戰이냐 抵抗이냐 擴大냐 - '分岐點'에서의 決定 = 229
1. 완전히 새로운 전쟁 = 230
가.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 = 231
나. 유엔군의 후퇴 = 235
2. 정-군지도자의 협의 = 240
가. 제2회 펜타곤 회의 = 240
나. 백악관 회의 = 243
다. 제3회 펜타곤 회의 = 245
라. 국무성 정례회의 = 250
3. 트루만-애틀리 회담 = 253
가. 원자폭탄의 사용? = 254
나. 12월 4일의 회담 = 259
다. 12월 5일의 회담 = 264
라. 12월 7일의 회담 = 267
마. 원자폭탄을 에워싼 협의 = 270
4. 유엔군의 후퇴 = 272
가. 콜린즈의 현지 시찰 = 273
나. 중공군의 제3차 공세 = 275
다. 맥아더에 대한 신지령 = 279
5. 전선의 안정화 = 285
가. 맥아더의 반론 = 285
나. 국가안전보장회의 = 288
다. 전선의 안정화 = 293
結論 = 301
1. 점령군의 철수 = 303
2. 제한적 "봉쇄" = 302
3. 직접적 군사 개입 = 303
4. "북진"의 유혹 = 305
5. 압록강으로의 진격 = 306
6. 저항의 계속 = 308
부록
1. 轉移하는 韓半島의 戰略的價値 - 1942년에서 1950년까지 = 311
2. 民族解放戰爭으로서의 韓國戰爭 - 革命認識의 세 類型 = 355
3. 韓國戰爭의 國內的起源 = 382
찾아보기 = 40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