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간행사
崔松雪堂 연구 / 김희곤 = 1
1. 머리말 = 1
2. 출생과 김천 생활 = 3
1) 김천에서 출생 = 3
2) 김천 생활 = 4
3. 上京과 入宮 = 6
1) 상경 = 6
4. 재산 축적과 가문 중흥 = 10
1) 거부가 된 전말 = 10
2) 가문 바로 세우기 = 13
3) 지극한 佛心과 ...
목차 전체
목차
간행사
崔松雪堂 연구 / 김희곤 = 1
1. 머리말 = 1
2. 출생과 김천 생활 = 3
1) 김천에서 출생 = 3
2) 김천 생활 = 4
3. 上京과 入宮 = 6
1) 상경 = 6
4. 재산 축적과 가문 중흥 = 10
1) 거부가 된 전말 = 10
2) 가문 바로 세우기 = 13
3) 지극한 佛心과 자선사업 = 16
5. 晩年 정리 작업과 육영사업 구상 = 20
1) 晩年 정리 작업 = 20
2) 1920년대 전반의 육영사업계획 = 22
3) 김천고보 설립 권유에 대한 고민 = 23
6. 김천고보 건립 = 25
1) 재단 설립 결정 = 25
2) 日帝 반대를 극복 = 27
3) 김천고보 개교 = 29
4) 송설당 기념 동상 제막 = 30
7. 맺음말 = 31
최송설당의 교육이념과 교육활동 / 김호일 = 365
1. 머리말 = 35
2. 일제의 교육정책과 김천의 교육상황 = 37
1) 일제의 교육정책 = 37
2) 김천의 교육상황 = 40
3. 최송설당의 생애와 교육이념 = 46
1) 최송설당의 생애 = 46
2) 최송설당의 교육이념 = 49
4. 최송설당의 교육활동 = 52
1) 사회적인 교육활동 = 52
2) 송설당교육재단의 설립 = 55
3) 김천고등보통학교의 개교와 발전 = 64
5. 맺음말 = 66
崔松雪堂의 文學世界와 現實認識-「諺文詞藻」를 중심으로- / 한석수 = 69
1. 머리말 = 69
2. 作者 崔松雪堂 = 71
3. 崔松雪堂 「諺文詞藻」의 문 = 72
4. 崔松雪堂 文學의 位相 = 78
5. 崔松雪堂의 文學世界 = 79
1) 表現技法 = 79
2) 作品의 內容 = 86
6. 崔松雪堂의 文學에 드러난 現實認識 = 96
1) 持節·信義 = 96
2) 忠孝 = 98
崔松雪堂의 漢詩槪觀 / 권태을 = 103
1. 崔松雪堂의 내용 = 103
2. 松雪堂의 人品과 詩文에 대한 評 = 108
1) 松雪堂의 人品 = 107
2) 松雪堂의 詩文에 대한 評 = 108
3. 松雪堂의 詩槪觀 = 109
1) 言志의 詩에 나타난 諸意識 = 110
2) 天-自發의 詩에 나타난 몇 特性 = 124
4. 總結 = 131
최송설당 관련자료 분석과 전망 / 김형목 = 133
1. 머리말 = 133
2. 관련자료 수집현황 = 136
1) 신문류 = 139
2) 잡지류·논문 = 152
3) 사진류 = 153
4) 기타 = 154
3. 과제와 전망 = 154
4. 맺음말 = 160
부록 = 162
白水 鄭烈模의 생애와 어문민족주의 / 최기영 = 179
1. 머리말 = 179
2. 한글연구와 교육의 생평 = 180
3. 국어와 아동문학의 저술 = 188
4. 식민지시기 교육관과 어문민족주의 = 204
5. 맺음말 = 213
초송설당 연표 / 김창겸 = 215
찾아보기 = 22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