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요약문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 23
2. 이론적 논의 및 선행 연구동향 = 25
1) 방송통신융합에 따른 방송광고규제체계의 변화 관련 연구 = 25
2) 양방향 광고에 대한 연구 = 28
3. 연구문제 및 연구의 범위 = 39
4. 연구방법 = 41
5. 연구의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 43
제2장 방송통신융합과 수평적 규제체...
목차 전체
목차
요약문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 23
2. 이론적 논의 및 선행 연구동향 = 25
1) 방송통신융합에 따른 방송광고규제체계의 변화 관련 연구 = 25
2) 양방향 광고에 대한 연구 = 28
3. 연구문제 및 연구의 범위 = 39
4. 연구방법 = 41
5. 연구의 기대 효과 및 활용방안 = 43
제2장 방송통신융합과 수평적 규제체계의 도입
1. 방송통신융합과 미디어산업의 발전 방향 = 45
1) 네트워크 융합의 의미 = 45
2) 웹 3.0과 3차원 미디어, 4G 미디어 = 47
3) 네트워크 융합과 미디어 사업자 위상 변화 = 49
4) 네트워크의 개방과 통신사업자들의 대응 = 52
2. 수평적 규제체계의 주요 내용과 쟁점 = 56
1) 수직적 규제체계와 수평적 규제체계 = 56
2) 수평적 규제체계 하에서의 미디어 정책 쟁점 = 58
3. EU의 네트워크-콘텐츠 분리 규제 = 59
1) EU의 AMSD 제정 경과 = 59
2) EU의 AMSD 주요 내용 = 61
4. OECD의 네트워크-콘텐츠 규제 원칙 = 65
5. 국내의 방송통신 융합 및 수평적 규제체계 논의 = 67
1) 새 정부의 미디어 정책 주요 이슈 = 68
2) 방송통신위원회의 설립 = 69
3) IPTV의 도입 = 71
4) 수평적 규제체계 도입을 위한 선결 과제 및 방향성 = 75
6. 소결론 = 77
제3장 방송통신융합에 따른 미디어소비형태, 방송광고산업 및 규제체계 변화
1. 미래의 TV 소비자 유형 변화 = 80
2. 국내 TV 소비자의 변화 = 84
3. 광고매체 파워 변화 = 89
4. 광고의 개념 및 유형의 변화 = 97
5. 광고효과측정 지표의 변화 = 103
6. 광고규제 체계의 변화 = 104
7. 소결론 = 110
제4장 수평적 규제체계의 도입과 해외 방송광고산업 및 제도의 변화
1. 일본 = 112
2. 미국 = 166
3. 영국 = 206
4. 프랑스 = 252
5. 소결론 = 278
제5장 방송통신융합 및 수평적 규제체계의 도입에 따른 국내 방송광고 규제체계의 개선 방안
1. 앞으로 가장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광고유형 = 288
2. 향후 가장 성장세가 클 것으로 예상하는 매체분야 = 300
3. 디지털매체 시대에 현행 방송광고규제에서 개선되어야 할 부분 = 306
4. 디지털매체 시대의 광고규제에서 보다 강화되어야할 부분 = 322
5. 향후 미디어 광고수입의 비중에 대한 전망 = 328
6. 디지털시대에 미디어렙의 구조와 역할에 대한 전망 = 336
제6장 결론 및 제언: 국내 방송광고정책 및 제도 개선방안
참고 문헌
부록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