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Ⅰ. 동서미술론
1. 1910년대의 아방가르드 편력기(遍歷記) = 8
2. 도전(挑戰)과 응전(應戰) = 23
3. 성화론(聖畵論) = 29
4. 동기창의 상남폄북론(尙南貶北論)이 조선말기 회화에 끼친 영향 = 44
5. 동서미술산책(東西美術散策) = 62
6. 현대 미술의 이해 = 120
Ⅱ. 현대 한국화론
1. 지역성과 세계성 = 128
2. 한국...
목차 전체
목차
Ⅰ. 동서미술론
1. 1910년대의 아방가르드 편력기(遍歷記) = 8
2. 도전(挑戰)과 응전(應戰) = 23
3. 성화론(聖畵論) = 29
4. 동기창의 상남폄북론(尙南貶北論)이 조선말기 회화에 끼친 영향 = 44
5. 동서미술산책(東西美術散策) = 62
6. 현대 미술의 이해 = 120
Ⅱ. 현대 한국화론
1. 지역성과 세계성 = 128
2. 한국 근대회화의 표정 = 138
3. 현대 한국화의 방향과 위치 = 152
4. 한국화의 제문제 = 188
5. 한국화의 체험적 문제상황 = 204
6. 정통성 확립에의 의지 - 1970년대의 한국화 = 214
7. 80년대 한국화의 방향과 문제 = 223
Ⅲ. 현대 한국화의 검증과 전망
1. 수묵화의 정체와 전망 = 238
2. 일탈과 회귀, 또는 반추와 확산 : 한국화 실험, 그 40년의 궤적 = 247
3. 한국화의 정체 = 283
4. 새로운 한국화의 대두를 위해 = 315
Ⅳ. 미술시론과 칼럼 및 엣세이
1. 전시회에 부쳐 = 322
2. 신문칼럼 = 356
3. 미술시론 = 368
4. 미술 엣세이 = 37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