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Ⅰ. 제기되는 문제 = 19
Ⅱ. 출생과 수학 과정 = 25
1. 고향 운산과 소년기 = 25
2. 중등교육 과정과 대학 예과 = 30
1 이리농림학교 = 30
2 경성제대 예과 = 34
3. 예과 수학과 문우회 = 41
Ⅲ. 식민지 체제하의 학부생활 = 49
1. 동양학 중심의 학부 = 49
2. 《新興》과 조선어문학회 참여 = 59
1 잡...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Ⅰ. 제기되는 문제 = 19
Ⅱ. 출생과 수학 과정 = 25
1. 고향 운산과 소년기 = 25
2. 중등교육 과정과 대학 예과 = 30
1 이리농림학교 = 30
2 경성제대 예과 = 34
3. 예과 수학과 문우회 = 41
Ⅲ. 식민지 체제하의 학부생활 = 49
1. 동양학 중심의 학부 = 49
2. 《新興》과 조선어문학회 참여 = 59
1 잡지 《新興》과 경성제대 좌파 = 62
2 조선어문학회 = 79
3. 사상 또는 이념과 학문, 김태준의 경성대학 = 96
1 의식상의 두 줄기와 계급 성향 = 96
2 모색 단계의 학문 = 100
Ⅳ. 김태준의 연구활동(一) = 115
1. 야인 기질, 또는 정력적 연구활동의 시작 = 116
2. 『조선소설사』 = 118
1 최초로 나온 개별양식사의 성격 = 119
2 『조선소설사』의 구성 = 123
3 문학사로서의 『조선소설사』 = 139
4 『조선소설사』의 위상 = 147
3. 『朝鮮漢文學史』 = 158
1 논리와 시각 = 158
2 『朝鮮漢文學史』의 구성 = 164
3 『朝鮮漢文學史』의 위상 = 176
〈부록 1〉
朝鮮詩文變遷 / 鄭萬朝 述 = 182
조선시문변천 / 朱昇澤 역 = 185
Ⅴ. 김태준의 연구활동(二) = 193
1. 고전시가 연구 = 193
1 『조선고가요집성』 = 193
2 『조선가요개설』 = 199
2. 역사 연구, 기타 문화 일반론 = 229
1 상고사ㆍ단군 연구 = 232
2 『조선민란사화』 = 251
Ⅵ. 경성콤그룹 참여와 廷安行 = 281
1. 일제 암흑기와 경성콤그룹 = 282
1 경성콤그룹의 성격 = 283
2 인민전선부와 김태준 = 292
3 지하조직 체험의 의미 = 298
2. 암흑기의 국외탈출ㆍ延安行 = 308
1 산해관 넘어 李家莊까지 = 310
2 미수의 탈출, 白鐵의 경우 = 319
3 저항투쟁의 차질과 絶命, 李陸史 = 325
4 노마만리의 탈출, 金史良 = 329
3. 팔로군 유격지구 체험 = 347
1 팔로군 해방구 체험 = 348
2 조선의용군과의 만남 = 352
3 유격지구와 김태준 = 355
〈부록 2〉 경성지방법원 金台俊 관계 피고인 신문조서 = 368
Ⅶ. 해방과 국토 분단, 이념대립 시대의 김태준 = 375
1. 8ㆍ15와 김태준 = 376
1 건국준비위원회 = 379
2 인민공화국 수립 = 384
2. 김태준과 재건파 조선공산당 = 390
1 재건파 공산당 = 391
2 외곽 단체, 조선문학가동맹 = 399
3. 미소공위, 정판사 위폐사건, 신전술 단계 = 415
1 미소공동위원회의 개최와 결렬 = 415
2 정판사 사건과 신전술 단계 = 424
Ⅷ. 남조선노동당, 무력투쟁 노선의 단계 = 443
1. 남조선노동당의 탄생 = 443
1 박헌영계와 김태준 = 445
2 8ㆍ15폭동 기도와 김태준 = 447
3 2ㆍ7구국투쟁 = 449
2. 제주도 4ㆍ3폭동 = 457
1 폭동의 前史 = 457
2 폭동의 발발, 자위대 조직 = 464
3 귀순공작의 실패와 전면 유혈 충돌 = 481
4 전면진압 작전, 제주도의 비극 = 492
3. 여순반란사건 = 495
1 14연대 반란의 여건 = 495
2 무장폭동의 발발과 확산 = 504
3 진압 작전의 전개 = 514
4 여순반란사건의 평가 문제 = 524
Ⅸ. 극한투쟁 단계, 1949년의 파국과 김태준의 최후 = 535
1. 지하의 남로당, 해주지도부와 서울 = 536
1 해주지도부 = 537
2 강동정치학원 = 542
2. 유격전구 형성과 지리산 병단 = 545
1 인민유격대의 전구와 활동 = 546
2 지리산 유격전구, 제2병단 이현상 부대 = 552
3. 자살 특공대 전법, 남로당 붕괴와 김태준 = 560
1 유격전구의 문화공작 = 561
2 도시폭동 작전과 남로당 붕괴 = 577
3 검거된 김태준, 학자 출신 혁명가의 최후 = 588
金台俊의 간추린 생애 = 603
찾아보기 = 61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