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부 다문화 상담이론 서설
제1장 현대 상담이론의 약점 = 21
1. 문화와 결부된 현대의 상담이론들 = 23
2. 관점으로서의 상담이론들 = 26
3. 통합이론의 필요성 = 28
제2장 다문화 상담이론의 기본 가정 = 33
1. 명제 1 = 34
2. 명제 2 = 37
3. 명제 3 = 39
4. 명제 4 = 43
...
목차 전체
목차
제1부 다문화 상담이론 서설
제1장 현대 상담이론의 약점 = 21
1. 문화와 결부된 현대의 상담이론들 = 23
2. 관점으로서의 상담이론들 = 26
3. 통합이론의 필요성 = 28
제2장 다문화 상담이론의 기본 가정 = 33
1. 명제 1 = 34
2. 명제 2 = 37
3. 명제 3 = 39
4. 명제 4 = 43
5. 명제 5 = 46
6. 명제 6 = 48
제3장 다문화 상담이론의 연구, 실제, 훈련의 함의 = 51
1. 다문화 상담이론의 연구적 함의 = 52
2. 다문화 상담이론의 실제적 함의 = 59
3. 다문화 상담이론에 의한 훈련의 함축된 의미 = 69
4. 요약 = 77
참고 문헌 = 78
제2부 다문화 상담이론의 적용
제4장 조직과 체제에서의 다문화 상담이론과 의미 = 91
1. 포스트모던 전통에서의 다문화 상담이론 = 93
2. 다문화주의 이론 = 95
3. 고유의 세계관적 존재론 = 100
4. 결론 = 112
참고 문헌 = 113
제5장 다문화 상담이론과 토속치료법 = 117
1. 토속적 상담모델 : 비서구적 관점 = 120
2. 사례연구 : 토속치료의 힘 = 122
3. UST 대 서구의 상담과 치료 = 124
4. 상담을 위한 시사점 = 125
5. 향후 방침과 추천 = 127
6. 결론 = 130
참고 문헌 = 130
제6장 다문화 상담이론의 이론적 함의 = 133
1. 다문화상담이론의 관점에 대한 논평 = 135
2. 몇 가지 추천 사항들 = 145
참고 문헌 = 147
제7장 다문화 상담과 실제적용을 위한 시사점 = 149
1. 다문화 상담이론의 적용 사례연구 = 153
2. 상담관계에서의 사회정치적인 상호작용 = 157
3. 조력반응 레퍼토리 확장하기 = 158
4. 제언 = 160
참고 문헌 = 162
제8장 다문화 상담이론 및 훈련을 위한 시사점 = 163
1. 총괄평가 = 166
2. 다문화 상담이론의 훈련 시사점 = 171
3. 교수진을 다문화 상담이론에 헌신적이 되도록 하기 = 177
참고 문헌 = 179
제9장 다문화 상담이론과 연구에의 시사점 = 183
1. 다문화 상담이론의 입장과 용어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 = 185
2. 다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191
3. 방법론에 대한 고찰 = 196
4. 요약 = 197
참고 문헌 = 198
제10장 다문화 상담이론과 상담에서의 민족 중심주의 = 201
1. 민족 중심주의의 정의 = 204
2. 민족의 인식적 차원 = 205
3. 민족 중심주의의 정신적 범위 = 215
4. 결론 = 221
참고 문헌 = 222
제3부 다문화 상담이론과 특정 대상자들
제11장 다문화 상담이론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 227
1. 일반적 반응 = 230
2. 아프리카-중심적 세계관 = 232
3. 결론 = 240
참고 문헌 = 243
제12장 다문화 상담이론과 아메리카 인디언 = 245
1. 상담의 문화적 맥락 = 248
2. 유럽계 미국인의 이론이 아메리카 인디언에게 적용될 때의 장점과 한계 = 252
3. 평등화와 비평적 의식 = 256
참고 문헌 = 258
제13장 다문화 상담이론과 아시아계 미국인 = 261
1. 다문화 상담이론의 강점 = 263
2. 아시아계 미국인을 위한 함의 = 265
3. 건설적인 비평과 제안 = 270
참고 문헌 = 274
제14장 다문화 상담이론과 라틴계 미국인 = 277
1. 다문화 상담이론에서 바라본 라틴아메리카 문화 = 281
2. 건강관리 영역에서의 토속이론과 서양이론 = 282
3. 라틴아메리카 사람들의 자기 동일시와 경험 = 285
4. 관계, 가족구조, 그리고 다른 기본 가치들 = 286
5. 문화적 가치와 성역할 사회화 = 288
6. 문화적응과 윤리정체성 = 290
7. 상담 장면에서의 민족적 정체성 = 292
8. 상담 실제에 있어 라틴문화 특수성과 관련된 지식들 = 293
9. 요약 = 297
참고 문헌 = 298
제15장 다문화 상담이론과 여성 = 301
1. 다문화 상담이론의 강점과 약점 = 304
2. 여성해방론적 분석의 관점 = 305
참고 문헌 = 314
제4부 다문화 상담이론의 전망
제16장 다문화 상담이론의 개발 : 미래에 대한 시사점 = 317
1. 다문화 상담이론의 기본가정들 = 318
2.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문화중심적 관점 : 전망 = 325
3. 결론 = 332
참고 문헌 = 33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