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울대학교 통일학 연구총서를 내면서
머리말
제1장 탈북자의 레질리언스와 문화적응
1. 탈북자 적응 실태에 대한 선행연구 ... 1
2. 개인과 가족의 레질리언스 ... 18
제2장 연구 방법
1. 질적 조사 ... 27
2. 양적 조사 ... 32
3. 조사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특성 ... 50
제3장 탈북자의 탈북 경험
1. 탈북...
목차 전체
서울대학교 통일학 연구총서를 내면서
머리말
제1장 탈북자의 레질리언스와 문화적응
1. 탈북자 적응 실태에 대한 선행연구 ... 1
2. 개인과 가족의 레질리언스 ... 18
제2장 연구 방법
1. 질적 조사 ... 27
2. 양적 조사 ... 32
3. 조사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특성 ... 50
제3장 탈북자의 탈북 경험
1. 탈북자의 탈북 과정 ... 59
2. 탈북자의 재북한 경험 ... 63
3. 제3국 경험 ... 109
4. 탈북 과정에서의 위기 ... 120
5. 입국 과정과 남한 경험 ... 130
6. 탈북 과정과 남한 생활 적응에 활용한 자원 ... 165
7. 탈북자의 탈북 과정 요약 ... 187
제4장 탈북 청소년의 정착 실태와 개인적 변화
1. 가치관의 변화 ...191
2. 정체성의 변화 ... 201
3. 탈북 청소년의 심리 특성 ... 208
4. 탈북 청소년들의 북한 사회와 남한 사회에 대한 생각 ... 220
제5장 탈북 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
1. 탈북 청소년의 남한 생활실태 ... 235
2. 탈북 청소년의 탈북 후 긍정적·부정적 변화 ... 237
3. 탈북 청소년의 남한 사회 정착 실태 ...241
4. 남한에서의 학교생활 ... 243
5. 가족에 대한 의미 재인식 ... 246
제6장 탈북자의 탈북... 경험과 개인적 변화
1. 가치관의 변화 ... 258
2. 정체성의 변화 ... 270
3. 심리 특성의 변화 ... 274
4. 남북한 사회에 대한 인식 ... 283
제7장 탈북자의 남한 사회문화 적응
1. 탈북자의 남한 사회 정착 ... 295
2. 탈북자의 적응 실태 ... 302
3. 탈북자의 적응과 개인적 레질리언스 ... 318
4. 탈북자의 적응과 가족 ... 324
5. 탈북자의 적응과 가족 레질리언스 ... 330
6. 사회적 관계망과 지지 ... 338
7. 탈북자의 적응과 연구의 한계점 ... 348
제8장 탈북자의 적응과 사회·심리적 통합
1. 사회·심리적 통합의 과제 ... 354
2. 사회·심리적 통합을 위한 정책 ... 388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