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헌사 : 조국 밖에서 조국과 함께 살아온 정경모 / 고은 = 5
나의 발자취, 나라의 발자취 = 10
1부 일본을 다시 생각한다
분단 50년의 길목에 서서 - 민족사의 현주소를 묻는다 = 27
페리의 내항과 일본의 50년 = 28
메이지 100년제 = 36
일본의 '제2의 도약'과 남북한 = 41
황국사관에 비추어본 '통석의 염' = 4...
목차 전체
목차
헌사 : 조국 밖에서 조국과 함께 살아온 정경모 / 고은 = 5
나의 발자취, 나라의 발자취 = 10
1부 일본을 다시 생각한다
분단 50년의 길목에 서서 - 민족사의 현주소를 묻는다 = 27
페리의 내항과 일본의 50년 = 28
메이지 100년제 = 36
일본의 '제2의 도약'과 남북한 = 41
황국사관에 비추어본 '통석의 염' = 45
민족사의 현주소 = 50
40년 사이클의 정치역학 - 아시아를 배반하고 마침내 백인에게 배반당한 일본의 현대사 = 58
나마무기 사건의 역사적 의의 = 62
조슈와 4국 함대 = 66
운양호 사건에서 청일전쟁에 이르기까지 = 68
막바지에 다다른 일본 = 72
전락의 조짐 = 75
일본의 공격적 내셔널리즘과 아시아의 방아적 내셜널리즘 = 79
현대 일본의 메이지의 잔재 = 81
제2의 '가쓰라-태프트 밀약'과 한국전쟁 = 85
다시 한 번 '통석의 염'에 대하여 = 87
2부 북한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금창리, 대포동 그리고 '괴선박' 소동 - 엿보이는 희망의 조짐 = 95
궁하면 투정대는 나라? = 95
노동1호를 발사하기까지 = 100
위기 회피의 드라마, 김 주석과 카터 = 105
'트로이의 목마', 제네바 합의문 = 109
새로운 역사의 시작 = 114
북일 정상화를 가로막는 것 = 118
새로운 역사의 여명 - 북미·북일 관계정상화를 향한 움직임 = 124
페리 보고서가 나오기까지 = 124
미사일 발사 중지의 대가 = 128
미국의 '북'에 대한 태도 변화 = 133
북이 얻어낸 그러징 리스펫트 = 140
대포동 이후의 북미, 북일 관계 = 148
미국이 북한을 보는 눈 = 148
적대시에서 정상화로 = 153
한국은 '장을 지키는 차포'인가 = 161
북미관계 연표 = 168
3부 민족사의 현주소를 붇는다 / 통일의 길목에서
남북 정상회담을 논한다 - 지금까지의 일, 앞으로의 일 = 173
샘물을 용솟음치게 하는 숨은 지하수 = 173
북미교섭이 주춤구리는 이유 = 177
남북 공동성명의 핵심은 민족자주 원칙 = 181
주한미군은 어떻게 되나 = 185
통일과정 = 189
경제협력에 따른 북의 경제활성화 = 192
동시에 바라는 일본의 각성 = 196
질풍노도의 시대를 살면서 - 남북 공동성명과 북미 공동 코뮈니케 = 205
한국전쟁에 내재적 이유가 있었는가 = 210
한국전쟁과 베트남 전쟁의 동질성 = 214
남북 공동성명과 북미 공동 코뮈니케 = 217
페리 프로세스를 넘어서 = 220
노벨상 수상에 얽힌 세 가지 화제 = 225
부록
일본에서 본 정상회담 - 문익환 목사를 회상하며 = 239
나는 왜 평양에 갔다왔나 - 문익환 목사와 함께 = 249
나는 왜 평양에 갔다왔나 - 박용길 부인와 함께 = 27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