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장 | 고대 법학 이야기
01 돌기둥에 새긴 전설 .. 16
- 설형문자의 대표 『함무라비 법전』
02 지진 후에도 이재민 텐트촌에는 엄격한 계급의 구분이 있었다 ... 21
- 고대 인도의 카스트 제도
03 형벌은 전쟁에서 나왔다 ... 28
- 중국법의 기원
04 강시 부인의 굴욕 ... 35
- 서주 예법 중 '칠출'과 '삼불거'
...
목차 전체
1장 | 고대 법학 이야기
01 돌기둥에 새긴 전설 .. 16
- 설형문자의 대표 『함무라비 법전』
02 지진 후에도 이재민 텐트촌에는 엄격한 계급의 구분이 있었다 ... 21
- 고대 인도의 카스트 제도
03 형벌은 전쟁에서 나왔다 ... 28
- 중국법의 기원
04 강시 부인의 굴욕 ... 35
- 서주 예법 중 '칠출'과 '삼불거'
05 은혜와 원한을 없애고 패업을 이루다 ... 41
- 관중의 첫 번째 개혁
06 숙향이 자산에게 반기를 들다 ... 46
- 자산의 주형서
07 '죽형'을 만든 최초의 변호사 ... 50
- 중국 최초의 변호사 등석
08 왕의 정치 중 가장 시급한 것은 도둑을 잡는 일이다 ... 54
- 중국 봉건시대 법전의 원천 『법경』
09 '사목입신' 이야기 ... 58
- 상앙의 변법
10 덕이 아닌 법을 추구한다 ... 65
- 법가사상을 집대성한 한비
11 소녀의 상소로 시작된 대개혁 ... 71
- 문경의 형제개혁
12 유교정신에 부합하면 법을 위반했다고 해도 사면받을 수 있고,
유교정신에 어긋나면 법에 부합한다 해도 처벌을 받는다 ... 77
- 동중서와 '춘추결옥'
13 사사로운 정 때문에 아들을 죽인 아버지 ... 82
- '오복제도'의 확립
14 관리나 귀족은 일반 백성과 다르게 처벌한다 ... 87
- 팔의, 관당과 고대 중국의 특권법
15 '아테네 최고 시인'의 공적 ... 92
- 솔론의 개혁
16 평민 투쟁의 찬란한 성과 ... 98
- 로마 최초의 성문법 『12표법』
17 법과 신앙을 위해 순교하다 ... 103
- 소크라테스의 죽음
18 이상국의 '철학왕' ... 108
- 플라톤과 『국가론』
19 나는 나의 스승을 사랑하지만 진리를 더 사랑한다 ... 113
- 법치를 숭상한 아리스토텔레스
20 참수당한 '조국의 아버지' ... 118
- 자연법학의 선구자 키케로
2장 | 중세 법학 이야기
21 강실분의 교통사고 사건 ... 124
- 중화법의 보고 『당률소의』
22 부국강병을 이루고자 하나 첩첩산중에 싸여 있으니 어쩔 수가 없구나 ... 130
- 왕안석의 변법
23 엄한 법으로 어지러운 나라를 다스리다 ... 134
- 명 태조가 친히 쓴 『대고』
24 브루노와 갈릴레이의 불행 ... 138
- 신학과 연관이 깊은 교회법
25 신국과 지상국, 신법과 인법 ... 144
- 신학자 성 아우구스티누스
26 신께서 우리의 운명을 결정하신다 ... 148
- 게르만법의 결투
27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위대한 공헌 ... 152
- 로마법전 편찬 운동
28 이슬람 학설의 축소판 ... 156
- 종교 색채가 짙은 이슬람법
29 법학교육의 요람 ... 162
- 중세 볼로냐 대학의 법학교육
30 중세 법학의 오아시스 ... 166
- 상법과 해상법의 출현
31 로마법 부흥의 일등공신 ... 170
- 주석학파와 대표인물 아조와 아쿠르시우스
32 이 세상에서 이단을 모조리 몰아내리라 ... 174
-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
33 대배심과 소배심 ... 178
- 배심제도의 기원
34 영장 기소제와 '대법관의 발' ... 182
- 영국의 보통법과 형평법의 형식
3장 | 근현대 법학 이야기
35 예교파와 법리파의 전쟁 ... 188
- 청말 변법수율
36 자산계급 민주공화의 찬란한 모범 ... 193
- 『중화민국 임시약법』
37 「유교아」의 봉봉 혼인 상소 사건 ... 196
- '마청천' 마석오의 재판방식
38 근대 헌법의 아버지 ... 201
- 영국헌법의 탄생
39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변호하다 ... 206
- '국제법의 아버지' 그로티우스
40 특허권의 변화 ... 210
- 현대 특허권의 탄생
41 릴번의 태형 사건 ... 214
- 묵비권의 유래
42 국가는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존재한다 ... 218
- 권력분립의 창시자 로크
43 삼권분립을 창시한 몽테스키외 ... 223
- 몽테스키외와 『법의 정신』
44 고독한 방랑자 ... 228
-고전자연법학파의 대표인물 루소
45 인류를 지키기 위한 외침 ... 232
- 베카리아의 『범죄와 형벌』
46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 237
- 벤담과 공리주의 학파
47 맹렬한 불길 속에서 탄생한 『독립선언』... 240
- 미국의 『독립선언』
48 이념의 자유는 곧 법이다 ... 244
- 헤겔과 법철학
49 학생들에게 외면받은 강의 ... 248
- 오스틴과 분석법학
50 혁명 중 탄생한 인권보호의 '바이블' ... 252
- 프랑스의 『인권선언』
51 마베리 대 메디슨 사건 ... 256
- 미국 위헌법률심사제의 탄생
52 다른 어떤 것에 의해서도 없어지지 않으며 영원히 존재하는 것은 바로 우리의 민법전이다 ... 260
- 나폴레옹과 『민법전』
53 권리를 위해 투쟁한다 ... 264
- 예링의 『권리를 위한 투쟁』
54 '신분에서 계약까지'의 운동 ... 267
- 메인의 『고대법』
55 유전자의 노예 ... 271
-'범죄학의 아버지' 롬브로소
56 미 합중국을 고소한 에이브람스 ... 276
- 홈즈와 실용주의 법학파
57 너무도 정확하고 자세한 법률 ... 280
- 『독일민법전』
58 '해가 지지 않는 나라'가 남긴 역사적 유산 ... 284
- 보통법계의 형성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