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7
제1장_한반도 분단체제와 '평화국가' 만들기
1. 문제 설정 : '6ㆍ15시대'? = 37
2. 분단구조의 역사와 분단체제론 = 42
3. 분단체제의 극복과 '평화국가' 만들기 = 61
4. 결론 : 6ㆍ15담론에서 평화국가담론으로 = 72
[논평 1]'대량설득무기'의 위협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 77
제2장_평화개념의 비판적 재...
목차 전체
서문 = 7
제1장_한반도 분단체제와 '평화국가' 만들기
1. 문제 설정 : '6ㆍ15시대'? = 37
2. 분단구조의 역사와 분단체제론 = 42
3. 분단체제의 극복과 '평화국가' 만들기 = 61
4. 결론 : 6ㆍ15담론에서 평화국가담론으로 = 72
[논평 1]'대량설득무기'의 위협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 77
제2장_평화개념의 비판적 재구성 : 한반도적 맥락
1. 문제 설정 = 81
2. 평화의 개념 : "수입품의 시장조사" = 83
3. 한반도의 평화담론 = 91
4. 평화운동의 평화담론 : 결론에 대신하여 = 103
제3장_남북한 관계에 대한 메타이론적 접근
1. 서론 = 109
2. 남북한 관계의 연구 방법 : 이론의 분류 = 110
3. 남북한 관계의 기존 이론들 = 120
4. 비판과 대안 : 역사주의적 시각 = 135
5. 이론의 규범적 차원 : 결론에 대신하여 = 140
제4장_비판적 국제이론과 한반도의 평화과정
1. 문제 제기 : 이론적 실천 = 145
2. 현실주의적 평화과정 비판 : 국제관계와 질서의 문제 = 148
3. 국제관계의 정치이론으로서 비판적 국제이론 = 151
4. 한반도 평화과정에 대한 비판적 접근 : 연구의제의 설정 = 161
5. 결론 = 180
[논평 2]한반도 평화체제와 다자간 안보협력 = 182
제5장_한국의 평화운동 : 비판적 평가
1. 평화운동의 전개과정 = 195
2. 비판 = 206
[논평 3]북한인권 문제에 관한 이론적 고려 = 210
[논평 4]평화운동으로서 평화의 섬 제주 만들기 = 219
제6장_탈근대시대 한반도 평화 : 안과 밖의 경계 허물기
1. 진보의 진보 = 225
2. 근대 비판 = 228
3. 사례 : 한반도의 분단 = 237
4. 주체와 공간 = 240
제7장_[서평논문]북한연구의 '국제정치' : 오리엔탈리즘 비판
1. 문제 설정 : 정체성의 정치 = 243
2. 북한연구의 시각 = 247
3. 북한의 지속과 변화 = 257
4. 북한과 한반도의 평화과정 : 2003년 위기설을 중심으로 = 273
5. 결론 : 패러다임의 혁명은 가능한가? = 279
제8장_북한의 핵실험과 한반도 평화 : 결론에 대신하여
1. 북한 핵실험의 원인 = 283
2. 북한 핵실험에 대한 주변국의 대응 = 285
3. 북미갈등의 심층구조 = 292
4. 북한 핵실험의 효과 = 297
5. 북한 핵실험의 정당성(?) = 300
6. 한반도 평화의 길 : 무엇을 할 것인가 = 309
후기 = 317
참고문헌 = 322
찾아보기 = 33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