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1부 리얼리즘소설의 이념과 윤리
1920∼30년대 경향소설에 나타난 인물 유형 = 15
1. 공동체의 가치와 인물 유형 = 15
2. 초기 경향소설의 단편성과 추상성 = 17
3. 「과도기」에 이르는 길 = 21
4. 「공장신문」의 급진성 = 27
5. 합행동적 사건의 문학적 의미 = 30
6. 「총동원」과 문제적 집...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1부 리얼리즘소설의 이념과 윤리
1920∼30년대 경향소설에 나타난 인물 유형 = 15
1. 공동체의 가치와 인물 유형 = 15
2. 초기 경향소설의 단편성과 추상성 = 17
3. 「과도기」에 이르는 길 = 21
4. 「공장신문」의 급진성 = 27
5. 합행동적 사건의 문학적 의미 = 30
6. 「총동원」과 문제적 집단 = 35
7. 「여직공」과 진지한 행동주의 = 40
일제강점기 노동소설의 이념 지향성과 현실인식의 문제 : 강경애의 「인간문제」론 = 45
1. 들어가는 말 = 45
2. 이념 드러내기의 몇 가지 방식 = 47
3. 낙관적 비극의 문제 = 57
4. 긍정적 인물유형의 제시 = 61
5. 결론 = 64
『황혼』과 1930년대 노동문학의 수준 = 66
1. 들어가는 말 = 66
2. 1920년대 노동문학의 성격 = 68
3. 『황혼』의 수준 = 70
4. 결론 = 84
토지개혁의 형상화와 농본주의 사상 : 이태준의 『농토』에 대하여 = 85
1. 『농토』의 작가 - 해방의 의미 = 85
2. 토지개혁의 형상화 = 88
3. 주체성의 미학 - 농본주의 사상의 드러냄 = 94
2부 모더니즘소설의 이념과 윤리
현대적 글쓰기의 기원 : 모더니즘의 경험과 방법에 대한 고찰 = 103
1. 모더니즘의 '아이'들 = 103
2. 유아기(幼兒期)의 감수성 = 107
3. 고갈된 낭만주의와 나침반론 = 119
4. 모더니즘 혹은 모더니스트의 유형학 = 130
문학과 이데올로기, 주체 그리고 윤리학 : 프로문학과 모더니즘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135
1. 들어가는 말 = 135
2. 왜상(歪像)과 실상 = 139
3. 주체 혹은 주체성 = 146
4. 세 가지 윤리학 = 151
5. 결론 = 156
표층의 해석학 : 박태원의 『천변풍경』론 = 158
1. 태도 혹은 방법의 문제 = 158
2. '깨진 거울'론(論)과 표층의 현상학 = 160
3. 모더니즘의 근대 체험과 우울증 = 174
자기모멸의 윤리학 : 이상 소설의 몇 가지 모티프(1) = 185
1. 새로운 여행의 방식 = 185
2. 방법론 혹은 당혹감 = 188
3. 이분법의 거부 = 191
4. '태도'의 정립 = 194
5. 지도 만들기 = 199
6. 고통 혹은 자기 처벌의 논리 = 206
7. 자기모멸의 윤리학 = 213
미적 주체의 가능성 : 이상 소설의 몇 가지 모티프(2) = 218
1. 연애담의 의미 = 218
2. 리얼리즘의 시간과 모더니즘의 시간 = 226
3. 죽음의 논리 = 234
4. 미적 주체의 가능성 혹은 절대 형식으로서의 예술 = 239
3부 자유주의 문학의 논리와 한계
유명론적 세계 이해와 개체성의 윤리학 : 염상섭과 1920년대 = 251
1. 가면(假面) 쓰기와 균열의 사회학 = 251
2. 실패한 두 개의 실험 - 광기와 냉소의 세계 = 260
3. 원숙함과 개체성의 드라마 = 272
4. 결어 - 염상섭과 1920년대 = 280
풍자의 역사의식 : 채만식의 『태평천하』읽기 = 283
1. 풍자와 아이러니 = 283
2. 부르주아 자유주의의 자가당착과 그로테스크 이미지 = 290
3. 끝맺는 말 - 풍자의 역사의식 = 300
4부 1930년대 후반기에 대한 성찰
1930년대 후반기 장편소설 : 이념의 소멸과 새로운 주제의식의 모색 = 307
1. 1930년대 후반기의 문학적 지형도 = 307
2. 『천변풍경』 - 기법의 새로움과 도시풍경의 형상화 = 310
3. 『탁류』와 『태평천하』 - 이야기로서의 소설과 세태의 형상화 = 313
4. 『대하』 - 전형기 문단의 방향성 또는 주체성 재건에 대한 모색 = 319
1930년대 중ㆍ후반기의 전통론 : '민족'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 329
1. 서론 - 인식소로서의 전통 = 329
2. 독자성에 대한 호소와 문화주의 = 335
3. 종합에의 의지와 역사적 계기로서의 전통 = 341
4. 동양론에의 함몰과 '특수한 보편성'으로서의 전통 = 348
5. 결론 = 35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