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 여가학의 체계와 범위
제1장 여가학의 정체성
1. 학문 영역으로서 여가 현상 = 14
(1) 행복 추구와 여가 연구의 필요성 = 14
(2) 여가학의 정체성 논란 = 15
(3) 현대 여가학의 위치 = 18
2. 여가학의 성격과 영역 = 20
(1) 순수 여가학 = 22
(2) 응용 여가학 = 24
[연구문...
목차 전체
제1부 - 여가학의 체계와 범위
제1장 여가학의 정체성
1. 학문 영역으로서 여가 현상 = 14
(1) 행복 추구와 여가 연구의 필요성 = 14
(2) 여가학의 정체성 논란 = 15
(3) 현대 여가학의 위치 = 18
2. 여가학의 성격과 영역 = 20
(1) 순수 여가학 = 22
(2) 응용 여가학 = 24
[연구문제] = 29
제2장 여가 가치관의 역사
1. 서구의 여가 가치관 = 31
(1) 그리스 시대 : 여가의 고전적 정의 = 31
(2) 로마시대(- A.D. 4C) = 35
(3) 중세의 여가(5C - 13C) = 38
(4) 르네상스 시대(14C - 15C) = 39
(5) 종교개혁의 시대(16C - 17C) = 40
(6) 산업혁명이후 근세(18C - 20C 초) = 42
(7) 세계대전 이후(20C 중 - 1970년대) = 42
2. 우리나라와 여가 가치관 = 44
(1) 전통 농경 사회 = 44
(2) 일제 강점기의 여가 = 45
(3) 광복 및 한국전쟁이후의 여가 : 1980년대까지 = 45
3. 현대적 의미의 여가(1990년대 이후) = 47
[연구문제] = 49
제3장 여가 개념의 이해
1. 여가란 무엇인가? = 50
(1) Leisure의 어원 = 51
(2) 여가 개념의 종류 = 52
2. 상대성 개념으로서 여가 현상 = 62
(1) 여가 개념의 상대적 기준 = 62
(2) 여가 개념의 정의 = 65
[연구문제] = 66
제4장 여가의 기준과 유사 개념
1. 여가 개념의 두 가지 기준 = 67
(1) 지각된 자유감(perceived freedon) : 적극적 자유와 소극적 자유 = 67
(2)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 69
(3) 두 가지 기준의 조합으로서 인간사 = 69
(4) 행복(happiness) : 여가의 궁극적 가치 = 72
2. 여가 활동과 유사 개념 = 75
(1) 레크레이션(recreation) = 75
(2) 놀이(play) = 76
(3) 게임(game) = 80
(4) 여행과 관광 = 82
3. 여가 종류의 구분과 기준 = 84
3. 현대인의 여가 표상과 여가 목적 = 85
[연구문제] = 88
제5장 현대사회와 여가 문화
1. 현대사회의 구조적 특징 = 90
(1) 기술 발달 : 생산구조 변화 = 90
(2) 교통수단의 발달 = 92
(3) 도시화 = 94
(4) 인구구조 변화 = 97
(5) 직업구조의 변화 = 100
(6) 교육 수준 향상 = 102
(7) 인터넷의 발전 = 103
2. 현대사회의 여가 특징 = 104
(1) 소비 패턴의 변화 : 감성소비 시대 = 104
(2)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의 구조화 = 106
(3) 대중 여가 문화에서 개인 여가문화로 변화 = 107
(4) 기술 발달과 다양한 여가문화 = 109
(5) 여가의 상업화 = 110
(6) 다른 종류의 여가문화와 사회문제 = 111
[연구문제] = 117
제6장 여가학 연구 방법론
1. 여가학 연구의 취지 = 118
(1) 여가 현상의 설명과 이해 = 118
(2) 여가 문제의 예측과 진단 = 119
(3) 여가 시설/프로그램의 개발 근거 = 120
(4) 인류 복지에 공헌 = 120
2. 여가학 연구의 패러다임과 방법론 = 121
(1) 패러다임(paradigm)이란? = 121
(2) 두 가지 방법론 = 122
3. 구체적인 연구 방법들 = 126
4.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의 선택 기준 = 132
[연구문제] = 133
제2부 - 여가 행동의 이해
제7장 여가 행동 과정
1. 일반소비자 행동 과정 = 136
(1) 정보처리 중심의 소비자 행동 과정 = 138
(2) 정보처리적 관점의 한계 : 쾌락/경험 중심의 관점 = 151
(3) 동기론적 관점의 여가 행동 과정 = 15
[연구문제] = 161
제8장 여가 동기의 이해
1. 동기의 개념 = 163
2. 여가 동기 모형 = 165
(1) 여가 욕구 분류 모형 = 165
(2) 여가 욕구 구조 모형 = 169
(3) 여가 동기의 기제적 접근 이론 = 172
3. 지각된 자유감과 내재적 동기의 관계 = 177
4.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의 관계 = 178
5. 여가 동기의 다른 쟁점들 = 180
[연구문제] = 182
제9장 여가 체험의 본질 : 체험 종류와 과정
1. 여가 체험 과정 = 183
2. 여가 체험의 종류 = 184
(1) 인지적 체험 : 행동 맥락별 분류 = 184
(2) 정서적 체험 = 186
(3) 내재적 보상으로서 즉각 체험의 역할 = 187
3. 여가 체험(내재적 보상)의 두 가지 통로 = 189
4. 여가 체험의 핵심 : 재미(fun) = 192
5. 재미 달성 방법 = 194
(1) 재미 구조 모형 = 194
(2) 재미의 추구 단계 모형 = 203
7. 여가 체험과 결과에 미치는 다른 요인 = 213
[연구문제] = 213
제10장 여가 경험의 결과 : 심리적 기능
1. 여가 경험의 심리적 기능 = 215
(1) 여가 활동과 정서적 효과 = 215
(2) 여가 경험과 인지적 효과 = 220
(3) 여가 경험과 사회적 능력 = 223
2. 여가 경험의 장기적 결과 : 삶의 질 향상 = 226
[연구문제] = 230
제11장 개인 성격과 여가 행동
1. 성격 개념과 5가지 패러다임 = 232
2. 성격 특질과 여가 행동 = 236
3. 여가 연구에 적용되어 온 성격 개념들 = 240
(1) 통제의 소재(locus of control) = 240
(2) 주의 스타일(attentional style) = 242
(3) 놀이성(playfulness)과 소심증(shyness) = 242
(4) 자기정체성(self-identity) = 243
4. 여가 연구에서 대두된 성격 개념 = 244
(1) 여가자극 민감성-권태성(leisure susceptibility-boredom) = 245
(2) 자기목적적 성격과 내재적 여가 동기화 성향 = 246
(3) 여가정체성(leisure identity) = 247
5. 향후 연구 = 249
[연구문제] = 251
제12장 개인 발달과 여가사회화
1. 개인발달 과정과 여가 행동 = 252
(1) 신체 운동능력과 여가 경험 = 253
(2) 감각ㆍ지각 능력과 여가 경험 = 254
(3) 인지능력과 여가 경험 = 255
(4) 성격 발달과 여가 경험 = 257
2. 여가 사회화 과정 = 260
(1) 여가 활동을 통한(through) 사회화 = 261
(2) 여가 활동에 대한(into) 사회화 = 263
(3) 여가사회화에 대한 매체의 영향 = 264
3. 여가레퍼토리와 여가대체(leisure substitution) = 266
4. 노년기 여가 = 271
(1) 은퇴이론(disengagement theory) = 271
(2) 활동이론(activity theory) = 271
(3) 지속이론(continuity theory) = 272
(4) 노년문화 이론(subculture of aging theory) = 272
[연구문제] = 273
제3부 - 여가문제와 여가 관리
제13장 여가 제약과 관리
1. 여가 제약(leisure constraints)의 개념 = 276
2. 여가 제약 요인의 종류와 모형 = 278
(1) 여가제약 2요인 모형 = 279
(2) 여가제약 3요인 모형 = 280
(3) 여가제약의 위계적 모형 = 282
3. 여가 제약의 극복 전략 = 284
(1) 행위자 입장의 여가제약 극복 전략 = 284
4. 요약 및 향후 연구 방향 = 289
[연구문제] = 289
제14장 여가와 사회 문제 : 중독, 폭력, 소외, 일탈행동
1. 문제 여가의 범위 = 290
2. 거시적 수준의 여가 문제 = 291
(1) 여가의 획일화와 소외 = 292
(2) 과시적 소비와 여가의 자본화 = 293
(3) 여가의 향락화와 사행성 여가 = 293
(4) 기계문명의 의존과 소극적 여가 = 294
3. 미시적 수준의 여가 문제 = 295
(1) 여가중독 = 295
(2) 청소년 여가문제 : 비행과 폭력 행동 = 311
4. 다른 여가 문제 = 316
[연구문제] = 318
제15장 여가 교육과 여가 치료
1. 여가 교육의 개념과 목표 = 319
(1) 여가 교육과 여가 치료 = 319
(2) 여가 교육 및 치료의 목표 = 321
2. 여가 교육과 치료의 영역 및 접근방식 = 324
(1) 여가 교육ㆍ치료의 영역 = 325
(2) 여가 치료 과정 : 전문가 입장 = 326
(3) 여가 상담 및 교육의 접근 방식(paradigms) = 327
3. 여가 교육 및 치료 이론 = 330
(1) 여가 교육 시스템 모형(Mundy & Odum, 1979) = 330
(2) Dattilo & Murphy(1991)의 체계적 접근 모형 = 332
(3) 여가 능력 모형(Leisure Ability Model : Peterson & Stumb, 2000) = 333
(4) 치료 서비스 모델(Therapeutic Recreation Service Delivery Model) = 335
(5) 다양한 교육 모형에 대한 전반적 평가 = 336
4. 결론 : 효과적인 여가 치료 및 교육 방법에 대한 전망 = 337
[연구문제] = 338
제16장 여가 서비스의 관리 : 여가 정책과 여가 경영
1. 여가 서비스의 공적 관리 : 여가 정책의 개념 = 339
(1) 여가 정책의 목표 = 340
(2) 여가 정책의 유형 = 342
(3) 여가 정책의 주체 = 342
2. 여가 정책의 이슈들 = 346
(1) 여가 제약의 개선 : 여가시설 = 346
(2) 여가 프로그램과 교육의 기회 제고 = 349
(3) 여가문화 예산의 확보 = 350
(4) 주5일 근무제와 여가 생활 = 351
3. 여가 산업 및 여가 경영 = 353
(1) 여가 소비 시장의 이해 = 353
(2) 여가 마케팅 전략 = 358
4. 미래의 여가 서비스 관리 : 창의적 리더쉽 = 368
[연구문제] = 370
[이론 소개] : 이중통로 여가체험 모형 = 372
[참고문헌] = 38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