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1960-70년대 노동자의 생활세계와 정체성

이종구 외 공지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1960-70년대 노동자의 생활세계와 정체성 / 이종구 외 공지음
개인저자이종구
강남식
권진관
김창남
박해광
신병현
이정구
임규찬
장미경
조희연
발행사항파주 : 한울, 2005
형태사항305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노동사 연구총서 ;2
한울아카데미 ;711
대등표제(The) Korean workers' lifeworlds and identities in 1960s-1970s
ISBN8946033339
9788946033337
일반주기공저자 : 강남식, 권진관, 김창남, 박해광, 신병현, 이정구, 임규찬, 장미경, 조희연
서지주기참고문헌수록
기금정보주기이 논문은 2002년도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분류기호305.562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970193 305.562 천구백 이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28 대출가능
2 970194 305.562 천구백 이 c2 보존서고B3 B351-7-4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서문 = 3
제1장 한국 산업노동자의 도시 경험 : 1970년대를 중심으로 = 13
 1. 들어가는 말 = 13
 2. 연구방법 및 선행연구의 검토 = 15
 3. 도시 경험과 정체성 = 18
 4. 도시 경험과 노동자 정체성 : 경계와 혼돈 = 37
제2장 한국 산업노동자 형성기 노동자집단의 문화정체성 연구를 위한 시론 = 45
 1. 머리말 = 4...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3
제1장 한국 산업노동자의 도시 경험 : 1970년대를 중심으로 = 13
 1. 들어가는 말 = 13
 2. 연구방법 및 선행연구의 검토 = 15
 3. 도시 경험과 정체성 = 18
 4. 도시 경험과 노동자 정체성 : 경계와 혼돈 = 37
제2장 한국 산업노동자 형성기 노동자집단의 문화정체성 연구를 위한 시론 = 45
 1. 머리말 = 45
 2. 노동자문화의 이론과 개념 = 49
 3. 산업화시대 한국 산업노동자의 삶과 문화 = 57
 4. 결론 = 68
제3장 1960, 70년대 산업화과정에서 노동자들의 사회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 주요 역사적 담론들 : 근대화와 가부장적 가족주의 담론구성체를 중심으로 = 73
 1. 머리말 = 73
 2. 노동자 정체성 연구들 = 75
 3. 노동자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담론구성체들 = 85
 4. 맺음말 = 117
제4장 '반공규율사회'형 자본주의 발전과정에서의 노동자계급의 '구성'적 출현 : 1960, 70년대를 중심으로 = 123
 1. 머리말 = 123
 2. 자본주의 재생산과 노동자계급의 구성 = 125
 3. 한국에서의 반공규율사회형 자본주의 발전과 노동자계급의 '주체화적 구성' = 142
 4. 맺음말 = 168
제5장 노동자의 생활주거공간 : 1970, 80년대 영등포지역 근로자들의 주거공간에 대한 연구 = 175
 1. 들어가는 말 = 175
 2. 노동자의 형성 = 177
 3. 1970년대 노동자의 주거 선택과 환경 = 179
 4. 노동자주거의 변이 = 185
 5. 노동자들의 여가문화 = 188
 6. 결론 = 189
제6장 1970년대 산업선교지도자들의 입장과 활동의 특징들에 대한 연구 = 191
 1. 서론 = 191
 2. 해당 지도자들의 경력에 대한 약술 = 193
 3. 산업선교지도자들이 가진 기본 사상적 입장 = 197
 4. 결론 = 212
제7장 70년대 노동현실과 문화적 형상 : 「객지」와 리얼리즘 = 215
 1. 들어가는 말 = 215
 2.  1970년대 노동현실과 문학적 반영의 한 양상 = 219
 3. 「객지」의 문학적 성격과 역사적 진실 = 224
 4. 「객지」의 인물형상화와 영웅성 문제 = 230
 5. 결론 = 233
제8장 여성사 연구방법론의 쟁점과 방향 : 1960, 70년대 한국 여성노동사 연구방법을 모색하며 = 235
 1. 서론 = 235
 2. 여성주의 방법론과 여성사연구 = 238
 3. 여성노동사 연구방법론 = 245
 4. 1960, 70년대 한국 여성노동사 연구 모색 = 254
 5. 결론 = 266
제9장 근대화와 1960, 70년대의 여성노동자 : 여성노동자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271
 1. 서론 = 271
 2.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 272
 3. 도시화와 여성노동자 = 277
 4. 자본주의화와 여성노동자 = 283
 5. 공/사 이분화와 여성노동자 = 297
 6. 결론 = 301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