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론 = 9
一. 18세기 후반 북학파의 경세인식과 '西器中國源流說'
1. 18세기 의리ㆍ경세 절충사조와 西學 = 26
1) 의리ㆍ경세 절충사조와 북학론 = 26
2) 서학 수용 양상과 서학 이해 = 37
2. 18세기 후반 '西器中國源流說'의 전개 = 57
1) 북학파의 '西器中國源流說' 채용 = 57
2) '西器中國源流說'의 전개...
목차 전체
목차
서론 = 9
一. 18세기 후반 북학파의 경세인식과 '西器中國源流說'
1. 18세기 의리ㆍ경세 절충사조와 西學 = 26
1) 의리ㆍ경세 절충사조와 북학론 = 26
2) 서학 수용 양상과 서학 이해 = 37
2. 18세기 후반 '西器中國源流說'의 전개 = 57
1) 북학파의 '西器中國源流說' 채용 = 57
2) '西器中國源流說'의 전개 = 66
二. 19세기 초반 經世學風의 전개와 西洋文物 受容論
1. 중앙 학계의 동향과 經世學風의 전개 = 86
1) 중앙 학계의 사상적 동향 = 86
2) 의리ㆍ경세 절충학풍과 그 주도층 = 101
2. 西學에 대한 중앙 지식층의 태도 = 120
1) 정부의 서학정책과 山林 계열의 西學排斥論 = 120
2) 經世學風 주도 계열의 西洋文物 受容論 = 134
三. 1840~1860년대 전반의 東道 대응론
1. 對서양 이해와 海防論 = 150
1) 對서양 위기 인식과 서양세력 이해 = 150
2) 海防論의 전개와 그 성격 = 166
2. 제1, 2차 중ㆍ영전쟁기 東道 대응론의 전개 = 180
1) 제1차 중ㆍ영전쟁과 東道 대응론의 대두 = 180
2) 제2차 중ㆍ영전쟁기 東道 대응론의 전개 = 196
四. 1860년대 후반~1880년대 초반 동도서기론의 형성
1. 병인양요 이후 對서양 방어론의 분화와 洋務 이해 = 216
1) 병인양요 이후 對서양 방어론의 분화 = 216
2) 양무 이해와 관심의 확산 = 231
2. 고종친정기 富國 논의와 동도서기론 = 257
1) 개항 이후 논쟁과 부국 인식 = 257
2) 1880년대 초반 동도서기론의 등장과 성격 = 270
결론 = 283
참고문헌 = 293
찾아보기 = 31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