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문법 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주세형 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문법 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 주세형 저
개인저자주세형
발행사항서울 : 역락, 2006
형태사항326 p. ; 23 cm
ISBN8955565062
일반주기색인수록
서지주기참고문헌 : p. 306-317
분류기호411.507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970282 411.507 주세형 문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61 대출가능
2 970283 411.507 주세형 문 c2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61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제1부 문법 교육론의 위상 정립
 제1장 문법 교육의 현황 = 13
  1. 문법 교육 연구의 역사적 변천 = 13
   (1) 제1기:5차 교육과정까지의 문법 교육 연구 = 14
   (2) 제2기:6차와 7차 교육과정 시기의 문법 교육 연구 = 16
  2. 문법 교육 실천의 역사적 변천 = 30
   (1) 문법 교육과정의 특성:좁은 범위의 명료...

목차 전체

목차
제1부 문법 교육론의 위상 정립
 제1장 문법 교육의 현황 = 13
  1. 문법 교육 연구의 역사적 변천 = 13
   (1) 제1기:5차 교육과정까지의 문법 교육 연구 = 14
   (2) 제2기:6차와 7차 교육과정 시기의 문법 교육 연구 = 16
  2. 문법 교육 실천의 역사적 변천 = 30
   (1) 문법 교육과정의 특성:좁은 범위의 명료한 진술 = 34
   (2) 교과서에서의 실행 양상 = 44
   (3) 문법 교육과정 실행 방향 = 55
   (4) 결론 = 66
  3. 국어과 교육에서 문법 영역의 역할 = 68
   (1) 문법 교육관의 차이 = 68
   (2) 문법 영역의 야누스적 역할 = 74
   (3) 결론 = 81
 제2장 교육용 패러다임의 구축 = 83
  1. 교육관-신실용주의에 근거한 학습자 중심 = 84
  2. 지식관-일상과 학문의 권력 관계 재배치 = 86
   (1) 구성주의적 지식관으로의 전회:'언어'가 지식에 대해 우위를 점하다 = 87
   (2) 문법 영역 내의 지식 담론 극복 = 89
   (3) 문법 영역 밖의 지식 담론 극복 = 92
  3. 언어관 = 96
   (1) 소통으로서의 언어관 = 96
   (2) 확장적 기호로서의 언어관 = 100
   (3) 이질적 언어관 = 102
  4. 이론관 = 105
 제3장 본질적 문법 교육과정의 이론화 = 109
  1. 전제와 이론화 거점 = 110
   (1) 전제 = 110
   (2) 이론화 거점 = 112
  2. 목표 수준의 이론화-문법 교육 목표의 재구성 = 113
   (1) '올바르고 정확함'을 넘어서기 = 113
   (2) 이념적 수준의 목표 창출하기 = 115
   (3) 실용성과 탐구성의 화해 = 119
  3. 내용 수준의 이론화-문법 교육 내용의 체계화 = 122
   (1) 문법 영역의 체계화 작업의 특성 = 123
   (2) 종적 구조 체계화 방법 = 127
   (3) 횡적 구조 체계화 방법 = 133
  4. 방법 수준의 이론화-문법 교육 방법의 심층화, 다변화 = 138
  5. 결론 = 140
 제4장 통합적 문법 교육과정의 이론화 = 143
  1. '통합'의 개념 및 작용-언어에 대한 통합적 접근 = 144
   (1) '통합'의 개념과 성격 = 144
   (2) '통합'의 작용 = 147
  2. 원리 1-학습자 중심성 = 149
   (1) 문법 지식의 수행성 강화 = 150
   (2) 문법 지식의 인식성 강화 = 152
  3. 원리 2-기능 중심성 = 155
   (1) 형식 중심과 기능 중심 = 156
   (2) 사용역에 따른 교육 내용 구성 = 167
  4. 원리 3-통합 중심성 = 181
   (1) 단위와 부문의 통합 = 182
   (2) 의미와 문법의 통합 = 197
   (3) 세계와 문법의 통합 = 214
  5. 결론-국어과 교육과정에의 작용 = 223
제2부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제1장 문법 지식의 교육적 가치 재발견 = 231
  1. '탐구학습'을 되돌아보며 = 233
   (1) 탐구학습의 등장 = 233
   (2) 탐구학습의 의의:문법 교육관의 혁신 = 236
  2. 문법 지식의 교육적 가치 탐색 = 239
   (1) 문법 지식과 수사학의 만남 = 240
   (2) 문법 지식과 논리학의 만남 = 243
   (3) 문법 지식과 국어 문화 = 245
  3. 결론 = 250
 제2장 문장에 대한 지식과 글쓰기 = 251
  1. 쓰기 교육의 현황-생산적 도구로서의 문법 지식 개발 필요성 = 251
  2. 문법 교육에서의 문장 교육 현황-'문장 개념'의 대안적 접근 필요성 = 257
  3. 문장 개념에 대한 대안적 접근 = 264
   (1) 전제:언어에 대한 접근법 = 265
   (2) 문장 개념의 재조정 = 267
  4. 결론 = 278
 제3장 국어사 지식과 역사적 사고력 = 279
  1. 국어사 교육의 현황 = 280
  2. 교육 내용 설계의 기준-학습자 중심 = 288
  3. 교육 내용 설계 방향-역사적 사고력 증진 = 289
   (1)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 유도:해석의 허용 = 289
   (2) '통시'가 아닌 '범시적' 시각:'상태의 역동성' 인식 = 292
   (3) 국어 문화의 심층 구조 이해:'어휘'가 아닌 '문법'에 집중 = 298
  4. 결론 = 304
참고문헌 = 306
찾아보기 = 318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