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3
1부 17세기말~18세기초 산문이론의 전개양상
Ⅰ. 서론 = 11
1. 문제 제기 = 11
2. 연구범위와 서술구도 = 18
Ⅱ. 산문이론의 본격화ㆍ다양화와 그 사회ㆍ문화적 배경 = 22
1. 지식인 사회 분기의 심화와 학술기반의 확대 = 22
2. 明ㆍ淸 문예서 유입의 증대와 산문이론의 다변화 = 37
3. 문예...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3
1부 17세기말~18세기초 산문이론의 전개양상
Ⅰ. 서론 = 11
1. 문제 제기 = 11
2. 연구범위와 서술구도 = 18
Ⅱ. 산문이론의 본격화ㆍ다양화와 그 사회ㆍ문화적 배경 = 22
1. 지식인 사회 분기의 심화와 학술기반의 확대 = 22
2. 明ㆍ淸 문예서 유입의 증대와 산문이론의 다변화 = 37
3. 문예적 산문 창작의 성행과 산문비평의 활성화 = 59
Ⅲ. 산문이론 전개의 양상과 구도 = 76
1. 古氣再現의 理想과 學古 방법의 이견 = 76
1) 許穆 계열 근기남인의 尙古 전통 = 76
2) 古氣의 재현과 簡奧의 미의식 = 81
3) 전범 설정 및 학습 방법의 논의 = 93
2. 韓歐正脈의 표방과 修辭ㆍ意法 논의 = 110
1) 韓歐正脈의 의미와 그 수용ㆍ전개의 양상 = 110
2) 修辭 요구의 논리와 平暢의 미의식 = 120
3) '法' 추구에 대한 비판과 意ㆍ法 논란 = 138
3. 典範ㆍ道文 인식의 전변과 새로운 미적 지향 = 144
1) '貴古賤今'의 문학사관 극복과 전범의 상대화 = 144
2) 道文一致 인식의 전변과 自得識見의 강조 = 155
3) 奇警ㆍ尖新에의 시선과 산문인식의 신경향 = 176
Ⅳ. 결론 = 195
2부 작법ㆍ수사 논의의 심화와 산문비평의 실제
1. 意ㆍ氣ㆍ法의 작문요결과 法 추구의 의미 = 203
1) 산문 창작의 요결로서의 意ㆍ氣ㆍ法 = 204
2) 法 추구의 의미와 그 산문사적 맥락 = 213
2. 體裁 구비의 요건과 장르별 창작규범 = 224
1) 창작준칙으로서의 法과 體裁 구비의 요건 = 224
2) 장르 인식의 엄정성과 문체별 규범 = 229
3. 구성의 수사법, 그 개념과 운용 = 238
1) 字句章篇 작법의 개념과 구성의 수사법 = 238
2) 중심제재의 선택ㆍ배치와 綱領의 부각 = 243
3) 단락접속ㆍ서술방식의 변용과 抑揚ㆍ開闔의 수사기법 = 252
3부 보론
夢예 南克寬의 학문과 산문비평 = 273
1. 序 : 서책의 숲에 유폐된 젊은 지성 = 273
2. 학적 관심의 비정형적 확산과 氣化論的 문예관 = 278
3. 體製의 강조와 명대 문예 수용의 시각 = 283
4. 작가의 재평가와 발굴로서의 산문비평 = 289
5. 결 : 未完의 사상과 비평 = 296
조긍섭의 김택영 諸家文評 비판과 그 비평사적 의의 = 298
1. 緖言 = 298
2. 李穡 이래 조선 전기 산문에 대한 평가 = 300
3. 崔립의 산문사적 위상과 擬古 논란 = 308
4. 朴趾源 산문에 대한 평가와 古文의 개념 = 315
5. 結語 = 323
참고 문헌 = 326
찾아보기 = 34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