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3
제Ⅰ부 가족의 개념
제1장 가족에 대안 이해 = 15
1. 현대사회에서의 가족의 변화 = 15
1) 가족 변화의 추세 = 15
2) 가족구조의 변화 : 다양한 가족 유형 = 17
3) 가족기능의 변화 = 20
4) 가족주기의 변화 = 21
2. 가족 변화를 바라보는 상이한 시각 = 22
3. 가족에 대한 정의 = 23
1) 전통적인 가...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3
제Ⅰ부 가족의 개념
제1장 가족에 대안 이해 = 15
1. 현대사회에서의 가족의 변화 = 15
1) 가족 변화의 추세 = 15
2) 가족구조의 변화 : 다양한 가족 유형 = 17
3) 가족기능의 변화 = 20
4) 가족주기의 변화 = 21
2. 가족 변화를 바라보는 상이한 시각 = 22
3. 가족에 대한 정의 = 23
1) 전통적인 가족의 정의 = 23
2) 현대적인 가족의 정의 = 23
제2장 가족복지에 대한 이해 = 27
1. 가족복지의 영역 = 27
1) 정책 영역 : 가족정책 = 27
2) 서비스 영역 : 가족 중심적 서비스 = 28
3) 실천 영역 = 29
2. 가족복지실천에서 가족에 대한 관심의 역사 = 33
1) COS부터 1910년대 후반까지 = 34
2) 1920년대 = 34
3) 1930년대 = 35
4) 1930년대 후반에서 1940년대 = 36
5) 1950년대 = 36
6) 1960년대 = 37
7) 1970년대와 1980년대 = 37
8) 1990년대 이후 = 38
3. 가족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 = 39
1) 문제의 원인으로 보는 관점 = 39
2) 가족을 자원으로 보는 관점 = 39
3) 가족을 희생자로 보는 관점 = 40
4) 가족을 전문가의 파트너, 협력자로 보는 관점 = 40
제Ⅱ부 가족복지정책
제3장 가족복지정책의 이해 = 45
1. 가족복지정책의 개념 = 45
2. 가족복지정책의 역사 = 48
1) 제1기(1879-1929년) = 50
2) 제2기(1930-1944년) = 50
3) 제3기(1945-1959년) = 50
4) 제4기(1960-1974년) = 51
5) 제5기(1975년-현재) = 51
3. 가족복지정책의 범주 = 51
4. 가족복지정책의 시각 = 53
1) 보수적 시각 = 54
2) 진보적 시각 = 54
3) 여권론적 시각 = 55
5. 가족복지정책의 유형화 = 57
1) 캐머만과 칸(Kamerman&Kahn, 1978)의 유형화 = 57
2) 하딩(Harding, 1996)의 유형화 = 58
3) 고타에(Gauthier, 1996)의 유형화 = 60
6. 새로운 가족복지정책의 패러다임 = 61
제4장 우리나라의 가족복지정책 = 65
1. 가족복지정책의 역사 = 66
2. 가족복지정책의 행정체계 = 67
3. 건강가정기본법 = 71
1) 제정 배경과 입법 목적 = 71
2) 주요 내용 = 72
4. 우리나라 가족복지정책 프로그램 = 75
1) 가족에 대한 소득지원 프로그램 = 76
2) 가족-취업 양립 지원 프로그램 = 82
3) 돌봄(care) 및 양육 지원 프로그램 = 83
4) 기타 가족 지원 프로그램 = 86
5. 우리나라 가족복지정책의 과제 = 87
제5장 외국의 가족복지정책 = 89
1. 스웨덴의 가족복지정책 = 91
1) 가족복지정책의 역사 = 91
2) 가족복지정책 프로그램 = 92
2. 프랑스의 가족복지정책 = 96
1) 가족복지정책의 역사 = 96
2) 가족복지정책 프로그램 = 98
3. 미국의 가족복지정책 = 103
1) 가족복지정책의 역사 = 103
2) 가족복지정책 프로그램 = 106
4. 최근 외국의 가족복지정책의 동향 = 110
제Ⅲ부 가족체계에 대한 이해
제6장 가족체계의 주요 개념들 = 115
1. 체계로서의 가족 = 115
2. 주요 개념들 = 118
1) 순환적 인과성(circular causality) = 118
2) 비합산성 혹은 비총합성(nonsummativity) = 118
3) 동등종결성(eguifinality)과 다중종결성(multifinality) = 119
4) 항상성(homeostasis)과 형태형성성(morphogenesis) = 119
5) 가족의 구조와 역할 = 120
6) 경계(Boundaries) = 121
제7장 가족생활주기 = 123
1. 가족생활주기 = 123
1) 정의와 개념 = 123
2) 유용성 = 124
3) 발달과정 = 124
2. 가족생활주기별 특성과 위기, 예방개입들 = 127
1) 결혼전기 = 128
2) 결혼 적응기 = 128
3) 자녀 아동기 = 129
4) 자녀 청소년기 = 130
5) 자녀 독립기 = 131
6) 노년기 = 132
3. 변화하는 가족생활주기 = 133
1) 이혼가족의 생활주기 = 133
2) 재혼가족의 생활주기 = 135
제Ⅳ부 가족복지실천과정
제8장 초기면접과 사정 = 139
1. 초기 면접 = 140
1) 가족초점(family focus) = 141
2) 관계형성 = 142
3) 가족 신념 = 142
2. 사정(assessment) = 143
1) 사정방법 = 144
2) 사정내용 = 146
3) 사정도구들 = 148
제9장 개입 및 종결 = 159
1. 개입계획 = 159
2. 개입 = 160
1) 가족 구성원에 대한 개입 = 161
2) 의사소통 및 세대간의 관계에 대한 개입 = 165
3) 외부환경에 대한 개입 = 168
3. 종결 = 172
1) 종결의 유형 = 172
2) 종결의 과제 = 174
제10장 가족치료 = 177
1. 가족치료의 개념 = 177
2. 가족치료의 발전과 흐름 = 178
1) 1950-1960년대 = 178
2) 1970년대 = 179
3) 1980년대-현재 = 179
3. 가족치료의 종류 = 180
1) 보웬의 가족치료(Bowenian Family Therapy) = 180
2) 구조주의 가족치료(Structural Family Therapy) = 185
3) 경험적 가족치료(Experiential Family Therapy) = 188
4) 해결 중심 단기 가족치료(Solution-Focused therapy) = 192
제Ⅴ부 가족복지실천의 대상
제11장 입양가족 = 197
1. 입양가족의 개념 = 197
2. 입양가족의 현황 = 198
1) 요보호아동의 발생 현황 = 198
2) 입양가족의 현황 = 200
3. 입양가족 만들기 = 202
1) 입양 자격 = 202
2) 입양절차 = 203
4. 입양가족의 특성과 문제 = 204
1) 입양가족의 특성 = 204
2) 입양가족의 문제 = 206
5. 우리나라 입양가족을 위한 가족복지 프로그램 = 208
1) 양육보조수당 및 의료비 지원 = 208
2) 입양아동의 수업료 및 입학금 면제 = 209
3) 자조집단 = 209
6. 입양가족을 위한 개선과제 = 210
1) 가정위탁보호사업의 활성화 = 210
2) 입양절차의 개선 = 210
3) 입양가족에 대한 가족복지정책 및 서비스의 확대 = 212
4) 공개입양의 활성화 = 213
제12장 알코올 중독자 가족 = 215
1. 개념과 실태 = 215
1) 알코올 중독 가족의 개념 = 215
2)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실태 = 216
2. 알코올 중독 가족의 문제 = 217
3. 알코올 중독자 가족에 대한 개입 = 224
1) 알코올 중독자 가족에 대한 개입 = 224
2) 자녀 역할 유형에 따른 개입 = 225
4. 알코올 중독자 가족을 위한 서비스 현황 = 227
1) 정부 차원의 서비스 = 228
2) 민간 차원의 서비스 = 229
5. 알코올 중독자 가족을 위한 서비스 대책 = 231
1) 실천적 대책 = 231
2) 정책적 대안 = 232
제13장 이혼가족 = 235
1. 이혼의 개념 = 235
1) 정서적 이혼 = 235
2) 법적인 이혼 = 236
3) 공동-부모 역할의 이혼 = 236
4) 경제적 이혼 = 236
5) 공동체 이혼 = 237
6) 정신적 이혼 = 237
2. 이혼과정 = 238
3. 이혼가족의 실태와 특성 = 239
1) 실태 = 239
2) 이혼 원인 = 241
3) 이혼가족이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문제와 빈곤 = 243
4. 이혼가족에 대한 법적 제도 = 248
5. 이혼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 151
제14장 노인학대가족 = 255
1. 역사적 배경 = 255
2. 실태 = 256
3. 노인학대의 정의 및 유형 = 258
4. 노인학대의 원인 = 260
5. 노인학대에 관련된 법적 장치 = 261
1) 미국 = 262
2) 우리나라 = 265
6. 노인학대에 대응하는 사회적 서비스 = 267
제15장 발달장애아동 가족 = 271
1. 개념과 실태 = 271
1) 발달장애의 개념 = 271
2) 실태 = 272
2. 발달장애아동 가족의 문제점 = 273
1) 부모의 심리ㆍ사회적 문제 = 273
2) 비장애형제들의 경험하는 문제들 = 276
3. 장애아동 가족의 적응유연성 = 278
4. 발달장애아동 가족에 대한 개입 = 279
1) 개별화 가족지원(Individualized Family Service Plan : IFSP) = 279
2)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형제들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 = 281
5. 발달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서비스 현황 = 282
1) 정부 차원의 서비스 = 282
2) 민간 차원의 서비스 = 284
6. 발달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서비스 대책 = 285
1) 실천적 대책 = 285
2) 정책적 대안 = 287
참고문헌 = 291
찾아보기 = 30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