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신동한 - 휘황찬란한 햇살 아래 시의 큰 숨결
제1시집 「환절기」의 시 세계
장윤익-자연과 생명의 서정적 변용 =11
박양균-정확한 사물관으로써 존재와의 대결 =22
전문수-시의 지평 =24
제2시집 「돌에다 건네는 귀엣말 - 숨결」의 시 세계
조병무-존재와 생명 =29
원형갑-시문학의 역사적 숙제 =35
박이도-경험적인 상...
목차 전체
책머리에 / 신동한 - 휘황찬란한 햇살 아래 시의 큰 숨결
제1시집 「환절기」의 시 세계
장윤익-자연과 생명의 서정적 변용 =11
박양균-정확한 사물관으로써 존재와의 대결 =22
전문수-시의 지평 =24
제2시집 「돌에다 건네는 귀엣말 - 숨결」의 시 세계
조병무-존재와 생명 =29
원형갑-시문학의 역사적 숙제 =35
박이도-경험적인 상상력의 세계 =40
제3시집 「빛에게 어둠에게」의 시 세계
신규호-색채감을 통한 비극적 세계 인식 =45
전문수-주의적 대자기 투쟁의 시 세계 =57
김양헌-빛과 어둠의 거리를 넘어서 =62
제4시집 「가을 산에 버리는 이야기」의 시 세계
김선굉-신생을 꿈꾸는 버림의 미학 =71
이장희-정련된 서정과 고요한 흡인력 =81
채수영-미래의 창과 현실 관리 =90
엄해영-이야기 시와 이미지 지향의 시 =104
최진연-감각적 형식주의 표현의 한계,기타 =109
정광수-전환기에 있어서 문학의 역할 =112
제5시집 「딸들의 시대」의 시 세계
이유식-한국 여성상의 명과 암 =121
박신헌-새바람의 근원 혹은 딸들에의 사랑 =132
김몽선-딸의 이미지 속에 선명하게 투영된 빛나는 시 정신 =144
제6시집 「화천리 무지개」의 시 세계
성기조-화천리 주민의 각서 =155
정민호-전통시에 나타난 향토적 정서 =172
문무학-삶과 서사, 꿈의 서정 =181
김주완-가슴으로 흐르는 영원한 꽃내 =190
김상환-도원에의 향수 혹은 하늘 말귀 열기 =214
박남일-고향회귀 의지 혹은 액세서리와 덫 =222
허세욱-한국 현대시의 흐름과 특색 =225
제7시집 「하늘 말귀에 눈을 열고」의 시 세계
윤강로-자연,자연성의 시 =231
이수화-유장한 삶과 죽음의 유현미 =243
홍윤기-박곤걸 시 해설 =251
신재기-무한 허공으로 날아오르는 나비의 꿈 =258
이진엽-자연 속의 깊은 울림과 반향 =266
노 철- 영원히 신성한 선물 =274
손남주-달관과 순수 사이 =283
손남주-시의 자리 =290
임헌영-암벽에 기어올라 초식하는 순한 산양 =293
리헌석-지성의 울림, 거울로서의 글쓰기 =303
제8시집 (시선집)「무지개 너머」의 시 세계
신동한-자연과 존재의 서정성 =307
윤병로-자연과의 소통, 삶에 대한 치열한 성찰의 염원 =315
정광수-날카로운 직관, 자연 세계의 변용 =325
송영목-박곤걸 시 연구 =355
이기철-새로 읽는 박곤걸의 시 =402
오양호-일상사의 시적 변용과 그 열락 =408
김우종-민족적 생의 찬가, 그리고 그가 사랑한 사람들 =416
장백일-시도닦기, 40년의 인간학 =428
박진환-다양한 시법과 그 미학 =439
이진흥-박곤걸 시의 역정 =448
김선학-밝고 맑고 정갈하고 아름다운 시 =465
이태수-자연 회기.관조.깨달음의 미학 =471
조두섭-간주관적 서정성의 시학 =480
조병무-현대에 접근하는 감각 =496
김두한-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는 시 =498
대담 / 황명강 - 산을 닮으려는 삶을 거느리고 =507
책 끝에 / 윤병로 - 심층적 시 연구의 귀중한 비평 논지
찾아보기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