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4
평탄함을 얻지 못한 자의 울부짖음 : 김시습 비평 = 12
비평을 대하는 두 가지 태도 : 비평론 = 16
자신의 마음과 뜻을 드러낸 시 : 정인홍 비평 = 20
살아 있을 때 간행한 문집 : 문집 비평 = 22
일찍이 보지 못한 기이한 문장 : 조식 비평 = 25
문장에 깃든 기운과 담긴 뜻에 따라 차이가 있다 : 기대승 비평 = 28...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4
평탄함을 얻지 못한 자의 울부짖음 : 김시습 비평 = 12
비평을 대하는 두 가지 태도 : 비평론 = 16
자신의 마음과 뜻을 드러낸 시 : 정인홍 비평 = 20
살아 있을 때 간행한 문집 : 문집 비평 = 22
일찍이 보지 못한 기이한 문장 : 조식 비평 = 25
문장에 깃든 기운과 담긴 뜻에 따라 차이가 있다 : 기대승 비평 = 28
글 짓는 어려움을 잘 알았던 연암 : 박지원 비평 = 32
성난 사자가 돌을 긁는 듯 : 한석봉 비평 = 37
항아리 덮개에나 쓸 글이라고 비난받을까봐 그만두겠는가 : 장유 자평 = 40
행동이 논리만 못한 사람과 논리가 행동만 못한 사람 : 문장가 비평 = 42
세상 사람들이 꺼린 백사의 만인시 : 이항복 비평 = 47
퇴계가 시를 잘 짓지 못했다? : 이황 비평 = 50
속마음을 감추고 익살스러운 말과 기괴한 행동을 보인 이지함 : 이지함 비평 = 54
왼손으로 네모를 그리면서 오른손으로 동그라미를 그릴 수는 없다 : 이수광 비평 = 57
문장의 차이는 세상과 더불어 오르내리는 기운에 따라 다르다 : 장유 비평 = 62
너무 많아 넘치거나 지나치게 간략한 것 모두 잘못이다 : 명문장집 비평 = 65
나라를 빛낸 가문, 평강 채씨 : 평강 채씨 비평 = 69
천자문은 어린아이들이 배우기에 적당하지 않다 : 「천자문」 비평 = 74
잡스럽고 천박한 글이라도 반드시 얻을 것이 있다 : 「잡찬」 비평 = 78
귀신의 안목을 갖춘 비평가 : 김수온 비평 = 83
비교할 만한 문인이 드물다 : 유몽인 자평 = 85
인간의 경지를 넘어선 묵란화 : 흥선대원군 비평 = 92
글의 좋고 나쁨은 말을 잘 꾸미는 데 있지 않다 : 시 비평 = 96
비천한 백성의 노래가 사대부의 시보다 훌륭하다 : 민요 비평 = 98
기이하고 신비스러운 이야기나 소설이 존재하는 이유 : 「태평광기」 비평 = 101
문장에 자연의 이치를 담은 목은 이색 : 이색 비평 = 106
조선의 학문적 뿌리, 포은 정몽주 : 정몽주 비평 = 110
박지원이 중국에서 태어났더라면 : 박지원 비평 = 115
신하의 절개와 의로움을 밝힐 수 있는 근본 뿌리 : 길재 비평 = 120
옛사람의 문장을 뛰어넘다 : 이숭인 비평 = 124
옛 문장을 근거 삼아 오늘의 문장을 비평하지 말라 : 문장 비평 = 128
순수하고 독실한 자질을 갖추다 : 김세규 비평 = 131
보여 주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 비평론 = 135
나 스스로를 비평한다 : 허목 자평 = 138
제봉 고경명은 용과 같은 사람이다 : 고경명 비평 = 142
역사를 기록하는 붓끝이 부리는 조화 : 역사가 비평 = 146
하늘과는 통하면서 사람과는 통할 수 없단 말인가 : 현옹 비평 = 149
다른 사람이 지은 글을 비평하는 올바른 방법 : 비평론 = 152
시가 사람을 궁색하게 만든다는 주장에 대한 변론 : 시 비평 = 154
옛사람의 교훈에 정신을 빼앗기다 : 이덕무 비평 = 160
모든 것을 잊고 한 가지에 미쳐야만 이룰 수 있다 : 기예가 비평 = 166
허공의 꽃이나 물속에 잠긴 달 : 허난설헌 비평 = 169
붉은 까마귀나 해도 좋고 푸른 까마귀라 해도 좋다 : 시 비평 = 174
우리 명문장가의 계보를 밝힌다 : 명문장가 비평 = 178
노자, 장자, 순자, 한비자의 글을 비평한다 : 제자백가 비평 = 182
기상의 화려함만으로 시를 지으면 시의 품격을 이룰 수 없다 : 시 비평 = 187
겉은 아름답지만 속은 텅 빈 책과 겉은 하잘것없어도 속은 꽉 찬 책 : 소천암 비평 = 190
나의 스승 손곡산인을 말한다 : 이달 비평 = 194
가려 뽑아 엮은 우리나라 명문장 : 문선 비평 = 199
은을 철이라고 생각한들 : 이지함 비평 = 202
고려 시대에 전해오는 여성 시는 단 한 편뿐 : 고려의 여성 시 비평 = 205
문장에만 매달리면 광대나 다름없어진다 : 장유 비평 = 207
시란 책으로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유희경 비평 = 212
우리나라 문장의 선구자, 최치원 : 최치원 비평 = 216
볼 줄 아는 눈, 들을 줄 아는 귀 : 문장 비평 = 21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