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내면서 = 3
제1장 정치시장과 노동시장 = 13
제1부 노동시장 제도와 거시경제
제2장 OECD의 노동시장제도: 노동조직의 성장과 쇠퇴, 1960~1987 = 49
1. 문제의식 = 49
2. 쟁점과 개괄 = 53
3. 노동조합 조직률에 관한 일반적 설명 = 57
4. 노동조합 성장에 대한 제도의 영향 = 59
5. 방법론 ...
목차 전체
목차
책을 내면서 = 3
제1장 정치시장과 노동시장 = 13
제1부 노동시장 제도와 거시경제
제2장 OECD의 노동시장제도: 노동조직의 성장과 쇠퇴, 1960~1987 = 49
1. 문제의식 = 49
2. 쟁점과 개괄 = 53
3. 노동조합 조직률에 관한 일반적 설명 = 57
4. 노동조합 성장에 대한 제도의 영향 = 59
5. 방법론 및 자료 = 74
6. 결과 및 논의 = 83
7. 맺음말 = 89
제3장 세계경제의 대변동과 국내적 대응구조 = 91
1. 문제제기 = 91
2. 문헌탐색 = 97
3. 노사협상의 수준과 노동시장구조 = 100
4. 노동조합과 실업 = 108
5. 시장제도와 임금자제 = 111
6. 모델 설정 = 114
1) 시장구조의 제도효과와 변화 = 115
2) 임금협정제도, 임금탄력성, 그리고 실업 = 119
7. 맺음말 = 126
〈부록〉 = 130
제4장 탈산업화, 세계화, 그리고 노노갈등 = 137
1. 경제위기, 구조조정과 고용위기 = 138
2. 노사정협약 실험과 노동시장의 변화 = 141
3. 노동시장 유연화와 노노갈등 = 146
4. 결론: 한국형 노사정모델의 일차적 조건 = 158
제2부 한국에는 왜 사회당이 존재하지 않는가?
제5장 한국에서 왜 노동정당은 존재하지 못했고 또 존재하지 못하는가? = 161
1. 문제제기 = 162
2. 정치시장과 노동시장 = 166
3. 정치세력화의 요인 = 168
4. 노동정당의 진입장벽: 정치체제의 제도적 제약 = 170
5. 한국노동의 선택 = 176
1) 노동시장의 전국화: 맥시멀리스트의 악순환 = 176
2) 정치시장의 전국화: 미니멀리스트의 선순환 = 179
3) 정치시장의 변화: 비례대표제와 노동정당의 의회진출 = 181
4) 시민운동과 정치제도의 변화 = 184
제6장 권력구조와 지역균열, 선거제도 = 187
1. 정치제도, 사회균열 및 정치엘리트 = 188
2. 대통령제 대 내각제: 효율성과 대표성 = 196
1) 임기 고정에 따른 유연성 결여 = 202
2) 승자독식 = 203
3) 이중권력 문제 = 205
3. 선거제도와 권력구조 = 207
4. 맺음말 = 214
제7장 노동시장과 정치시장의 교환 = 217
1. 노동시장의 민주화 = 219
2. 정치시장과 산업민주화 = 230
3. 정치적 교환?: 1996/7년의 노동법개정 = 240
4. 결론: 한국의 산업민주주의는 가능한가? = 255
제8장 여야 균열구조와 한국 정당체제의 역사적 변화: 1948~1996 = 263
1. 문헌탐색과 한국정당사를 보는 새로운 관점 = 265
2. 정당체제의 총유동성 = 274
3. 여야균열과 정당체제 = 279
4. 결론: 새로운 연구과제 = 288
제3부 한국 지역주의 정치의 시원과 확대
제9장 지역주의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역대 대통령선거를 기반으로 = 295
1. 역대 대통령선거와 지역주의 투표성향 = 296
2. 한국 정당체제의 연속성과 변화 = 307
3. 지역정당체제의 형성 = 312
4. 맺음말 = 323
제10장 한국정치체제의 구조와 변화: 지역정당체제의 동학 = 325
1. 한국의 정치경쟁과 정치적 결속체제 = 327
2. 한국의 정당과 정당체제 = 331
1) 구조정당과 비구조정당 = 331
2) 지역정당체제의 성립 = 332
3. 맺음말 = 343
제11장 지역주의 정치구조와 한국 정당체제의 재편 = 347
1. 지역균열, 정당의 몰락, 정당체제의 유동성 = 348
2. 한국 지역정당의 등장과 강화 = 354
3. 한국의 지역정당체제 = 358
4. 제17대 선거는 재편선거였는가? = 364
참고문헌 = 369
찾아보기 = 38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