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Chapter 1 서버를 구축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01. 리눅스란? = 2
1. 리눅스는 운영체제이다 = 2
2. 리눅스 토발즈와 리눅스 = 2
3. 리눅스의 로고 = 4
4. 리눅스의 특징 = 5
02. 리눅스의 자유와 공유의 정신 = 8
1. Linux is Free! = 8
2. 라이선스 이야기 = 9
3. 리눅...
목차 전체
목차
Chapter 1 서버를 구축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01. 리눅스란? = 2
1. 리눅스는 운영체제이다 = 2
2. 리눅스 토발즈와 리눅스 = 2
3. 리눅스의 로고 = 4
4. 리눅스의 특징 = 5
02. 리눅스의 자유와 공유의 정신 = 8
1. Linux is Free! = 8
2. 라이선스 이야기 = 9
3. 리눅스와 GNU 프로젝트 = 10
03. MS 윈도우즈와의 비교 = 12
1. 윈도우즈와 다른 점 = 12
2. 윈도우즈와 같은 점 = 13
3. 리눅스를 사용하면 할 수 있는 것 = 13
4. 리눅스를 사용하면 할 수 없는 것 = 13
04. Asianux, 한글과컴퓨터 그리고 Fedora = 14
1. Asianux란? = 14
2. Asianux 서버의 의미 = 14
3. 쉬운 설치과정 = 16
4. Fedora와의 차이 = 16
5. 한글과컴퓨터 아시아눅스 서버 2.0용 소프트웨어 = 20
05. 시스템 관리자에 대한 것들 = 23
1. 시스템 관리자의 업무 = 23
2. 슈퍼 유저 = 27
3.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주요 프로그램 = 31
4. 시스템 관리를 위한 정보 얻기 = 35
Chapter 2 리눅스 설치와 부트로더
01. 리눅스 설치 = 46
1. 리눅스 설치전략 = 46
2. 설치 계획하기 = 48
3. 주요 설치과정 = 55
02. X 윈도우 제어판 = 73
03. 리눅스 부트로더 - GRUB = 76
1. GRUB의 개념과 일반적인 사항들 = 77
2. GRUB의 설정 = 77
3. GRUB의 삭제와 복구 = 79
4. 명령행에서 GRUB 사용하기 = 81
5. 부트로더 관리자 = 84
Chapter 3 리눅스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사항들
01. 리눅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 90
1. TUI = 90
2. GUI = 91
02. 리눅스의 시작과 종료 = 92
1. 리눅스의 부팅과정 = 92
2. 리눅스 로그아웃과 종료 = 98
03. 쉘 = 100
1. 쉘이란? = 100
2. 쉘 관련 개념들 = 103
04. 리눅스 시스템의 표준 디렉토리 구조 = 105
05. 기본 명령어 = 107
1. 파일 관련 명령어 = 107
2.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 124
3. 파일의 결합과 압축 = 129
4. 권한 설정 관련 명령어 = 135
5. 하드 디스크 관련 명령어 = 144
6.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 150
06. Vi 사용하기 = 162
1. Vi 사용의 기초 = 162
2. 문서 작성해 보기 = 166
3. Vi의 응용 = 171
4. 명령어 정리 = 175
07. X 윈도우 시스템 = 179
1. X 윈도우 시스템의 기초 = 179
2. 윈도우 관리자 = 182
3. X 윈도우 시작 = 192
4. KDE = 193
5. 원격에서의 X 윈도우 사용 = 198
Chapter 4 하드웨어 설정
01. 하드웨어 설정을 위한 프로그램 = 210
1. 콘솔용 관리 프로그램 = 210
2. X 윈도우용 관리 프로그램 = 210
02. 그래픽 카드 = 211
1. 그래픽 카드 설정의 기초 = 211
2. Xconfigurator로 그래픽 카드 설정하기 = 212
3. XConfig로 그래픽 카드 설정하기 = 218
4. xorg.conf 설정파일 편집 = 220
5. Nvidia 드라이버 설치법 = 226
03. 마우스와 키보드 = 228
1. mouseconfig = 228
2. kbdconfig = 229
3. X 윈도우 마우스 설정 프로그램 = 229
4. X 윈도우 키보드 설정 프로그램 = 230
04. 네트워크 카드 = 231
1. 네트워크 카드 설정 프로그램 = 231
2. 네트워크 카드 수동 설정 = 235
05. 프린터와 프린트 서버 = 243
1. 리눅스에서의 프린터 = 243
2. 프린터 설정 프로그램 = 245
3. 쉘 환경에서의 프린터 제어 = 247
06. 기타 하드웨어 관련 프로그램들 = 251
Chapter 5 시스템 사용자ㆍ그룹 등록 및 관리
01. 새로운 사용자 추가 = 256
1. useradd 명령을 통한 사용자 추가 = 256
2. 사용자를 위한 설정들 = 260
02. 비밀번호의 설정 = 264
1. passwd 명령을 통한 비밀번호 설정 = 264
2. 사용자 비밀번호 관련 파일들 = 266
03. 그룹 관리 = 267
1. groupadd 명령을 통한 그룹 설정 = 268
2. group 설정파일 = 269
04. 사용자/그룹 설정 변경 = 270
1. 사용자 설정 변경 = 270
2. 그룹 설정 변경 = 272
05 사용자/그룹 삭제 = 273
1. 사용자 삭제 = 273
2. 그룹 삭제 = 274
06. 기타 사용자/그룹 관련 명령어 = 275
1. 사용자와 그룹 확인 = 275
2. 사용자 로그인 및 작업 확인 = 275
07 그룹/사용자 관리자 프로그램 = 278
08. 표준 사용자와 그룹 = 280
1. 표준 사용자 = 280
2. 표준 그룹 = 281
09. Quota = 283
1. Quota란? = 283
2. Quota 설정 = 283
3. 관련 명령어 정리 = 289
10. sudo = 290
1. 프로그램 설치 = 290
2. sudo 설정 = 292
3. sudo 실행 = 297
Chapter 6 파일 시스템 및 하드 디스크 관리
01.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 302
1. 주요 리눅스 디렉토리 = 302
2. 루트(/) 파일 시스템 = 303
3. /etc 디렉토리 = 305
4. 이 외의 주요 디렉토리 = 310
02. 파일 시스템의 종류 = 315
1. 리눅스 파일 시스템 = 315
03. 파일 시스템 관련 설정파일 = 318
1. /etc/fstab 파일 = 318
2. /etc/mtab 파일 = 321
3. 스왑 파일 시스템 = 323
04. 파일 시스템 관련 프로그램들 = 326
1. 디스크 파티션 분할 = 326
2. 파일 시스템 작성과 검사 = 335
3. 하드 디스크 설치 = 340
4. rm으로 지운 파일 살리기 - unrm = 342
Chapter 7 소프트웨어 관리
01. RPM 관리하기 = 350
1. RPM의 기초 = 350
2. RPM의 원리와 기본 개념 = 352
3. RPM 명령어의 이해 = 356
4. RPM 만들기 = 369
5. X 윈도우용 프로그램 = 373
6. HSUpdater = 375
7. yum을 통한 시스템 업데이트 = 376
02. 소스코드 컴파일 및 설치 = 380
03. bin 파일과 쉘 스크립트 = 384
Chapter 8 로그 관리와 시스템 자동화
01. 리눅스 시스템 로그 관리 = 390
1. 로그 파일이란? = 390
2. 로그 파일들 = 391
3. X 윈도우용 로그 프로그램 = 400
02. 로그를 위한 프로그램 = 401
1. syslogd = 401
2./etc/syslog.conf = 402
3. logrotate = 408
4. rotatelogs = 411
5. sysreport = 412
6. SWATCH = 414
7. syslog-ng = 418
03. 쉘 스크립트 = 421
1. 쉘 스크립트의 사용 = 421
2. 스크립트의 기초적인 사항들 = 425
3. 쉘(매개)변수 = 426
4. 쉘의 간단한 문법 = 430
5. 자주 쓰이는 표현식 정리 = 442
04. 시스템 설정에 관련된 쉘 스크립트 = 443
1. 환경 설정파일과 쉘 스크립트 = 444
2. 시스템 시작 스크립트 = 450
05. 시스템 자동화 = 457
1. /etc/rc.d/init.d 아래의 쉘 스크립트 = 458
2. cron을 이용하여 작업 자동화하기 = 463
3. at을 통한 시스템 자동화 = 469
Chapter 9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기본적인 사항들
01. 네트워크 관리 명령어 = 476
1. nslookup = 476
2. route = 489
3. netstat = 491
4. 네트워크 상태 확인을 위한 명령 = 497
02. 네트워크 서비스와 슈퍼 데몬 = 502
1. 네트워크 서비스 기본 개념과 슈퍼 데몬 = 502
2. 네트워크 서비스와 슈퍼 데몬 = 510
03. 원격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 = 524
1. telnet 서버의 설치와 활용 = 524
2. SSH 서버의 설치와 활용 = 528
04. 유동 IP 배분을 위한 DHCP 서비스 = 546
1. DHCP 소개 = 546
2. 서버의 설치 = 547
3. DHCP 서버 설정하기 = 548
4. DHCP 서버 시작과 종료 = 550
5. 클라이언트의 설정 = 552
Chapter 10 도메인 이름 사용을 위한 DNS 서비스
01. DNS의 필요성 = 560
02. DNS 호스트의 등록 = 561
1. 도메인 검색 = 562
2. 도메인 등록 = 562
3. 신청자 제반사항 입력 = 563
4. 신용카드 정보 입력 = 565
03. DNS 설치 = 565
1. 필요한 패키지 = 565
2. 프로그램 설치 = 566
04. 주 네임 서버 설정 = 567
1. /etc/named.conf = 568
2. /var/named/lvsp.zone = 572
3. /var/named/named.rev = 578
4. /var/uamed/named.local = 579
5. /var/named/named.ca = 579
05. 부 네임 서버 = 582
06. 네임 서버 동작 확인 = 583
07. 클라이언트 설정 = 584
1. 리눅스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설정 = 584
2.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설정 = 585
08. 네임 서버 유지 보수 = 585
1. 네임 서버에 적용되는 시그널 = 586
2. BIND Syslog 메시지들 = 587
3. DNS 에러 수정도구 = 587
09. rndc = 593
1. rndc 유틸리티 = 593
2. rndc.key의 생성 = 594
10. X 윈도우용 설정 프로그램 = 595
Chapter 11 Apache+MySQL+PHP
01. Apache, PHP, MySQL의 개념 = 602
1. Apache HTTP 서버 = 602
2. PHP = 605
3. MySQL = 607
02. Apache HTTP 서버의 모듈과 DSO = 609
1. 모듈이란? = 609
2. Apache HTTP 서버의 발전과 모듈 = 611
3. DSO란? = 613
03. 설치과정 = 616
1. Apache HTTP 서버의 설치방식 = 616
2. 기존의 패키지 확인 및 언인스톨 = 617
3. DSO 방식의 APM 연동 = 618
04. APM 설정과 관련 유틸리티 = 636
1. Apache HTTP 서버 설정과 관련 유틸리티 = 636
2. PHP 설정파일과 관련 유틸리티 = 681
3. MySQL 설정과 백업ㆍ복구 = 706
Chapter 12 파일 공유를 위한 서버 프로그램
01. FTP 서버 설치 및 운영 = 730
1. proftpd 데몬 설치 및 시작/종료 = 730
2. proftpd 설정 = 735
3. proftpd 관리 명령어 = 751
4. vsftpd 설정 = 754
5. FTP 클라이언트 = 759
02. NFS 서버 구축 = 761
1. NFS의 개념 = 761
2. NFS 서버 설정 및 시작 = 761
3. /etc/exports 설정하기 = 763
4. 클라이언트에서 NFS 서버 사용하기 = 766
03. SSH와 sftp 클라이언트 = 769
Chapter 13 이메일을 위한 서버 구축
01. Sendmail = 774
1. Sendmail과 MTA? = 774
2. Sendmail 설치와 시작 = 775
3. Sendmail 설정 및 사용 = 780
4. POP3의 사용 = 788
5. 메일 클라이언트 = 791
6. 메일 전송 서버 전환 프로그램 = 797
Chapter 14 SAMBA 파일 서버
01. SAMBA 개요 = 800
1. SAMBA란? = 800
2. SAMBA를 통해서 할 수 있는 일은? = 800
02. SAMBA 설치와 실행 = 801
1. RPM 파일 설치 = 801
2. 소스 설치 = 802
3. 설치된 후의 데몬들과 실행파일들 = 803
4. SAMBA-TNG = 803
5. SAMBA 서버의 실행 = 804
03. SAMBA 설정 = 807
1. /etc/smb.conf 설정파일 = 807
2. 리눅스의 드라이브를 윈도우즈에 공유하기 = 809
3. SAMBA 세부 설정사항 = 809
4. 설정 테스트 = 820
5. 문제 해결 = 821
04. SAMBA의 웹 관리툴 SWAT = 823
1. (x)inetd에 SWAT 등록하기 = 823
2. SWAT으로 SAMBA 설정하기 = 825
05. 삼바설정 프로그램 = 828
1. 삼바설정 프로그램 = 828
2. 로컬 프린터 공유 설정 = 830
06. 리눅스 클라이언트에서 SAMBA 활용 = 832
1. smbclient를 사용한 디렉토리 공유 = 832
2. 파일 받아오기 = 834
3. 공유한 디렉토리의 마운트 = 835
4. 윈도우즈의 프린터 이용하기 = 836
5. smb4k의 활용 = 839
07. 윈도우즈에서 리눅스에 연결 = 840
1. 컴퓨터 찾기에서 연결하기 = 840
2. 탐색창에서 네트워크 연결 = 841
Chapter 15 시스템 성능 튜닝
01. 시스템 성능 튜닝 개요 = 846
1. 튜닝의 개념 = 846
2. 튜닝을 위한 관리자의 작업 = 846
3. 리눅스 튜닝의 요소들 = 847
02. 기본적인 시스템 튜닝 = 848
1. BIOS 최적화 = 848
2. 파일 시스템 선택 = 848
3. 불필요한 프로세스 정리 = 848
4. 기타 = 850
03. 리눅스 성능 모니터링 = 850
1. CPU 사용 분석 = 850
2. 메모리 = 854
3. 하드 디스크 I/O = 857
4. 네트워크 I/O = 858
5. MRTG의 설치와 사용 = 860
6. X 윈도우용 모니터링 프로그램 = 866
04. 성능 향상을 위한 작업 = 870
1. CPU = 871
2. 메모리(물리적 메모리, 스왑) = 871
3. 하드 디스크 I/O = 875
4. 네트워크 I/O = 878
05. 성능 향상을 위한 커널 최적화 = 879
1. 일반적 사항들 = 879
2. 커널 컴파일의 방법 = 881
3. 커널 컴파일 옵션 설정방법 = 886
4. 커널 컴파일 옵션 = 889
5. 이후의 간단한 커널 컴파일 방법 = 910
Chapter 16 보안과 방화벽
01. 보안의 기본 사항들 = 916
1. 보안의 개요 = 916
2. 왜 보안이 필요한가? = 917
3. 해커와 크래커의 차이 = 918
4. 사이트 보안의 방법 = 918
5. 보안의 기본적인 전략 = 919
02. 보안의 구체적 사항들 = 920
1. 물리적 보안 = 920
2. 로컬 보안 = 925
3. 파일과 파일 시스템 보안 = 927
4. 비밀번호 보안과 암호화 = 931
5. X11, SVGA와 디스플레이 보안 = 936
6. 커널 보안 = 937
7. 네트워크 보안 = 937
8. 네트워크에 시스템을 물리기 전의 보안 준비 = 946
03. 방화벽 = 949
1. 방화벽이란? = 949
2. IP 필터링이란? = 949
3. iptables 방화벽의 설치 = 950
4. iptables 방화벽의 사용 = 951
04. 보안 프로그램들 = 955
1. Tripwire = 955
2. SAINT = 967
3. tcp_wrapper = 970
4. Squid = 972
05. 해킹 도중이나 후의 대책 = 977
1. 보안 공격 진행중일 때 = 977
2. 보안 훼손이 이미 일어난 경우 = 978
06. 시스템 백업과 데이터 복원 = 980
1. 백업의 개념과 준비작업 = 980
2. 백업의 실제 = 991
3. 백업 프로그램 = 999
07. 인터넷을 통한 정보 수집 = 1010
1. 리눅스 보안 뉴스 = 1010
2. 보안에 대한 기술적 권고문 = 1010
3. 보안에 대한 문서들 = 1011
Chapter 17 한글과컴퓨터 아시아눅스 서버 2.0 관리 프로그램
01.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10g/9i 설치를 위한 오라나비 = 1014
02. 시스템 관리도구 - Webmin = 1015
1. Webmin의 개념과 설치 = 1015
2. Webmin의 사용 = 1022
03. webalizer = 1036
1. 설치 = 1036
2. 설정 = 1037
3. 실행 = 1037
04. traceroute = 1039
05. squirrelmail = 1039
06. HSUpdater = 1040
07. HSWatcher = 1042
찾아보기 = 104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