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 서재에 담긴 뜻
이첨의 서재, 고협재 : 북을 울리고 책 상자를 여는 까닭 = 13
이서구의 서재, 소완정 : 서재에 쌓인 책을 보고 즐기다 = 21
박운의 서재, 명경신당 : 거울처럼 맑게 마음을 다스린다 = 29
유성룡의 서재, 원지정사 : 마음이 세상과 멀어서 절로 즐겁구나 = 37
현강공의 서재, 연초재 : 초연의 참뜻이란 = 45
허...
목차 전체
1 서재에 담긴 뜻
이첨의 서재, 고협재 : 북을 울리고 책 상자를 여는 까닭 = 13
이서구의 서재, 소완정 : 서재에 쌓인 책을 보고 즐기다 = 21
박운의 서재, 명경신당 : 거울처럼 맑게 마음을 다스린다 = 29
유성룡의 서재, 원지정사 : 마음이 세상과 멀어서 절로 즐겁구나 = 37
현강공의 서재, 연초재 : 초연의 참뜻이란 = 45
허친의 서재, 통곡헌 : 나는 세상이 좋아하는 것과 반대로 하는 사람이다 = 53
한공의 서재, 신재 : 진실함과 믿음으로 힘써 노력하라 = 61
남당의 서재, 표변당 : 군자는 표범같이 변한다 = 71
우종학의 서재, 방산서료 : 아래로는 인사를 배우고 위로는 천명에 통달한다 = 79
성종 임금의 명으로 지은 서재, 독서당 : 나라의 인재에게 독서를 권한 뜻 = 87
2 자연의 덕성을 담다
유성룡의 서재, 옥연서당 : 옥처럼 맑은 물을 닮다 = 99
장현광의 서재, 입암정사 : 맑은 산수와 수백 권의 책과 꽃과 나무가 어우러진 초가 서재 = 109
권대재의 서재, 돈간재 : 그쳐야 할 때 그치고, 행동해야 할 때 행동한다 = 121
윤노동의 서재, 송석재 : 소나무와 돌에 미친 내 친구 = 129
최진겸의 서재, 독락당 : 나는 독락하는 사람이다 = 137
관북 지방 백성들의 서재, 이요재 :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한다 = 145
송시열의 서재, 암서재 : 바위 위에 지은 서재 = 155
조익의 서재, 공재 : 공손함은 가장 우선하는 원칙 = 165
중려의 서재, 매헌 : 매화를 사랑해 붙인 이름 = 173
이협의 서재, 양졸당 : 졸렬함을 기르는 공간 = 181
3 삶을 담다, 마음을 담다
정약용의 서재, 삼사재 : 공부하거나 독서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 191
이단하의 서재, 외재 : 공경하고 두려워하고 경계함을 닦는다 = 203
채지홍의 서재, 삼환재 : 듣기 위해, 배우기 위해, 행동하기 위해 근심한다 = 211
김득신의 서재, 억만재 : 백 번, 천 번, 만 번, 억 번에 이르도록 읽다 = 217
함흥 지방 사림들의 서재, 경학재 : 사대부의 예의와 학문을 익히고 공부하는 공동체 = 225
조식의 서재, 뇌룡사 : 용의 기상이 드러나고, 우레 소리가 난다 = 233
정약전의 서재, 사촌서실 : 조그만 땅의 백성도 큰 땅의 백성 못지않다 = 241
황상의 서재, 취몽재 : 취생몽사하는 공간 = 249
김구용의 서재, 척약재 : 항상 걱정하고 두려워하라 = 257
이덕무의 서재, 구서재 : 책 보는 즐거움으로 모든 것을 잊었다 = 26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