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 고대 과학기술의 여명
1 고대 과학기술의 역사적 논쟁점 ... 12
2 한국 청동기 기술의 특징 ... 16
3 철기 문화와 삼국의 성립 ... 22
4 칠지도와 고대 과학기술의 일본전래 ... 25
5 삼국의 천문학 ... 32
6 첨성대는 천문대인가, 제단인가? ... 40
7 다라니경과 팔만대장경, 그리고 직지심경 ... 49
8 고려시대의 ...
목차 전체
1. 고대 과학기술의 여명
1 고대 과학기술의 역사적 논쟁점 ... 12
2 한국 청동기 기술의 특징 ... 16
3 철기 문화와 삼국의 성립 ... 22
4 칠지도와 고대 과학기술의 일본전래 ... 25
5 삼국의 천문학 ... 32
6 첨성대는 천문대인가, 제단인가? ... 40
7 다라니경과 팔만대장경, 그리고 직지심경 ... 49
8 고려시대의 풍수지리 ... 60
9 최무선과 화약병기 ... 67
2. 조선시대 자주적 과학기술의 성취
1 세종시대 과학기술의 역사적 의미 ... 76
2 천상열차분야지도 ... 84
3 천문역산학의 발전-간의대 ... 89
4 양부일구와 해시계들 ... 98
5 자격루와 옥루 ... 102
6 자주적 역버?? 확립-칠정산 내외편 ... 107
7 측우기의 발명 ... 111
8 세종시대 이후 조선의 과학기술은 진정 퇴보했는가 ... 119
9 허준의 '동의보감' ... 124
3. 전통적 자연 인식 체계와 서양 과학기수과의 융화
1 조선 후기 실학과 과하기술을 보는 관점 ... 132
2 마테오 리치오 서학의 유입 ... 136
3 시헌력의 도입 ... 147
4 송이영의 천문시계 ... 154
5 김석문의 우주론 ... 159
6 이익의 '성호사설'속의 서양과학 ... 167
7 홍대용의 지전설과 무한 우주론 ... 171
8 정약용의 기술론과 '마과회통' ... 178
9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186
4.제국주의의 침탈과 근대과학의 수용
1 한국의 근대화와 과학기술을 보느 관점 ... 200
2 개국 직후 서양 과학문물 배우기-영선사행,신사유람단,보빙사행 ... 205
3 대한제국기 고종의 전기사업 ... 212
4 단발령으로 시작된 근대 의료 ... 221
5 사회진화론 ... 227
6 조선 박람회의 식민지성 ... 233
7 1915년 물산공진회와 식민지 근대문화의 형성 ... 240
8 식민지 과학관이었던 은사기념과학관 ... 246
9 1930년대 조선 과학운동 ... 250
10 김용관의 과학기술관 ... 255
5. 현대 한국과학 기술의 형성
1 현대 과학기술의 특성 ... 268
2 해방 이후 과학기술의 재건과 미국식 재편 ... 275
3 북한의 과학기술 ... 282
4 1960년대 냉전체제에 서의 원자력의 도입 ... 287
5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와 한국과학원KAIS의 설립 ... 291
6 전국민의 과학화운동과 국립 과학관 ... 300
7 포항제철의 기적과 포항공대의 설립 ... 307
8 삼성의 반도체 신화 ... 316
찾아보기 ... 330
참고문헌 ... 33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