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펴내면서 = 5
목차 = 11
책을 시작하며 = 17
제Ⅰ편 동이ㆍ고조선
제1장 동이연구사 = 29
1. 전통사서에 나타난 동이인식 = 29
1. 중국사서에 나타난 동이인식 = 30
2. 한국사서에 나타난 동이인식 = 36
2. 근대역사서에 나타난 동이인식 = 48
1. 실학자들의 동이인식 = 48
2. 민족주의 및...
목차 전체
목차
책을 펴내면서 = 5
목차 = 11
책을 시작하며 = 17
제Ⅰ편 동이ㆍ고조선
제1장 동이연구사 = 29
1. 전통사서에 나타난 동이인식 = 29
1. 중국사서에 나타난 동이인식 = 30
2. 한국사서에 나타난 동이인식 = 36
2. 근대역사서에 나타난 동이인식 = 48
1. 실학자들의 동이인식 = 48
2. 민족주의 및 근대사학자들의 동이인식 = 51
3. 최근의 동이인식 = 53
1. 재야사학의 동이인식 = 53
2. 고대사학계의 동이인식 = 55
4. 맺음말 = 59
제2장 전통 역사학계의 고조선 연구 = 63
1. 조선시대 고조선 연구 = 64
2. 일본 식민사학자들의 연구 = 66
3. 실증사학 및 민족주의 사학자들의 연구 = 71
4. 1945년 이후 일본인들의 고조선 및 낙랑연구 = 73
제3장 북한학계의 연구 = 80
1. 고조선 연구 1기(해방후~1960년대 초) = 81
1. 1기연구의 특성 = 81
2. 한국전쟁 이전 고조선 연구동향(1950년까지) = 83
3. 한국전쟁 이후 1960년까지의 연구동향 = 93
2. 고조선 연구 2기(1963~1973) = 116
3. 고조선 연구 3기(1974~1993) = 120
4. 고조선 연구 4기(1993 단군릉 발굴 이후~현재) = 126
제4장 한국학계의 연구 = 142
1. 단군 및 단군조선 문제 = 142
2. 고조선 중심지 문제 = 146
제5장 중국학계의 고조선 연구 = 151
1. 조선명칭 문제 = 154
2. 단군문제 = 163
3. 기자조선 문제 = 168
4. 기자와 고지진국 관련설 = 177
5. 동북공정과 고조선 = 183
6. 맺음말 = 189
제Ⅱ편 고조선사
제1장 고조선의 사회와 영역 = 195
1. 고조선의 시조인식과 사회 = 195
1. 고조선의 시조인식과 계승 = 195
2. 고조선 사회의 시조계승 = 201
3. 고조선의 사회구조 = 211
4. 고조선 사회와 범금8조의 성격 = 214
2. 고조선 영역인식 = 221
1. 한반도중심설 = 221
2. 요동중심설 = 224
3. 이동설 = 226
3. 고조선 영역에 대한 문헌적 검토 = 228
1. 춘추전국시기 고조선의 영역 = 228
2. 진과 고조선의 관계 = 232
3. 위만조선의 성립과 한과의 관계 = 234
4. 고조선 영역의 고고학적 검토 = 237
1. 지석묘 문화 = 237
2. 비파형 동검문화 = 239
5. 맺음말 = 242
제2장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 = 244
1.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경과 = 246
1. 위만조선의 붕괴과정 = 246
2. 「사기」 조선전과 공신표 비교를 통해본 붕괴시점 = 250
2. 왕험성ㆍ낙랑군ㆍ항한제후국 검토 = 258
1. 왕험성과 낙랑군의 병존 = 258
2. 한사군 명칭의 유래와 낙랑군의 위치 = 263
3. 위만조선의 항한제후국과 한과의 전쟁 = 271
1. 항한제후국의 설치 = 271
2. 위만조선 붕괴후 한과의 투쟁 = 276
4. 맺음말 = 279
제3장 낙랑군의 성격문제 = 283
1. 낙랑의 성격관련 연구사 검토 = 284
1. 평양지역 낙랑군의 성격관련 연구 = 284
2. 「삼국사기」 낙랑에 대한 연구 = 287
2. 유이민의 고조선 이동과 종족적 성격 = 290
1. 유이민의 고조선 이동 = 290
2. 유이민 집단의 종족적 성격 = 292
3. 위만조선 주변 정치세력의 양상 = 298
3. 맺음말 = 305
제Ⅲ편 고구려사
제1장 고구려의 고조선 계승 = 311
1. 고구려 사회의 이원적 시조인식 = 311
1. 고구려 주몽집단의 시조인식 = 311
2. 비류국 송양집단의 시조인식 = 317
2. 고구려 사회의 단군인식 = 332
1. 송양의 仙人지후와 주몽의 天孫의식 = 332
2. 고구려 고분벽화에 반영된 단군인식 = 344
3. 맺음말 = 353
제2장 고구려의 마한계승 = 356
1. 머리말 = 356
2. 고구려와 마한 = 358
1. 고구려 시기의 마한인식 = 358
2. 중국사서에 나타난 삼한ㆍ삼국 대응양상 = 368
3. 한국 역사인식에 나타난 마한ㆍ고구려 = 373
1. 통일신라기의 마한ㆍ고구려인식 = 373
2. 고려시기의 마한-고구려계승론 = 379
4. 맺음말 = 387
제3장 고구려 수묘제와 광개토왕대 사회변화 = 389
1. 고구려 수묘제와 사회변화 = 389
1. 초기 고구려 수묘제 양상 = 390
2. 중국의 수묘제 양상 = 395
2. 고구려 수묘제 개편과 의의 = 404
1. 광개토왕ㆍ장수왕의 수묘제 개편 = 404
2. 수묘인 구성변화와 고구려 사회의 변화 = 407
3. 광개토왕 능원과 수묘인 = 418
1. 광개토왕릉 비정과 호대왕동령 = 418
2. 호태왕 관련 금석문 비교 = 430
3. 광개토왕릉 능원과 수묘제 = 439
4. 맺음말 = 454
제4장 중국의 고구려연구 = 458
1. 중국영역 내의 고구려 유적ㆍ유물 = 458
1. 고구려 도성ㆍ산성유적 = 458
2. 고구려 고분유적 = 465
3. 고구려의 유물 = 478
4. 중국 집안박물관 호태왕명문 방울 = 489
2. 중국의 장백산문화론과 고구려 = 501
1. 장백산문화연구회와 동북공정 = 503
2. 장백산문화론과 고조선ㆍ고구려 귀속문제 = 510
3. 장백산문화론의 문제점 = 521
3. 맺음말 = 524
책을 끝내며 = 527
부록
참고문헌 = 535
찾아보기 = 56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